@@ -18,9 +18,9 @@ CPU는 레지스터가 지시하는대로 메모리에 접근하여 다음에
18
18
19
19
#### MMU (Memory Management Unit, 메모리 관리 장치)
20
20
21
- - 논리 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해 준다.
21
+ -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해 준다.
22
22
23
- - 메모리 보호나 캐시 관리 등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을 총 관리해주는 하드웨어임
23
+ - 메모리 보호나 캐시 관리 등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을 총 관리해 주는 하드웨어임
24
24
25
25
<br >
26
26
@@ -77,15 +77,15 @@ base <= x < base+limit
77
77
78
78
<br >
79
79
80
- 페이지 기법과 같은 메모리 관리 기법은 사용자가 눈치 채지 못하도록 눈속임을 통해 메모리를 할당해줌 (가상 메모리를 이용해서)
80
+ 페이지 기법과 같은 메모리 관리 기법은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눈속임을 통해 메모리를 할당해 줌 (가상 메모리를 이용해서)
81
81
82
82
<br >
83
83
84
84
과할당 상황에 대해서 사용자를 속인 것을 들킬만한 상황이 존재함
85
85
86
86
1 . 프로세스 실행 도중 페이지 폴트 발생
87
87
2 . 페이지 폴트를 발생시킨 페이지 위치를 디스크에서 찾음
88
- 3 . 메모리의 빈 프레임에 페이지를 올려야 하는데, 모든 메모리가 사용중이라 빈 프레임이 없음
88
+ 3 . 메모리의 빈 프레임에 페이지를 올려야 하는데, 모든 메모리가 사용 중이라 빈 프레임이 없음
89
89
90
90
<br >
91
91
@@ -97,9 +97,9 @@ base <= x < base+limit
97
97
98
98
<br >
99
99
100
- swapping 기법을 통해 공간을 바꿔치기하는 2번 방법과는 달리 1번은 사용자에게 페이징 시스템을 들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 하면 안됨
100
+ swapping 기법을 통해 공간을 바꿔치기하는 2번 방법과는 달리 1번은 사용자에게 페이징 시스템을 들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 하면 안 됨
101
101
102
- (페이징 기법은 사용자 모르게 시스템 능률을 높이기 위해 선택한 일이므로 들키지 않게 처리해야한다 )
102
+ (페이징 기법은 사용자 모르게 시스템 능률을 높이기 위해 선택한 일이므로 들키지 않게 처리해야 한다 )
103
103
104
104
<br >
105
105
@@ -129,9 +129,9 @@ swapping 기법을 통해 공간을 바꿔치기하는 2번 방법과는 달리
129
129
130
130
<br >
131
131
132
- 페이지 교체가 이루어지면 아무일이 없던것 처럼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시켜주면서 사용자가 알지 못하도록 해야 함
132
+ 페이지 교체가 이루어지면 아무 일이 없던 것 처럼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시켜주면서 사용자가 알지 못하도록 해야 함
133
133
134
- 이때,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하려면, 페이지 교체 당시 오버헤드를 최대한 줄여야 함
134
+ 이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하려면, 페이지 교체 당시 오버헤드를 최대한 줄여야 함
135
135
136
136
<br >
137
137
@@ -148,7 +148,7 @@ swapping 기법을 통해 공간을 바꿔치기하는 2번 방법과는 달리
148
148
변경비트를 모든 페이지마다 둬서, victim 페이지가 정해지면 해당 페이지의 비트를 확인
149
149
150
150
해당 비트가 set 상태면? → 해당 페이지 내용이 디스크 상의 페이지 내용과 달라졌다는 뜻
151
- (즉, 페이지가 메모리 올라온 이후 한번이라도 수정이 일어났던 것. 따라서 이건 디스크에 기록해야함 )
151
+ (즉, 페이지가 메모리 올라온 이후 한 번이라도 수정이 일어났던 것. 따라서 이건 디스크에 기록해야 함 )
152
152
153
153
bit가 clear 상태라면? → 디스크 상의 페이지 내용과 메모리 상의 페이지가 정확히 일치하는 상황
154
154
(즉, 디스크와 내용이 같아서 기록할 필요가 없음)
@@ -201,7 +201,7 @@ CPU에서 주소를 전달 → 캐시 기억장치에 명령이 존재하는지
201
201
202
202
이처럼 캐시를 잘 활용한다면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음
203
203
204
- 따라서 CPU가 어떤 데이터를 원할지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함
204
+ 따라서 CPU가 어떤 데이터를 원할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함
205
205
206
206
(캐시에 많이 활용되는 쓸모 있는 정보가 들어있어야 성능이 높아짐)
207
207
@@ -229,8 +229,8 @@ CPU에서 주소를 전달 → 캐시 기억장치에 명령이 존재하는지
229
229
230
230
빈번하게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캐시에 저장했더라도, 내가 필요한 데이터를 캐시에서 찾을 때 모든 데이터를 순회하는 것은 시간 낭비다.
231
231
232
- 즉, 캐시에 목적 데이터가 저장되어있을 때 바로 접근하여 출력할 수 있어야 캐시 활용이 의미있어짐
232
+ 즉, 캐시에 목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때 바로 접근하여 출력할 수 있어야 캐시 활용이 의미 있어짐
233
233
234
234
따라서 캐시에 데이터를 저장할 시, 자료구조를 활용해 묶어서 저장하는데 이를 ` 캐싱 라인 ` 이라고 부른다.
235
235
236
- 즉, 캐시에 저장하는 데이터에 데이터의 메모리 주소를 함께 저장하면서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음 (set이나 map 등을 활용)
236
+ 즉, 캐시에 저장하는 데이터에 데이터의 메모리 주소를 함께 저장하면서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음 (set이나 map 등을 활용)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