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o:abstract
|
- Yi Si-ae's Rebellion was an armed rebellion in 1467 in Hamgil Province (later renamed Hamgyong Province) led by General Yi Si-ae, a member of Yangban landowners in Kilju, Hamgil Province, to rebel against the centralized policy of King Sejo. (en)
- 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다. 당시 이시애는 길주 출신의 호족 토반으로 1458년 경흥진병마절제사, 1461년 행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463년 회령부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함길도는 이성계의 고향으로 조선왕조의 주요 연고지 중의 하나였으며, 지리적으로 북방 이민족과 접해 있는 특수 사정을 고려해 지방관은 인망 있는 호족 중에서 임명해 대대로 다스리게 하였다. 그러나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외지에서 부임한 관리들에 대한 반발로 함경도내 유향소 세력을 규합, 1467년 5월 이시애 등은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을 반역으로 규정하여 거병하였으나 거병 3개월만에 내부 분열로 이시애의 처조카 허유례(許惟禮)가 관군과 내통함으로써 진압되었다. (ko)
- 李施愛の乱(り しあい(イ・シエ)のらん)は、1467年(世祖12年)に咸鏡道で起こった朝鮮時代(李氏朝鮮)前期最大の反乱。広範な民衆を巻きこみ、宮中内部の重臣にまで波及して、世祖晩年における最大の政治的危機となった。 (ja)
- 李施愛之亂,是1467年(朝鮮世祖12年)5月咸鏡道地方發生的叛亂,也是朝鮮王朝前期最大的民亂,民衆被廣泛巻入、宮中重臣亦被牽連、是世祖晩年最大的政治危機。 (zh)
|
dbo:combatant
|
- Joseon Army
- Yi Si-ae's Rebel Army
|
dbo:commander
| |
dbo:place
| |
dbo:result
|
- *Rebellion suppressed
- Government Victory
|
dbo:strength
|
- July: 10,000
- July: 50,000
- May: 30,000
|
dbo:thumbnail
| |
dbo:wikiPageExternalLink
| |
dbo:wikiPageID
| |
dbo:wikiPageLength
|
- 20661 (xsd:nonNegativeInteger)
|
dbo:wikiPageRevisionID
| |
dbo:wikiPageWikiLink
| |
dbp:author
|
- 0001-06-20 (xsd:gMonthDay)
- Yi Si-ae (en)
|
dbp:casualties
|
- Unknown military casualties. Twenty thousand surrendered and defected to the government army. Destruction of the rebel army and execution of their leaders. (en)
|
dbp:combatant
|
- Joseon Army (en)
- Yi Si-ae's Rebel Army (en)
|
dbp:commander
|
- Sejo of Joseon (en)
- Heo Jong (en)
- Yi Jun (en)
- Yi Si-ae (en)
- Eo Yu-so (en)
- Jo Seok-mun (en)
- Kang Soon (en)
- Kim Gyo (en)
- Nam I (en)
- Prince Gwiseong (en)
- Yi Myeong-Hyo (en)
- Yi Si-hap (en)
|
dbp:conflict
|
- Yi Si-ae's Rebellion (en)
|
dbp:date
| |
dbp:hangul
| |
dbp:hanja
| |
dbp:mr
| |
dbp:place
| |
dbp:result
|
- Government Victory
*Rebellion suppressed (en)
|
dbp:rr
| |
dbp:strength
|
- May: 30,000
July: 10,000 (en)
- May: 30,000
July: 50,000 (en)
|
dbp:text
|
- "I hereby send you three mortars , 250 chongtong, five hwachas, 400 hwa-jeon , 27 geun of gunpowder , 1,000 gakgung , and 5,000 bowstrings ..." (en)
- "Soldiers from Hasamdo are advancing to Hamgildo by land. Soldiers from Chungcheong Province arrived on a boat to Gyeongseong and Hurado and were anchored. The court sent soldiers from Pyeongan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o enter North Island from Hanyang and to kill all the people of Bondo Island in the future.” (en)
|
dbp: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Yi Si-ae's Rebellion was an armed rebellion in 1467 in Hamgil Province (later renamed Hamgyong Province) led by General Yi Si-ae, a member of Yangban landowners in Kilju, Hamgil Province, to rebel against the centralized policy of King Sejo. (en)
- 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다. 당시 이시애는 길주 출신의 호족 토반으로 1458년 경흥진병마절제사, 1461년 행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463년 회령부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함길도는 이성계의 고향으로 조선왕조의 주요 연고지 중의 하나였으며, 지리적으로 북방 이민족과 접해 있는 특수 사정을 고려해 지방관은 인망 있는 호족 중에서 임명해 대대로 다스리게 하였다. 그러나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외지에서 부임한 관리들에 대한 반발로 함경도내 유향소 세력을 규합, 1467년 5월 이시애 등은 함경도인에 대한 지역차별과 단종 폐위 등을 반역으로 규정하여 거병하였으나 거병 3개월만에 내부 분열로 이시애의 처조카 허유례(許惟禮)가 관군과 내통함으로써 진압되었다. (ko)
- 李施愛の乱(り しあい(イ・シエ)のらん)は、1467年(世祖12年)に咸鏡道で起こった朝鮮時代(李氏朝鮮)前期最大の反乱。広範な民衆を巻きこみ、宮中内部の重臣にまで波及して、世祖晩年における最大の政治的危機となった。 (ja)
- 李施愛之亂,是1467年(朝鮮世祖12年)5月咸鏡道地方發生的叛亂,也是朝鮮王朝前期最大的民亂,民衆被廣泛巻入、宮中重臣亦被牽連、是世祖晩年最大的政治危機。 (zh)
|
rdfs:label
|
- 이시애의 난 (ko)
- 李施愛の乱 (ja)
- Yi Si-ae's Rebellion (en)
- 李施愛之亂 (zh)
|
owl:sameAs
| |
prov:wasDerivedFrom
| |
foaf:depiction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Yi Si-ae's Rebellion (en)
|
is dbo: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