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Choi Jae-seo

An Entity of Type: animal,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

Choi Jae-seo (Korean: 최재서; Hanja: 崔載瑞; 11 February 1908 – 16 November 1964) was a South Korean literary scholar, a critic of English literature, and a novelist. He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currently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his M.A. from the University of London, and later taught at Yonsei University. As editor-in-chief of the literary magazine Humanities Review, he was a forerunner of progressive literary criticism. Although he later presided over pro-Japanese literary journals under pressure from the ruling Japanese, he undoubtedly remains an important figure in Korean modernism of the 1930s.

Property Value
dbo:abstract
  • Choi Jae-seo (Korean: 최재서; Hanja: 崔載瑞; 11 February 1908 – 16 November 1964) was a South Korean literary scholar, a critic of English literature, and a novelist. He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currently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his M.A. from the University of London, and later taught at Yonsei University. As editor-in-chief of the literary magazine Humanities Review, he was a forerunner of progressive literary criticism. Although he later presided over pro-Japanese literary journals under pressure from the ruling Japanese, he undoubtedly remains an important figure in Korean modernism of the 1930s. (en)
  • 최재서(崔載瑞, 1908년 2월 11일 - 1964년 11월 16일)는 일제령 조선과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영문학자이다. 호는 석경우(石耕牛), 필명은 학수리(鶴首里), 상수시(尙壽施), 석경(石耕), 석경생(石耕生). 황해도 해주군 출신. 과수원을 경영하는 부모 아래서 자라났으며 제2고보를 졸업 후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에 입학, 졸업하였으며 대학원에 진학하여 졸업하였다. 사토 기요시 교수의 은덕을 입어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 강사에 임명되나 타 교수진의 반대로 인하여 해임되었고, 이후 보성전문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수를 지냈다. 를 소개한 〈미숙한 문학〉으로 평단에 데뷔하였으며, 주지주의 문학론을 본격 도입하였다. 비평활동이 중기에 드는 무렵 지성론을 발표하였으며 1930년대 후반 김문집과 논전을 벌이기도 하였다. 1938년 평론집 《문학과 지성》을 발표. 전시에는 일본에 적극 협력하였다. 광복 이후 평단에서 물러앉아 대학으로 돌아갔으며 문학개론, 영문학사, 영국문예비평사 따위를 강의하였다. 또한 셰익스피어 연구에 진력하였다. 1964년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ko)
dbo:birthDate
  • 1908-02-11 (xsd:date)
dbo:education
dbo:genre
dbo:wikiPageID
  • 70369315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15772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109320215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birthDate
  • 1908-02-11 (xsd:date)
dbp:deathDate
  • 0001-11-16 (xsd:gMonthDay)
dbp:education
dbp:genre
dbp:name
  • Choi Jae-seo (en)
dbp:notableWorks
  • Joseon Litera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en)
  • Literature and Intellect (en)
  • Shakespeare's Art as Order of Life (en)
dbp:occupation
  • Literary scholar and critic (en)
dbp:wikiPageUsesTemplate
dcterms:subject
rdf:type
rdfs:comment
  • Choi Jae-seo (Korean: 최재서; Hanja: 崔載瑞; 11 February 1908 – 16 November 1964) was a South Korean literary scholar, a critic of English literature, and a novelist. He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currently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his M.A. from the University of London, and later taught at Yonsei University. As editor-in-chief of the literary magazine Humanities Review, he was a forerunner of progressive literary criticism. Although he later presided over pro-Japanese literary journals under pressure from the ruling Japanese, he undoubtedly remains an important figure in Korean modernism of the 1930s. (en)
  • 최재서(崔載瑞, 1908년 2월 11일 - 1964년 11월 16일)는 일제령 조선과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영문학자이다. 호는 석경우(石耕牛), 필명은 학수리(鶴首里), 상수시(尙壽施), 석경(石耕), 석경생(石耕生). 황해도 해주군 출신. 과수원을 경영하는 부모 아래서 자라났으며 제2고보를 졸업 후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에 입학, 졸업하였으며 대학원에 진학하여 졸업하였다. 사토 기요시 교수의 은덕을 입어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과 강사에 임명되나 타 교수진의 반대로 인하여 해임되었고, 이후 보성전문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수를 지냈다. 를 소개한 〈미숙한 문학〉으로 평단에 데뷔하였으며, 주지주의 문학론을 본격 도입하였다. 비평활동이 중기에 드는 무렵 지성론을 발표하였으며 1930년대 후반 김문집과 논전을 벌이기도 하였다. 1938년 평론집 《문학과 지성》을 발표. 전시에는 일본에 적극 협력하였다. 광복 이후 평단에서 물러앉아 대학으로 돌아갔으며 문학개론, 영문학사, 영국문예비평사 따위를 강의하였다. 또한 셰익스피어 연구에 진력하였다. 1964년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ko)
rdfs:label
  • Choi Jae-seo (en)
  • 최재서 (ko)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isPrimaryTopicOf
foaf:name
  • Choi Jae-seo (en)
is dbo:wikiPageRedirects of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