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9
1519
TARGET
REPORT
©2025. CJMezzomedia Co. All rights reserved.
2025 타겟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주 이용 포털사이트 (중복응답)
주 이용 커뮤니티(중복응답)
주 이용 SNS (중복응답)
광고 상품별 주목도(중복응답)
82분
306분
93분
44분 56분
62분
326분
124분
75분
40분
TV 인터넷 동영상 미디어 숏폼 미디어 OTT
숏폼 이용률 OTT 이용률
숏폼을시청한다
98%
주 이용 숏폼 미디어(중복응답)
1위. 유튜브 쇼츠 (84%)
2위. 인스타그램 릴스 (78%)
3위. 틱톡 (16%)
OTT를시청한다
60%
주 이용 OTT 서비스(중복응답)
1위. 넷플릭스 (85%)
2위. 티빙 (31%)
3위. 쿠팡플레이 (21%)
1519 TARGET REPORT SUMMARY
어떤 세대보다 디지털 생태계와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10대는 여가부터 학습까지 다양한 활동에 디지털을 활용합니다. 이들은 영상 콘텐츠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며, 전 연령 중 동영상 시청 시간이 가장 길고 숏폼 트렌드를 주도하는 세대이기도 합니다.
10대에게 동영상 미디어는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므로, 이들이 어떤 미디어를 주로 사용하고 어떤 콘텐츠를 시청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리포트에서는 10대에게 효과적인 광고 매체부터 유형까지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별 일평균 이용 시간
전 연령대
10대
1위. 네이버 (88%)
2위. 구글 (85%)
3위. 다음 (22%)
1위. 인스타그램 (81%)
2위. X (40%)
3위. 네이버 블로그 (28%)
1위. 네이버 카페 (35%)
2위. 카카오 오픈채팅 (29%)
3위. 디시인사이드 (13%)
DA 1위. SNS 피드 광고 (28%)
동영상 1위. SNS 피드 광고 (41%)
숏폼 1위. 정보성 광고 (42%)
01 조사 개요 02 미디어 이용 행태 03 주 이용 미디어
1519
TARGET
REPORT
INDEX
일평균 이용 시간 – TV 07
일평균 이용 시간 – 인터넷 08
일평균 이용 시간 – 동영상 미디어 09
일평균 이용 시간 – OTT 10
인터넷 주 이용 시간대 11
인터넷에서의 주요 활동 12
주 이용 동영상 미디어 & 시청 콘텐츠 14
주 이용 숏폼 미디어 & 시청 콘텐츠 17
주 이용 OTT 20
주 이용 포털 사이트 22
주 이용 SNS 24
주 이용 메신저 26
주 이용 커뮤니티 28
DA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36
동영상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37
숏폼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38
광고 상품 유형별 구매 영항 39
동영상 광고 선호 길이 & 적정 시청 횟수 41
불편하게 느껴지는 동영상 광고 유형 42
광고 유형과 형태에 따른 인지 정도 43
동영상 광고 소재에 대한 태도 44
인플루언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태도 45
정보 접촉 채널 30
정보 탐색 경로 31
포털 사이트에서의 탐색 정보 32
동영상 미디어에서의 탐색 정보 33
SNS에서의 탐색 정보 34
04 정보 탐색 활동 05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조사 설계 및 응답자 특성 05
| 목차의 주제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01
조사 개요
조사 설계 및 응답자 특성
1519
TARGET
REPORT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조사설계및응답자특성
성별 직업 분포
남성
50%
여성
50%
중/고등학생
72%
대학생
27%
기타
1%
가구원 수 월 가구 소득
10%
60%
24%
4%
2%
21%
27%
27%
25%
300만미만
500만미만
700만미만
700만이상
1인
2인
3인
4인
5인 ~
조사 설계
조사 목적 10대 남녀 미디어 이용 행태 조사
조사 방법 온라인 설문
조사 지역 서울/경기, 5대 광역시
조사 대상 15 ~ 19세 남녀
조사 규모 총 68명
조사 기간 2025.03.10 ~ 2025.03.14
02
미디어 이용 행태
일평균 이용 시간 – TV
일평균 이용 시간 – 인터넷
일평균 이용 시간 – 동영상 미디어
일평균 이용 시간 – OTT
인터넷 주 이용 시간대
인터넷에서의 주요 활동
| 10대 타겟은 미디어를 언제, 어떻게 이용할까?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일평균 TV 시청 시간은 1시간 2분으로 전 연령 중 가장 짧습니다.
주로 스마트TV에서 제공하는 유튜브, OTT 앱 등을 이용해 콘텐츠를 시청합니다.
1분 이상 ~ 30분
(22%)
시청 안 함
(24%)
1시간 초과 ~ 2시간
(18%)
2시간 초과
(10%)
30분 초과 ~ 1시간
(26%)
지상파 채널
(24%)
IPTV VOD
(12%)
일평균 TV 시청 시간
1시간 2분
주 시청 TV 콘텐츠 채널
스마트TV 앱 49%
케이블 채널
(15%)
10대남녀TV시청시간
(유튜브, OTT, 스마트TV 무료 콘텐츠 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일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5시간 26분에 달합니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세대인 만큼 인터넷을 이용할 때는 PC보다 모바일을 선호합니다.
일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
5시간 26분 2시간 초과 ~ 4시간
(22%)
2시간 이하
(16%)
6시간 초과 ~ 8시간
(16%)
8시간 초과
(16%)
4시간 초과 ~ 6시간
(30%)
인터넷 이용 디바이스
MO 63%
PC
(37%)
10대남녀인터넷이용시간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전 연령 중 동영상을 가장 많이 보는 세대입니다.
하루 약 2시간 정도 동영상을 시청하며 이 중 절반 이상은 숏폼을 보는 데 씁니다.
일평균 동영상 채널 시청 시간
2시간 4분
일평균 숏폼 시청 시간
1시간 15분
1시간 이하
(38%)
1시간 초과 ~ 2시간
(31%)
2시간 초과 ~ 3시간
(9%)
3시간 초과 ~ 4시간
(12%)
4시간 초과
(10%)
30분 이하
(37%)
30분 초과 ~ 1시간
(29%)
1시간 초과 ~ 2시간
(24%)
2시간 초과
(10%)
10대남녀동영상미디어이용시간
TV 8%
PC 15%
태블릿 PC 19%
MO 58%
기기별 시청 비중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60%가 OTT를 시청하며, 일평균 시청 시간은 40분입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익숙한 이들은 OTT 콘텐츠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시청합니다.
일평균 OTT 시청 시간
40분
1시간 이하
(49%)
1시간 초과 ~2시간
(7%)
2시간 초과
(4%)
TV
(20%)
PC
(15%)
기기별 시청 비중
스마트폰 39%
태블릿PC
(26%)
10대남녀OTT이용시간
시청 안 함
(40%)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인터넷 이용률은 하교 시간대인 오후 5시부터 증가하여 8시에서 11시 사이에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잠들기 전 심야 시간대의 이용률도 높은 편입니다.
9%
6%
0%
18%
12%
38%
62%
44%
9%
21%
3%
9% 0%
47%
59%
44%
1 + 2 순위 응답
기상 직후
(~ 07:00)
등교 시간대
(07:00~ 08:59)
오전 시간대
(09:00~ 10:59)
점심 시간대
(11:00~ 13:59)
오후 시간대
(14:00~ 16:59)
하교 시간대
(17:00~ 19:59)
저녁 시간대
(20:00~ 22:59)
심야 시간대
(23:00~)
10대남녀인터넷이용시간대
평균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인터넷에서 ‘SNS 활동 – 온라인 동영상 시청 – PC/모바일 게임 플레이’ 순으로 자주 합니다.
여성은 SNS 활동을, 남성은 PC/모바일 게임 플레이를 더 활발히 합니다.
남성
여성
1 + 2 + 3 순위 응답
SNS활동 온라인 동영상 시청 PC/모바일 게임 플레이 웹툰/웹소설 열람 OTT 영상 시청 음악 스트리밍 온라인 쇼핑 온라인 교육 학습 포털 사이트 정보 검색
44% 44%
59%
29%
21%
24%
12%
15%
12%
56%
53%
29%
38%
24%
15%
18%
9% 9%
남성 이용률
59%
인터넷에서의주요활동
여성 이용률
56%
03
주 이용 미디어
주 이용 동영상 미디어 & 시청 콘텐츠
주 이용 숏폼 미디어 & 시청 콘텐츠
주 이용 OTT
주 이용 포털 사이트
주 이용 SNS
주 이용 메신저
주 이용 커뮤니티
| 10대 타겟은 어디에서 만날 수 있을까?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동영상미디어
10대가 동영상을 보기 위해 가장 자주 찾는 미디어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입니다.
X의 경우 여성의 이용률이 압도적이었으며, 남성은 틱톡과 숲의 이용률이 높습니다.
1 + 2 + 3 순위 응답
유튜브 인스타그램 X (구.트위터) 틱톡 숲 (구.아프리카TV) 치지직 스레드 네이버TV
91%
65%
6%
26%
18%
9%
6%
0%
91%
65%
35%
9%
6%
12%
3%
6%
남성 이용률
26%
여성 이용률
35%
남성
여성
남성 이용률
1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남성
10대 남성이 동영상 미디어에서 주로 시청하는 콘텐츠는 바로 게임입니다.
음악·공연 콘텐츠나 인플루언서·BJ 활동 영상도 자주 시청합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1
게임 관련 콘텐츠
42%
게임 관련 콘텐츠
36%
음악·공연
33%
2
음악·공연
26%
인플루언서·BJ 활동
23%
웹예능·웹드라마
33%
3
인플루언서·BJ 활동
26%
음악·공연
18%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22%
4
영화·해외 드라마 관련 콘텐츠
16%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18%
뷰티·패션 정보
22%
5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16%
스포츠 관련 콘텐츠
18%
TV 콘텐츠 방송·VOD
22%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여성
10대 여성은 동영상 미디어별로 시청하는 콘텐츠가 상이합니다.
유튜브에서는 음악·공연, 인스타그램에서는 뷰티·패션, X에서는 연예계 관련 영상을 더 많이 찾아봅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인스타그램 X (구. 트위터)
1
음악·공연
48%
뷰티·패션 정보
32%
연예계 소식·이슈
42%
2
게임 관련 콘텐츠
42%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32%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42%
3
영화·해외 드라마 관련 콘텐츠
23%
연예계 소식·이슈
27%
음악·공연
33%
4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23%
음식 관련 콘텐츠
27%
영화·해외 드라마 관련 콘텐츠
17%
5
뷰티·패션 정보
23%
음악·공연
23%
정치·사회
17%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숏폼미디어
10대가 주로 이용하는 숏폼 미디어를 조사한 결과,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 모두 높은 이용률을 보였습니다.
틱톡은 상대적으로 남성의 이용률이 높았습니다.
1 + 2 + 3 순위 응답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네이버 ‘클립’ 페이스북 ‘릴스’
88%
76%
21%
9% 9%
79% 79%
12%
6%
3%
남성
여성
남성 이용률
21%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숏폼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남성
10대 남성은 롱폼에 이어 숏폼 미디어에서도 게임 관련 영상을 즐겨 봅니다.
상황극과 먹방 또한 선호하는 숏폼 콘텐츠 중 하나입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1
게임 관련 콘텐츠
40%
게임 관련 콘텐츠
31%
연예계 소식·이슈
29%
2
상황극 콘텐츠
20%
음악·공연
27%
음악·공연
29%
3
먹방 콘텐츠
17%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23%
여행 관련 콘텐츠
29%
4
음식 관련 콘텐츠 (레시피, 맛집 등)
17%
상황극 콘텐츠
19%
뉴스·정치·시사
29%
5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17%
건강·운동
19%
먹방 콘텐츠
14%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숏폼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여성
10대 여성은 숏폼으로 먹방 콘텐츠를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TV·영화 콘텐츠 클립이나 연예계 이슈 영상을 시청하기도 합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1
먹방 콘텐츠
33%
먹방 콘텐츠
33%
연예계 소식·이슈
75%
2
TV·영화 콘텐츠 클립 영상
30%
TV·영화 콘텐츠 클립 영상
22%
패션 관련 콘텐츠
75%
3
연예계 소식·이슈
26%
뷰티 관련 콘텐츠
22%
뷰티 관련 콘텐츠
25%
4
뷰티 관련 콘텐츠
26%
음악·공연
22%
먹방 콘텐츠
25%
5
음식 관련 콘텐츠 (레시피, 맛집 등)
22%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22%
음악·공연
25%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OTT
10대가 주로 이용하는 OTT는 ‘넷플릭스 – 티빙 – 쿠팡플레이’ 순입니다.
축구 경기 중계에 특화된 쿠팡플레이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이 이용합니다.
1 + 2 + 3 순위 응답
넷플릭스 티빙 쿠팡플레이 왓챠플레이 라프텔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86%
29% 29%
7% 7% 7%
14%
84%
32%
16%
12% 12%
8%
4%
남성
여성
남성 이용률
29%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넷플릭스 순위
1+2+3순위
티빙
신작 업데이트가 잘 되어서 (39%) 1 스포츠 생중계를 볼 수 있어서 (33%)
오리지널·독점 콘텐츠가 매력적이라서 (36%) 2 오리지널·독점 콘텐츠가 매력적이라서 (33%)
콘텐츠가 다양해서 (36%) 3 콘텐츠가 다양해서 (33%)
인지도 높은 서비스라서 (36%) 4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17%)
여러 사람과 계정을 공유할 수 있어서 (15%) 5 내 취향에 맞는 알고리즘 추천이 잘 되어서 (8%)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12%) 6 인지도 높은 서비스라서 (8%)
시청 가능한 디바이스 종류가 많아서 (9%) 7 화질·음질 퀄리티가 높아서 (8%)
멤버십 혜택 중 하나라서 (6%) 8 실시간TV를 볼 수 있어서 (8%)
화질·음질 퀄리티가 높아서 (6%) 9 신작 업데이트가 잘 되어서 (8%)
내 취향에 맞는 알고리즘 추천이 잘 되어서 (6%) 10 멤버십 혜택 중 하나라서 (8%)
OTT이용이유
10대가 넷플릭스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신작 업데이트가 잘 되어서입니다.
티빙은 프로야구리그 중계를 볼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포털사이트
10대 남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 사이트는 네이버와 구글입니다.
여성은 네이버를 더 선호하는 반면, 남성은 구글을 선호하는 모습입니다.
1 + 2 + 3 순위 응답
네이버 구글 다음 네이트 MS Bing
82%
91%
24%
0%
3%
94%
79%
21%
12%
3%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포털사이트이용목적
10대는 주로 관심 정보〮키워드를 검색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를 찾습니다.
제품 정보를 탐색할 때도 포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동영상 미디어로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10대 남성 순위
1+2+3순위
10대 여성
관심 정보·키워드 검색 (41%) 1 관심 정보·키워드 검색 (65%)
제품 정보 탐색 (32%) 2 제품 정보 탐색 (29%)
동영상 콘텐츠 시청 (29%) 3 블로그·카페 활동 (29%)
제품 구매·주문 (27%) 4 동영상 콘텐츠 시청 (24%)
날씨 정보 확인 (21%) 5 제품 구매·주문 (24%)
연예·방송 뉴스 탐색 (18%) 6 날씨 정보 확인 (18%)
정치·사회 뉴스 탐색 (18%) 7 서비스 주문·예약 (18%)
블로그·카페 활동 (15%) 8 연예·방송 뉴스 탐색 (12%)
서비스 주문·예약 (12%) 9 기획 콘텐츠 열람(포스트, 스토리 등) (9%)
기획 콘텐츠 열람(포스트, 스토리 등) (9%) 10 정치·사회 뉴스 탐색 (6%)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SNS
10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는 ‘인스타그램 – X - 네이버 블로그’ 순입니다.
여성은 X와 네이버 블로그를, 남성은 틱톡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9%
29%
24% 24%
9%
3% 3% 3%
82%
50%
32%
12%
3%
6% 6%
3%
여성 이용률
50%
남성 이용률
24%
인스타그램 X (구.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틱톡 밴드 페이스북 밴드키즈 스레드
1 + 2 + 3 순위 응답
남성
여성
여성 이용률
32%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SNS이용목적
10대 응답자들은 SNS를 스낵 콘텐츠를 보기 위한 용도로 가장 많이 이용합니다.
이들은 SNS를 통해 지인들과 소통·교류하기도 하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를 확인해 트렌드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10대 남성 순위
1+2+3순위
10대 여성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56%) 1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67%)
지인들과 소통·교류 (38%) 2 지인들과 소통·교류 (52%)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 확인 (31%) 3 연예인 피드 탐색 (30%)
일상을 기록하기 위해 (16%) 4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 확인 (24%)
SNS 인플루언서 피드 탐색 (16%) 5 일상을 기록하기 위해 (15%)
패션·뷰티 트렌드 검색 (16%) 6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과 소통 (15%)
제품·서비스 관련 정보 검색 (13%) 7 SNS 인플루언서 피드 탐색 (12%)
연예인 피드 탐색 (9%) 8 제품·서비스 관련 정보 검색 (12%)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과 소통 (6%) 9 패션·뷰티 트렌드 검색 (9%)
SNS 쇼핑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6%) 10 SNS 쇼핑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9%)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메신저
10대의 주 이용 메신저는 카카오톡이지만, 인스타그램 DM의 이용률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재미있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등 인스타그램 DM을 소통에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79% 79%
26%
6%
9%
3% 3% 3%
6%
91%
65%
26%
9%
6%
3% 3%
0%
3%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DM 디스코드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스냅챗 왓츠앱 팀즈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음
1 + 2 + 3 순위 응답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인스타그램 DM 순위
1+2+3순위
디스코드
주 이용 SNS 메신저라서 (57%) 1 PC·모바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61%)
주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57%) 2 주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33%)
재미있는 콘텐츠 공유가 편리해서 (43%) 3 단체 대화방 이용이 편리해서 (33%)
PC·모바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20%) 4 재미있는 콘텐츠 공유가 편리해서 (22%)
단체 대화방 이용이 편리해서 (16%) 5 주 이용 SNS 메신저라서 (22%)
파일·사진 등 정보 공유가 편리해서 (8%) 6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쉬워서 (17%)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쉬워서 (6%) 7 파일·사진 등 정보 공유가 편리해서 (17%)
익명 대화 기능을 지원해서 (4%) 8 익명 대화 기능을 지원해서 (11%)
타 메신저 대비 보안이 뛰어나서 (4%) 9 타 메신저 대비 보안이 뛰어나서 (6%)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메신저라서 (2%) 10 -
메신저이용이유
10대는 주 이용 SNS 메신저이면서 재미있는 콘텐츠를 지인들에게 공유하기 쉽기 때문에 인스타그램 DM을 이용합니다.
반면 디스코드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PC와 모바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커뮤니티
10대 남녀가 주로 이용하는 커뮤니티는 네이버 카페와 카카오톡 오픈채팅입니다.
남성은 상대적으로 디시인사이드를, 여성은 당근 동네생활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1 + 2 + 3 순위 응답
35%
29%
18%
6%
9%
12%
3% 3%
35%
29%
9%
15%
6%
0%
9%
3%
네이버 카페 카카오 오픈채팅 디시인사이드 당근 동네생활 에브리타임 블라인드 네이트판 다음 카페
여성 이용률
15%
남성 이용률
18%
남성
여성
04
정보 탐색 활동
정보 접촉 채널
정보 탐색 경로
포털 사이트에서의 탐색 정보
동영상 미디어에서의 탐색 정보
SNS에서의 탐색 정보
| 10대의 정보 탐색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SNS 동영상 채널 포털사이트 TV 커뮤니티/사이트 OTT
47%
35%
21% 21%
9%
12%
59%
32% 32%
29%
18%
9%
10대는 SNS로 가장 많은 정보를 접합니다.
남성은 동영상 채널, 여성은 포털사이트와 TV를 통한 정보 접촉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합니다.
10대남녀정보접촉채널
1 + 2 + 3 순위 응답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네이버 구글 유튜브 인스타그램 X (구.트위터) 대화형 AI 서비스 틱톡
56%
59%
44%
15%
6% 6% 6%
76%
53%
38%
15%
21%
15%
3%
10대의 주요 정보 탐색 경로는 ‘네이버 – 구글 – 유튜브’ 순입니다.
여성은 네이버를 가장 선호하지만, 남성은 구글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대남녀정보탐색경로
1 + 2 + 3 순위 응답
여성 이용률
76%
남성 이용률
59%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포털사이트탐색정보
대부분 학생인 10대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교육·학습 관련 정보를 주로 찾습니다.
10대 남성의 경우 게임과 IT, 여성은 연예인〮셀럽과 관련된 정보도 자주 탐색합니다.
네이버 순위
1+2+3순위
10대 남성 10대 여성
교육·학습 (29%) 1 게임 (32%) 교육·학습 (39%)
연예인·셀럽 (18%) 2 가전·IT (21%) 연예인·셀럽 (23%)
게임 (18%) 3 교육·학습 (16%) 정치·사회 (23%)
정치·사회 (16%) 4 패션·잡화 (16%) 영화·드라마 (19%)
영화·드라마 (13%) 5 금융·증권 (16%) 출판·도서 (19%)
패션·잡화 (13%) 6 연예인·셀럽 (11%) 음악·공연 (19%)
출판·도서 (11%) 7 부동산·재테크 (11%) 패션·잡화 (12%)
음악·공연 (11%) 8 스포츠·레저 (11%) 식음료·요리 (12%)
가전·IT (9%) 9 정치·사회 (5%) 뷰티·화장품 (12%)
금융·증권 (9%) 10 영화·드라마 (5%) 게임 (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미디어탐색정보
동영상 미디어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정보를 많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대 남성은 게임과 스포츠·레저, 여성은 음악·공연과 연예인·셀럽 관련 정보를 찾아봅니다.
유튜브 순위
1+2+3순위
10대 남성 10대 여성
게임 (43%) 1 게임 (53%) 음악·공연 (62%)
음악·공연 (36%) 2 스포츠·레저 (27%) 연예인·셀럽 (54%)
연예인·셀럽 (32%) 3 반려동물 (20%) 게임 (31%)
스포츠·레저 (18%) 4 자동차 (20%) 뷰티·화장품 (23%)
영화·드라마 (14%) 5 음악·공연 (13%) 영화·드라마 (15%)
뷰티·화장품 (14%) 6 연예인·셀럽 (13%) 교육·학습 (15%)
반려동물(14%) 7 영화·드라마 (13%) 스포츠·레저 (8%)
자동차 (11%) 8 음식·요리 (13%) 반려동물 (8%)
음식·요리 (7%) 9 뷰티·화장품 (7%) 부동산·재테크 (8%)
교육·학습 (7%) 10 부동산·재테크 (7%) 패션·잡화 (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SNS탐색정보
SNS에서는 연예인·셀럽에 대한 정보를 자주 탐색합니다.
음악·공연, 영화·드라마 관련 정보도 10대가 관심 가지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인스타그램 순위
1+2+3순위
10대 남성 10대 여성
연예인·셀럽 (30%) 1 연예인·셀럽 (40%) 음악·공연 (40%)
음악·공연 (20%) 2 부동산·재테크 (40%) 영화·드라마 (40%)
영화·드라마 (20%) 3 음식·요리 (40%) 연예인·셀럽 (20%)
부동산·재테크 (20%) 4 반려동물 (20%) 뷰티·화장품 (20%)
음식·요리 (20%) 5 여행·숙박·항공 (20%) 여행·숙박·항공 (20%)
반려동물 (20%) 6 금융·증권 (20%) 반려동물 (20%)
여행·숙박·항공 (20%) 7 자동차 (20%) 가전·IT (20%)
금융·증권 (10%) 8 패션·잡화 (20%) 가구·침구·생활 (20%)
뷰티·화장품 (10%) 9 출판·도서 (20%) -
자동차 (10%) 10 - -
05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DA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동영상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숏폼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광고 상품 유형별 구매 영항
| 10대 타겟에게는 어떤 광고 상품이 알맞을까?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SNS 활동을 왕성하게 하는 만큼, 광고 주목도 또한 SNS 피드 광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오가닉 콘텐츠 사이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네이티브 광고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효과적입니다.
DA광고상품유형별주목도
1 + 2 순위 응답
26% 26%
9%
26%
21%
18%
9%
29%
24%
41%
21%
15% 15%
6%
SNS피드 광고 인앱 팝업 광고 네이티브 광고 메신저 앱 최상단 광고 앱 전면 광고 포털 사이트 웹/앱 메인 광고 네트워크 배너 광고
여성 이용률
41%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가장 주목도 높은 동영상 광고 역시 SNS 피드 광고입니다.
다음으로는 영상 콘텐츠 전·중·후에 나오는 인스트림 광고, 앱 이용 중 나타나는 인앱 광고 순입니다.
동영상광고상품유형별주목도
1 + 2 순위 응답
35%
24%
29%
26%
21%
47%
41%
35%
21%
15%
SNS피드 동영상 광고 인스트림 동영상 광고 인앱 동영상 광고 포털 사이트 메인 동영상 광고 네이티브 동영상 광고
남성
여성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 타겟 숏폼 광고를 제작할 때에는 짧고 간결하게 제품의 핵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리뷰 광고나 콘텐츠 내에 자연스럽게 제품을 노출하는 PPL 광고도 10대에게 효과적인 유형입니다.
숏폼광고상품유형별주목도
1 + 2 순위 응답
42%
32%
16%
26%
42%
16%
42%
35% 35%
26%
6%
23%
남성
여성
제품의 특징을 담은
정보성 광고
인플루언서 영상·피드의
추천 또는 리뷰 광고
숏폼 콘텐츠의
PPL 광고
챌린지 형식의
참여형 광고
기존 광고를
세로형으로 편집한 광고
드라마나 예능 형식의
스토리형 광고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제품을 구매할 때 인플루언서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여성에게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집니다.
SNS 피드 광고도 제품 구매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광고상품유형별구매영향
38%
21%
18% 18%
15%
9% 9%
6%
9%
50%
35%
18%
15%
12%
9%
6% 6%
0%
인플루언서 영상·피드의
추천 또는 리뷰 광고
SNS피드 광고 영상 콘텐츠의
PPL 광고
프리롤·미드롤 등
인스트림 영상 광고
인앱
동영상·이미지 광고
기사, 게시물, 체험기 등
네이티브 광고
이미지형 배너 광고 플로팅 광고 키워드 광고
1 + 2 순위 응답
남성
여성
06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동영상 광고 선호 길이
동영상 광고 적정 시청 횟수
불편하게 느껴지는 동영상 광고 유형
광고 유형과 형태에 따른 인지 정도
동영상 광고 소재에 대한 태도
인플루언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태도
| 10대 타겟은 어떤 동영상 광고에 반응할까?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5초이내의광고선호,광고적정노출횟수는2~3회
10대의 53%는 5초 이내의 짧은 광고를 선호한다고 응답했습니다.
반복 시청 횟수는 2~3회가 적당합니다.
5초 이내 광고를
선호한다
53%
동영상 광고 선호 길이 인지에 효과적인 동영상 광고 시청 횟수
6회 이상
(12%)
1회
(10%)
4~5회
(32%)
2~3회 시청 후
가장 기억에 남는다
46%
6~10초
(30%)
11~15초
(10%)
16초 이상
(7%)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스킵할수없는광고가가장불편,제품·이미지로까지부정적영향
10대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스킵 할 수 없는 광고가 가장 불편하게 느껴진다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불편감은 제품 또는 브랜드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스킵 할 수 없는 광고에
불편함을 느낀다
71%
불편하게 느껴지는 동영상 광고 불편함을 느낀 광고가 제품·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그렇지 않다
(13%)
보통이다
(10%)
불편함을 느낀 광고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77%
미드롤 광고
(18%)
프리롤 광고
(1%)
앱 내 팝업 광고
(10%)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영상 시청 도중에 나타나는 미드롤 광고가 프리롤 광고보다 더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습니다.
숏폼을 오래 시청하는 만큼, 기존 가로 형태의 광고보다는 세로형 숏폼 형태의 광고에 더 주목합니다.
미드롤보다프리롤,가로형보다세로형(숏폼)광고선호
미드롤 광고가
더 기억에 남는다
57%
광고 유형에 따른 인지 정도: 프리롤 vs. 미드롤
기존 광고 형태보다(가로형)
숏폼(세로형) 형태가 더 주목된다
68%
보통이다
(20%)
그렇지 않다
(12%)
광고 형태에 따른 인지 정도: 가로형(기존) vs. 세로형(숏폼)
프리롤 광고
(43%)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광고소재에대한태도
10대 타겟 광고 소재를 제작한다면, 이들이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셀럽을 기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좋아하는 콘텐츠 내용과 관련된 광고에 거부감을 덜 느끼므로, 관심사 기반 타겟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좋아하는 콘텐츠 시청 전·중간에 나오는
광고는 거부감이 적다
좋아하는 콘텐츠 내용과 관련된
광고는 거부감이 적다
좋아하는 연예인·모델의
광고는 거부감이 적다
시청 대기 중인 콘텐츠의 출연자가
등장하는 광고는 더 주목하게 된다
그렇다
24%
그렇다
54%
그렇다
60%
그렇다
47%
보통이다
32%
보통이다
25%
보통이다
28%
보통이다
35%
그렇지 않다
44%
그렇지 않다
21%
그렇지 않다
12%
그렇지 않다
1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인플루언서광고콘텐츠에대한태도
10대 10명 중 4명은 콘텐츠를 보기 전 광고인지 아닌지 확인하지만, 표기만 제대로 하면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광고 콘텐츠에 대해 비교적 중립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광고인 걸 알면서도 재밌게 볼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콘텐츠 시청 시
광고성 콘텐츠인지 확인한다
광고성 콘텐츠라도
표기를 제대로 하면 문제 없다
광고성 콘텐츠는
제외하고 시청한다
콘텐츠에 등장하는
브랜드·제품에 관심이 생긴다
그렇다
40%
그렇다
59%
그렇다
34%
그렇다
34%
보통이다
26%
보통이다
25%
보통이다
35%
보통이다
31%
그렇지 않다
34%
그렇지 않다
16%
그렇지 않다
31%
그렇지 않다
35%
CJ메조미디어2025타겟분석리포트
151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1519
TARGET
REPORT
303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3039
TARGET
REPORT
404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4049
TARGET
REPORT
202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2029
TARGET
REPORT
505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5059
TARGET
REPORT
©2025. CJMezzomedia Co. All rights reserved.
M E D I A | M A R K E T | C O N S U M E R
연락
·
문의
연락·문의
뉴스레터 구독신청
뉴스레터 구독신청
INSIGHT M
자료실
INSIGHT M 자료실

More Related Content

PDF
[메조미디어] M세대 부모 소비자 리포트
PDF
메조미디어_2022타겟리포트_30대.pdf
PDF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PDF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PDF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50대
PDF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30대
PDF
[메조미디어] 2023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_① 여가/취미 편
PDF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메조미디어] M세대 부모 소비자 리포트
메조미디어_2022타겟리포트_30대.pdf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메조미디어]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50대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30대
[메조미디어] 2023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_① 여가/취미 편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디지털 트렌드

What's hot (9)

PDF
social media
PPTX
Tema 2. Medios de comunicación y sus retos en Latinoamérica.
PPTX
Why social media in covid 19
PPTX
Research on Negative Effects Of Using Social Media
PPTX
Social media
PDF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30대 / 3039 TARGET REPORT
PDF
Customization, Person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Email: What's the Differe...
PDF
Social Media Crisis Management
PDF
The WeChat Story
social media
Tema 2. Medios de comunicación y sus retos en Latinoamérica.
Why social media in covid 19
Research on Negative Effects Of Using Social Media
Social media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30대 / 3039 TARGET REPORT
Customization, Person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Email: What's the Differe...
Social Media Crisis Management
The WeChat Story
Ad

Similar to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 1519 TARGET REPORT (20)

PDF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 1519 TARGET REPORT
PDF
메조미디어_2022타겟리포트_10대.pdf
PDF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 2029 TARGET REPORT
PDF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 2029 TARGET REPORT.pdf
PDF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30대 / 3039 TARGET REPORT
PDF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40대 / 4049 TARGET REPORT
PDF
[메조미디어] 2019 타겟오디언스 리포트_10대
PDF
메조미디어_2022타겟리포트_20대.pdf
PDF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PDF
2018 npr_nasmedia_(f)
PDF
2018 targetreport 10
PDF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40대
PDF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40대 / 4049 TARGET REPORT
PDF
2019 npr (f)
PDF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PDF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50대 / 5059 TARGET REPORT
PDF
[메조미디어] 2024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_여가·취미 편 / DIGITALLIFESTYLE_FREE TIME/HOBBY
PDF
Nasreport_2021 NPR_인터넷 이용자 조사_2104
PDF
MezzoMedia – 디지털 동영상 이용 행태 [Research]
PDF
Nasreport_2021 NPR_인터넷 이용자 조사_2104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 1519 TARGET REPORT
메조미디어_2022타겟리포트_10대.pdf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 2029 TARGET REPORT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20대 / 2029 TARGET REPORT.pdf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30대 / 3039 TARGET REPORT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40대 / 4049 TARGET REPORT
[메조미디어] 2019 타겟오디언스 리포트_10대
메조미디어_2022타겟리포트_20대.pdf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2018 npr_nasmedia_(f)
2018 targetreport 10
[메조미디어] 2023 타겟 분석 리포트_40대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40대 / 4049 TARGET REPORT
2019 npr (f)
[BLUE Line] 저승사자 캠페인 Media Plan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50대 / 5059 TARGET REPORT
[메조미디어] 2024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_여가·취미 편 / DIGITALLIFESTYLE_FREE TIME/HOBBY
Nasreport_2021 NPR_인터넷 이용자 조사_2104
MezzoMedia – 디지털 동영상 이용 행태 [Research]
Nasreport_2021 NPR_인터넷 이용자 조사_2104
Ad

More from MezzoMedia (20)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9
PDF
[메조미디어] 2025 CJ메조미디어 옥외광고 소개서 / 2025 CJ MezzoMedia OOH Introduction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7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6
PDF
[리스닝마인드 X DXE] 검색 데이터로 읽은 소비자 심리, 마케팅 전략이 되다!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5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4
PDF
[메조미디어] 뷰티 업종을 위한 추천 미디어&광고 / [Mezzomedia] Beauty Marketing Guide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3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2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1
PDF
[메조미디어] 2025 트렌드 리포트 / 2025 디지털 미디어 시장 전망 / Digital Marketing&Media Trend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12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11
PDF
[메조미디어] 2024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_소비·쇼핑 편 / DIGITALLIFESTYLE_SHOPPING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10.pdf
PDF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50대 / 5059 TARGET REPORT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9.pdf
PDF
[메조미디어] 소비트렌드리포트 / MezzoMedia_Consumer_report_02.초단축 소비
PDF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8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9
[메조미디어] 2025 CJ메조미디어 옥외광고 소개서 / 2025 CJ MezzoMedia OOH Introduction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7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6
[리스닝마인드 X DXE] 검색 데이터로 읽은 소비자 심리, 마케팅 전략이 되다!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5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4
[메조미디어] 뷰티 업종을 위한 추천 미디어&광고 / [Mezzomedia] Beauty Marketing Guide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3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2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5.01
[메조미디어] 2025 트렌드 리포트 / 2025 디지털 미디어 시장 전망 / Digital Marketing&Media Trend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12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11
[메조미디어] 2024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_소비·쇼핑 편 / DIGITALLIFESTYLE_SHOPPING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10.pdf
[메조미디어] 2024 타겟 분석 리포트_50대 / 5059 TARGET REPORT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9.pdf
[메조미디어] 소비트렌드리포트 / MezzoMedia_Consumer_report_02.초단축 소비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 / Media&Market Report_2024.08

[메조미디어] 2025 타겟 분석 리포트_10대 / 1519 TARGET REPORT

  • 1. 1519 1519 TARGET REPORT ©2025. CJMezzomedia Co. All rights reserved. 2025 타겟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 2. 주 이용 포털사이트 (중복응답) 주 이용 커뮤니티(중복응답) 주 이용 SNS (중복응답) 광고 상품별 주목도(중복응답) 82분 306분 93분 44분 56분 62분 326분 124분 75분 40분 TV 인터넷 동영상 미디어 숏폼 미디어 OTT 숏폼 이용률 OTT 이용률 숏폼을시청한다 98% 주 이용 숏폼 미디어(중복응답) 1위. 유튜브 쇼츠 (84%) 2위. 인스타그램 릴스 (78%) 3위. 틱톡 (16%) OTT를시청한다 60% 주 이용 OTT 서비스(중복응답) 1위. 넷플릭스 (85%) 2위. 티빙 (31%) 3위. 쿠팡플레이 (21%) 1519 TARGET REPORT SUMMARY 어떤 세대보다 디지털 생태계와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10대는 여가부터 학습까지 다양한 활동에 디지털을 활용합니다. 이들은 영상 콘텐츠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며, 전 연령 중 동영상 시청 시간이 가장 길고 숏폼 트렌드를 주도하는 세대이기도 합니다. 10대에게 동영상 미디어는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므로, 이들이 어떤 미디어를 주로 사용하고 어떤 콘텐츠를 시청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리포트에서는 10대에게 효과적인 광고 매체부터 유형까지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별 일평균 이용 시간 전 연령대 10대 1위. 네이버 (88%) 2위. 구글 (85%) 3위. 다음 (22%) 1위. 인스타그램 (81%) 2위. X (40%) 3위. 네이버 블로그 (28%) 1위. 네이버 카페 (35%) 2위. 카카오 오픈채팅 (29%) 3위. 디시인사이드 (13%) DA 1위. SNS 피드 광고 (28%) 동영상 1위. SNS 피드 광고 (41%) 숏폼 1위. 정보성 광고 (42%)
  • 3. 01 조사 개요 02 미디어 이용 행태 03 주 이용 미디어 1519 TARGET REPORT INDEX 일평균 이용 시간 – TV 07 일평균 이용 시간 – 인터넷 08 일평균 이용 시간 – 동영상 미디어 09 일평균 이용 시간 – OTT 10 인터넷 주 이용 시간대 11 인터넷에서의 주요 활동 12 주 이용 동영상 미디어 & 시청 콘텐츠 14 주 이용 숏폼 미디어 & 시청 콘텐츠 17 주 이용 OTT 20 주 이용 포털 사이트 22 주 이용 SNS 24 주 이용 메신저 26 주 이용 커뮤니티 28 DA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36 동영상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37 숏폼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38 광고 상품 유형별 구매 영항 39 동영상 광고 선호 길이 & 적정 시청 횟수 41 불편하게 느껴지는 동영상 광고 유형 42 광고 유형과 형태에 따른 인지 정도 43 동영상 광고 소재에 대한 태도 44 인플루언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태도 45 정보 접촉 채널 30 정보 탐색 경로 31 포털 사이트에서의 탐색 정보 32 동영상 미디어에서의 탐색 정보 33 SNS에서의 탐색 정보 34 04 정보 탐색 활동 05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조사 설계 및 응답자 특성 05 | 목차의 주제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4. 01 조사 개요 조사 설계 및 응답자 특성
  • 5. 1519 TARGET REPORT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조사설계및응답자특성 성별 직업 분포 남성 50% 여성 50% 중/고등학생 72% 대학생 27% 기타 1% 가구원 수 월 가구 소득 10% 60% 24% 4% 2% 21% 27% 27% 25% 300만미만 500만미만 700만미만 700만이상 1인 2인 3인 4인 5인 ~ 조사 설계 조사 목적 10대 남녀 미디어 이용 행태 조사 조사 방법 온라인 설문 조사 지역 서울/경기, 5대 광역시 조사 대상 15 ~ 19세 남녀 조사 규모 총 68명 조사 기간 2025.03.10 ~ 2025.03.14
  • 6. 02 미디어 이용 행태 일평균 이용 시간 – TV 일평균 이용 시간 – 인터넷 일평균 이용 시간 – 동영상 미디어 일평균 이용 시간 – OTT 인터넷 주 이용 시간대 인터넷에서의 주요 활동 | 10대 타겟은 미디어를 언제, 어떻게 이용할까?
  • 7.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일평균 TV 시청 시간은 1시간 2분으로 전 연령 중 가장 짧습니다. 주로 스마트TV에서 제공하는 유튜브, OTT 앱 등을 이용해 콘텐츠를 시청합니다. 1분 이상 ~ 30분 (22%) 시청 안 함 (24%) 1시간 초과 ~ 2시간 (18%) 2시간 초과 (10%) 30분 초과 ~ 1시간 (26%) 지상파 채널 (24%) IPTV VOD (12%) 일평균 TV 시청 시간 1시간 2분 주 시청 TV 콘텐츠 채널 스마트TV 앱 49% 케이블 채널 (15%) 10대남녀TV시청시간 (유튜브, OTT, 스마트TV 무료 콘텐츠 등)
  • 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일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5시간 26분에 달합니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세대인 만큼 인터넷을 이용할 때는 PC보다 모바일을 선호합니다. 일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 5시간 26분 2시간 초과 ~ 4시간 (22%) 2시간 이하 (16%) 6시간 초과 ~ 8시간 (16%) 8시간 초과 (16%) 4시간 초과 ~ 6시간 (30%) 인터넷 이용 디바이스 MO 63% PC (37%) 10대남녀인터넷이용시간
  • 9.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전 연령 중 동영상을 가장 많이 보는 세대입니다. 하루 약 2시간 정도 동영상을 시청하며 이 중 절반 이상은 숏폼을 보는 데 씁니다. 일평균 동영상 채널 시청 시간 2시간 4분 일평균 숏폼 시청 시간 1시간 15분 1시간 이하 (38%) 1시간 초과 ~ 2시간 (31%) 2시간 초과 ~ 3시간 (9%) 3시간 초과 ~ 4시간 (12%) 4시간 초과 (10%) 30분 이하 (37%) 30분 초과 ~ 1시간 (29%) 1시간 초과 ~ 2시간 (24%) 2시간 초과 (10%) 10대남녀동영상미디어이용시간 TV 8% PC 15% 태블릿 PC 19% MO 58% 기기별 시청 비중
  • 10.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60%가 OTT를 시청하며, 일평균 시청 시간은 40분입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익숙한 이들은 OTT 콘텐츠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시청합니다. 일평균 OTT 시청 시간 40분 1시간 이하 (49%) 1시간 초과 ~2시간 (7%) 2시간 초과 (4%) TV (20%) PC (15%) 기기별 시청 비중 스마트폰 39% 태블릿PC (26%) 10대남녀OTT이용시간 시청 안 함 (40%)
  • 11.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의 인터넷 이용률은 하교 시간대인 오후 5시부터 증가하여 8시에서 11시 사이에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잠들기 전 심야 시간대의 이용률도 높은 편입니다. 9% 6% 0% 18% 12% 38% 62% 44% 9% 21% 3% 9% 0% 47% 59% 44% 1 + 2 순위 응답 기상 직후 (~ 07:00) 등교 시간대 (07:00~ 08:59) 오전 시간대 (09:00~ 10:59) 점심 시간대 (11:00~ 13:59) 오후 시간대 (14:00~ 16:59) 하교 시간대 (17:00~ 19:59) 저녁 시간대 (20:00~ 22:59) 심야 시간대 (23:00~) 10대남녀인터넷이용시간대 평균 남성 여성
  • 12.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인터넷에서 ‘SNS 활동 – 온라인 동영상 시청 – PC/모바일 게임 플레이’ 순으로 자주 합니다. 여성은 SNS 활동을, 남성은 PC/모바일 게임 플레이를 더 활발히 합니다. 남성 여성 1 + 2 + 3 순위 응답 SNS활동 온라인 동영상 시청 PC/모바일 게임 플레이 웹툰/웹소설 열람 OTT 영상 시청 음악 스트리밍 온라인 쇼핑 온라인 교육 학습 포털 사이트 정보 검색 44% 44% 59% 29% 21% 24% 12% 15% 12% 56% 53% 29% 38% 24% 15% 18% 9% 9% 남성 이용률 59% 인터넷에서의주요활동 여성 이용률 56%
  • 13. 03 주 이용 미디어 주 이용 동영상 미디어 & 시청 콘텐츠 주 이용 숏폼 미디어 & 시청 콘텐츠 주 이용 OTT 주 이용 포털 사이트 주 이용 SNS 주 이용 메신저 주 이용 커뮤니티 | 10대 타겟은 어디에서 만날 수 있을까?
  • 14.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동영상미디어 10대가 동영상을 보기 위해 가장 자주 찾는 미디어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입니다. X의 경우 여성의 이용률이 압도적이었으며, 남성은 틱톡과 숲의 이용률이 높습니다. 1 + 2 + 3 순위 응답 유튜브 인스타그램 X (구.트위터) 틱톡 숲 (구.아프리카TV) 치지직 스레드 네이버TV 91% 65% 6% 26% 18% 9% 6% 0% 91% 65% 35% 9% 6% 12% 3% 6% 남성 이용률 26% 여성 이용률 35% 남성 여성 남성 이용률 18%
  • 15.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남성 10대 남성이 동영상 미디어에서 주로 시청하는 콘텐츠는 바로 게임입니다. 음악·공연 콘텐츠나 인플루언서·BJ 활동 영상도 자주 시청합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1 게임 관련 콘텐츠 42% 게임 관련 콘텐츠 36% 음악·공연 33% 2 음악·공연 26% 인플루언서·BJ 활동 23% 웹예능·웹드라마 33% 3 인플루언서·BJ 활동 26% 음악·공연 18%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22% 4 영화·해외 드라마 관련 콘텐츠 16%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18% 뷰티·패션 정보 22% 5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16% 스포츠 관련 콘텐츠 18% TV 콘텐츠 방송·VOD 22%
  • 16.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여성 10대 여성은 동영상 미디어별로 시청하는 콘텐츠가 상이합니다. 유튜브에서는 음악·공연, 인스타그램에서는 뷰티·패션, X에서는 연예계 관련 영상을 더 많이 찾아봅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인스타그램 X (구. 트위터) 1 음악·공연 48% 뷰티·패션 정보 32% 연예계 소식·이슈 42% 2 게임 관련 콘텐츠 42%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32%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42% 3 영화·해외 드라마 관련 콘텐츠 23% 연예계 소식·이슈 27% 음악·공연 33% 4 연예인·셀럽 브이로그 23% 음식 관련 콘텐츠 27% 영화·해외 드라마 관련 콘텐츠 17% 5 뷰티·패션 정보 23% 음악·공연 23% 정치·사회 17%
  • 17.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숏폼미디어 10대가 주로 이용하는 숏폼 미디어를 조사한 결과,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 모두 높은 이용률을 보였습니다. 틱톡은 상대적으로 남성의 이용률이 높았습니다. 1 + 2 + 3 순위 응답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네이버 ‘클립’ 페이스북 ‘릴스’ 88% 76% 21% 9% 9% 79% 79% 12% 6% 3% 남성 여성 남성 이용률 21%
  • 1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숏폼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남성 10대 남성은 롱폼에 이어 숏폼 미디어에서도 게임 관련 영상을 즐겨 봅니다. 상황극과 먹방 또한 선호하는 숏폼 콘텐츠 중 하나입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1 게임 관련 콘텐츠 40% 게임 관련 콘텐츠 31% 연예계 소식·이슈 29% 2 상황극 콘텐츠 20% 음악·공연 27% 음악·공연 29% 3 먹방 콘텐츠 17%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23% 여행 관련 콘텐츠 29% 4 음식 관련 콘텐츠 (레시피, 맛집 등) 17% 상황극 콘텐츠 19% 뉴스·정치·시사 29% 5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17% 건강·운동 19% 먹방 콘텐츠 14%
  • 19.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숏폼미디어별시청콘텐츠-10대여성 10대 여성은 숏폼으로 먹방 콘텐츠를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TV·영화 콘텐츠 클립이나 연예계 이슈 영상을 시청하기도 합니다. 순위 1+2+3순위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1 먹방 콘텐츠 33% 먹방 콘텐츠 33% 연예계 소식·이슈 75% 2 TV·영화 콘텐츠 클립 영상 30% TV·영화 콘텐츠 클립 영상 22% 패션 관련 콘텐츠 75% 3 연예계 소식·이슈 26% 뷰티 관련 콘텐츠 22% 뷰티 관련 콘텐츠 25% 4 뷰티 관련 콘텐츠 26% 음악·공연 22% 먹방 콘텐츠 25% 5 음식 관련 콘텐츠 (레시피, 맛집 등) 22%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 22% 음악·공연 25%
  • 20.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OTT 10대가 주로 이용하는 OTT는 ‘넷플릭스 – 티빙 – 쿠팡플레이’ 순입니다. 축구 경기 중계에 특화된 쿠팡플레이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이 이용합니다. 1 + 2 + 3 순위 응답 넷플릭스 티빙 쿠팡플레이 왓챠플레이 라프텔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86% 29% 29% 7% 7% 7% 14% 84% 32% 16% 12% 12% 8% 4% 남성 여성 남성 이용률 29%
  • 21.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넷플릭스 순위 1+2+3순위 티빙 신작 업데이트가 잘 되어서 (39%) 1 스포츠 생중계를 볼 수 있어서 (33%) 오리지널·독점 콘텐츠가 매력적이라서 (36%) 2 오리지널·독점 콘텐츠가 매력적이라서 (33%) 콘텐츠가 다양해서 (36%) 3 콘텐츠가 다양해서 (33%) 인지도 높은 서비스라서 (36%) 4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17%) 여러 사람과 계정을 공유할 수 있어서 (15%) 5 내 취향에 맞는 알고리즘 추천이 잘 되어서 (8%)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12%) 6 인지도 높은 서비스라서 (8%) 시청 가능한 디바이스 종류가 많아서 (9%) 7 화질·음질 퀄리티가 높아서 (8%) 멤버십 혜택 중 하나라서 (6%) 8 실시간TV를 볼 수 있어서 (8%) 화질·음질 퀄리티가 높아서 (6%) 9 신작 업데이트가 잘 되어서 (8%) 내 취향에 맞는 알고리즘 추천이 잘 되어서 (6%) 10 멤버십 혜택 중 하나라서 (8%) OTT이용이유 10대가 넷플릭스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신작 업데이트가 잘 되어서입니다. 티빙은 프로야구리그 중계를 볼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 22.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포털사이트 10대 남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 사이트는 네이버와 구글입니다. 여성은 네이버를 더 선호하는 반면, 남성은 구글을 선호하는 모습입니다. 1 + 2 + 3 순위 응답 네이버 구글 다음 네이트 MS Bing 82% 91% 24% 0% 3% 94% 79% 21% 12% 3% 남성 여성
  • 23.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포털사이트이용목적 10대는 주로 관심 정보〮키워드를 검색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를 찾습니다. 제품 정보를 탐색할 때도 포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동영상 미디어로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10대 남성 순위 1+2+3순위 10대 여성 관심 정보·키워드 검색 (41%) 1 관심 정보·키워드 검색 (65%) 제품 정보 탐색 (32%) 2 제품 정보 탐색 (29%) 동영상 콘텐츠 시청 (29%) 3 블로그·카페 활동 (29%) 제품 구매·주문 (27%) 4 동영상 콘텐츠 시청 (24%) 날씨 정보 확인 (21%) 5 제품 구매·주문 (24%) 연예·방송 뉴스 탐색 (18%) 6 날씨 정보 확인 (18%) 정치·사회 뉴스 탐색 (18%) 7 서비스 주문·예약 (18%) 블로그·카페 활동 (15%) 8 연예·방송 뉴스 탐색 (12%) 서비스 주문·예약 (12%) 9 기획 콘텐츠 열람(포스트, 스토리 등) (9%) 기획 콘텐츠 열람(포스트, 스토리 등) (9%) 10 정치·사회 뉴스 탐색 (6%)
  • 24.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SNS 10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는 ‘인스타그램 – X - 네이버 블로그’ 순입니다. 여성은 X와 네이버 블로그를, 남성은 틱톡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9% 29% 24% 24% 9% 3% 3% 3% 82% 50% 32% 12% 3% 6% 6% 3% 여성 이용률 50% 남성 이용률 24% 인스타그램 X (구.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틱톡 밴드 페이스북 밴드키즈 스레드 1 + 2 + 3 순위 응답 남성 여성 여성 이용률 32%
  • 25.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SNS이용목적 10대 응답자들은 SNS를 스낵 콘텐츠를 보기 위한 용도로 가장 많이 이용합니다. 이들은 SNS를 통해 지인들과 소통·교류하기도 하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를 확인해 트렌드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10대 남성 순위 1+2+3순위 10대 여성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56%) 1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67%) 지인들과 소통·교류 (38%) 2 지인들과 소통·교류 (52%)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 확인 (31%) 3 연예인 피드 탐색 (30%) 일상을 기록하기 위해 (16%) 4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 확인 (24%) SNS 인플루언서 피드 탐색 (16%) 5 일상을 기록하기 위해 (15%) 패션·뷰티 트렌드 검색 (16%) 6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과 소통 (15%) 제품·서비스 관련 정보 검색 (13%) 7 SNS 인플루언서 피드 탐색 (12%) 연예인 피드 탐색 (9%) 8 제품·서비스 관련 정보 검색 (12%)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과 소통 (6%) 9 패션·뷰티 트렌드 검색 (9%) SNS 쇼핑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6%) 10 SNS 쇼핑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9%)
  • 26.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메신저 10대의 주 이용 메신저는 카카오톡이지만, 인스타그램 DM의 이용률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재미있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등 인스타그램 DM을 소통에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79% 79% 26% 6% 9% 3% 3% 3% 6% 91% 65% 26% 9% 6% 3% 3% 0% 3%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DM 디스코드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 스냅챗 왓츠앱 팀즈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음 1 + 2 + 3 순위 응답 남성 여성
  • 27.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인스타그램 DM 순위 1+2+3순위 디스코드 주 이용 SNS 메신저라서 (57%) 1 PC·모바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61%) 주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57%) 2 주변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33%) 재미있는 콘텐츠 공유가 편리해서 (43%) 3 단체 대화방 이용이 편리해서 (33%) PC·모바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20%) 4 재미있는 콘텐츠 공유가 편리해서 (22%) 단체 대화방 이용이 편리해서 (16%) 5 주 이용 SNS 메신저라서 (22%) 파일·사진 등 정보 공유가 편리해서 (8%) 6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쉬워서 (17%)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쉬워서 (6%) 7 파일·사진 등 정보 공유가 편리해서 (17%) 익명 대화 기능을 지원해서 (4%) 8 익명 대화 기능을 지원해서 (11%) 타 메신저 대비 보안이 뛰어나서 (4%) 9 타 메신저 대비 보안이 뛰어나서 (6%)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메신저라서 (2%) 10 - 메신저이용이유 10대는 주 이용 SNS 메신저이면서 재미있는 콘텐츠를 지인들에게 공유하기 쉽기 때문에 인스타그램 DM을 이용합니다. 반면 디스코드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PC와 모바일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2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주이용커뮤니티 10대 남녀가 주로 이용하는 커뮤니티는 네이버 카페와 카카오톡 오픈채팅입니다. 남성은 상대적으로 디시인사이드를, 여성은 당근 동네생활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1 + 2 + 3 순위 응답 35% 29% 18% 6% 9% 12% 3% 3% 35% 29% 9% 15% 6% 0% 9% 3% 네이버 카페 카카오 오픈채팅 디시인사이드 당근 동네생활 에브리타임 블라인드 네이트판 다음 카페 여성 이용률 15% 남성 이용률 18% 남성 여성
  • 29. 04 정보 탐색 활동 정보 접촉 채널 정보 탐색 경로 포털 사이트에서의 탐색 정보 동영상 미디어에서의 탐색 정보 SNS에서의 탐색 정보 | 10대의 정보 탐색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 30.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SNS 동영상 채널 포털사이트 TV 커뮤니티/사이트 OTT 47% 35% 21% 21% 9% 12% 59% 32% 32% 29% 18% 9% 10대는 SNS로 가장 많은 정보를 접합니다. 남성은 동영상 채널, 여성은 포털사이트와 TV를 통한 정보 접촉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합니다. 10대남녀정보접촉채널 1 + 2 + 3 순위 응답 남성 여성
  • 31.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네이버 구글 유튜브 인스타그램 X (구.트위터) 대화형 AI 서비스 틱톡 56% 59% 44% 15% 6% 6% 6% 76% 53% 38% 15% 21% 15% 3% 10대의 주요 정보 탐색 경로는 ‘네이버 – 구글 – 유튜브’ 순입니다. 여성은 네이버를 가장 선호하지만, 남성은 구글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대남녀정보탐색경로 1 + 2 + 3 순위 응답 여성 이용률 76% 남성 이용률 59% 남성 여성
  • 32.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포털사이트탐색정보 대부분 학생인 10대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교육·학습 관련 정보를 주로 찾습니다. 10대 남성의 경우 게임과 IT, 여성은 연예인〮셀럽과 관련된 정보도 자주 탐색합니다. 네이버 순위 1+2+3순위 10대 남성 10대 여성 교육·학습 (29%) 1 게임 (32%) 교육·학습 (39%) 연예인·셀럽 (18%) 2 가전·IT (21%) 연예인·셀럽 (23%) 게임 (18%) 3 교육·학습 (16%) 정치·사회 (23%) 정치·사회 (16%) 4 패션·잡화 (16%) 영화·드라마 (19%) 영화·드라마 (13%) 5 금융·증권 (16%) 출판·도서 (19%) 패션·잡화 (13%) 6 연예인·셀럽 (11%) 음악·공연 (19%) 출판·도서 (11%) 7 부동산·재테크 (11%) 패션·잡화 (12%) 음악·공연 (11%) 8 스포츠·레저 (11%) 식음료·요리 (12%) 가전·IT (9%) 9 정치·사회 (5%) 뷰티·화장품 (12%) 금융·증권 (9%) 10 영화·드라마 (5%) 게임 (8%)
  • 33.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미디어탐색정보 동영상 미디어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정보를 많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대 남성은 게임과 스포츠·레저, 여성은 음악·공연과 연예인·셀럽 관련 정보를 찾아봅니다. 유튜브 순위 1+2+3순위 10대 남성 10대 여성 게임 (43%) 1 게임 (53%) 음악·공연 (62%) 음악·공연 (36%) 2 스포츠·레저 (27%) 연예인·셀럽 (54%) 연예인·셀럽 (32%) 3 반려동물 (20%) 게임 (31%) 스포츠·레저 (18%) 4 자동차 (20%) 뷰티·화장품 (23%) 영화·드라마 (14%) 5 음악·공연 (13%) 영화·드라마 (15%) 뷰티·화장품 (14%) 6 연예인·셀럽 (13%) 교육·학습 (15%) 반려동물(14%) 7 영화·드라마 (13%) 스포츠·레저 (8%) 자동차 (11%) 8 음식·요리 (13%) 반려동물 (8%) 음식·요리 (7%) 9 뷰티·화장품 (7%) 부동산·재테크 (8%) 교육·학습 (7%) 10 부동산·재테크 (7%) 패션·잡화 (8%)
  • 34.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SNS탐색정보 SNS에서는 연예인·셀럽에 대한 정보를 자주 탐색합니다. 음악·공연, 영화·드라마 관련 정보도 10대가 관심 가지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인스타그램 순위 1+2+3순위 10대 남성 10대 여성 연예인·셀럽 (30%) 1 연예인·셀럽 (40%) 음악·공연 (40%) 음악·공연 (20%) 2 부동산·재테크 (40%) 영화·드라마 (40%) 영화·드라마 (20%) 3 음식·요리 (40%) 연예인·셀럽 (20%) 부동산·재테크 (20%) 4 반려동물 (20%) 뷰티·화장품 (20%) 음식·요리 (20%) 5 여행·숙박·항공 (20%) 여행·숙박·항공 (20%) 반려동물 (20%) 6 금융·증권 (20%) 반려동물 (20%) 여행·숙박·항공 (20%) 7 자동차 (20%) 가전·IT (20%) 금융·증권 (10%) 8 패션·잡화 (20%) 가구·침구·생활 (20%) 뷰티·화장품 (10%) 9 출판·도서 (20%) - 자동차 (10%) 10 - -
  • 35. 05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DA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동영상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숏폼 광고 상품 유형별 주목도 광고 상품 유형별 구매 영항 | 10대 타겟에게는 어떤 광고 상품이 알맞을까?
  • 36.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SNS 활동을 왕성하게 하는 만큼, 광고 주목도 또한 SNS 피드 광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오가닉 콘텐츠 사이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네이티브 광고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효과적입니다. DA광고상품유형별주목도 1 + 2 순위 응답 26% 26% 9% 26% 21% 18% 9% 29% 24% 41% 21% 15% 15% 6% SNS피드 광고 인앱 팝업 광고 네이티브 광고 메신저 앱 최상단 광고 앱 전면 광고 포털 사이트 웹/앱 메인 광고 네트워크 배너 광고 여성 이용률 41% 남성 여성
  • 37.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가장 주목도 높은 동영상 광고 역시 SNS 피드 광고입니다. 다음으로는 영상 콘텐츠 전·중·후에 나오는 인스트림 광고, 앱 이용 중 나타나는 인앱 광고 순입니다. 동영상광고상품유형별주목도 1 + 2 순위 응답 35% 24% 29% 26% 21% 47% 41% 35% 21% 15% SNS피드 동영상 광고 인스트림 동영상 광고 인앱 동영상 광고 포털 사이트 메인 동영상 광고 네이티브 동영상 광고 남성 여성
  • 38.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 타겟 숏폼 광고를 제작할 때에는 짧고 간결하게 제품의 핵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리뷰 광고나 콘텐츠 내에 자연스럽게 제품을 노출하는 PPL 광고도 10대에게 효과적인 유형입니다. 숏폼광고상품유형별주목도 1 + 2 순위 응답 42% 32% 16% 26% 42% 16% 42% 35% 35% 26% 6% 23% 남성 여성 제품의 특징을 담은 정보성 광고 인플루언서 영상·피드의 추천 또는 리뷰 광고 숏폼 콘텐츠의 PPL 광고 챌린지 형식의 참여형 광고 기존 광고를 세로형으로 편집한 광고 드라마나 예능 형식의 스토리형 광고
  • 39.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제품을 구매할 때 인플루언서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여성에게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집니다. SNS 피드 광고도 제품 구매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광고상품유형별구매영향 38% 21% 18% 18% 15% 9% 9% 6% 9% 50% 35% 18% 15% 12% 9% 6% 6% 0% 인플루언서 영상·피드의 추천 또는 리뷰 광고 SNS피드 광고 영상 콘텐츠의 PPL 광고 프리롤·미드롤 등 인스트림 영상 광고 인앱 동영상·이미지 광고 기사, 게시물, 체험기 등 네이티브 광고 이미지형 배너 광고 플로팅 광고 키워드 광고 1 + 2 순위 응답 남성 여성
  • 40. 06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동영상 광고 선호 길이 동영상 광고 적정 시청 횟수 불편하게 느껴지는 동영상 광고 유형 광고 유형과 형태에 따른 인지 정도 동영상 광고 소재에 대한 태도 인플루언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태도 | 10대 타겟은 어떤 동영상 광고에 반응할까?
  • 41.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5초이내의광고선호,광고적정노출횟수는2~3회 10대의 53%는 5초 이내의 짧은 광고를 선호한다고 응답했습니다. 반복 시청 횟수는 2~3회가 적당합니다. 5초 이내 광고를 선호한다 53% 동영상 광고 선호 길이 인지에 효과적인 동영상 광고 시청 횟수 6회 이상 (12%) 1회 (10%) 4~5회 (32%) 2~3회 시청 후 가장 기억에 남는다 46% 6~10초 (30%) 11~15초 (10%) 16초 이상 (7%)
  • 42.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스킵할수없는광고가가장불편,제품·이미지로까지부정적영향 10대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스킵 할 수 없는 광고가 가장 불편하게 느껴진다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불편감은 제품 또는 브랜드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스킵 할 수 없는 광고에 불편함을 느낀다 71% 불편하게 느껴지는 동영상 광고 불편함을 느낀 광고가 제품·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그렇지 않다 (13%) 보통이다 (10%) 불편함을 느낀 광고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77% 미드롤 광고 (18%) 프리롤 광고 (1%) 앱 내 팝업 광고 (10%)
  • 43.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10대는 영상 시청 도중에 나타나는 미드롤 광고가 프리롤 광고보다 더 기억에 남는다고 답했습니다. 숏폼을 오래 시청하는 만큼, 기존 가로 형태의 광고보다는 세로형 숏폼 형태의 광고에 더 주목합니다. 미드롤보다프리롤,가로형보다세로형(숏폼)광고선호 미드롤 광고가 더 기억에 남는다 57% 광고 유형에 따른 인지 정도: 프리롤 vs. 미드롤 기존 광고 형태보다(가로형) 숏폼(세로형) 형태가 더 주목된다 68% 보통이다 (20%) 그렇지 않다 (12%) 광고 형태에 따른 인지 정도: 가로형(기존) vs. 세로형(숏폼) 프리롤 광고 (43%)
  • 44.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동영상광고소재에대한태도 10대 타겟 광고 소재를 제작한다면, 이들이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셀럽을 기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좋아하는 콘텐츠 내용과 관련된 광고에 거부감을 덜 느끼므로, 관심사 기반 타겟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좋아하는 콘텐츠 시청 전·중간에 나오는 광고는 거부감이 적다 좋아하는 콘텐츠 내용과 관련된 광고는 거부감이 적다 좋아하는 연예인·모델의 광고는 거부감이 적다 시청 대기 중인 콘텐츠의 출연자가 등장하는 광고는 더 주목하게 된다 그렇다 24% 그렇다 54% 그렇다 60% 그렇다 47% 보통이다 32% 보통이다 25% 보통이다 28% 보통이다 35% 그렇지 않다 44% 그렇지 않다 21% 그렇지 않다 12% 그렇지 않다 18%
  • 45. 01 | 조사 개요 03 | 주 이용 미디어 04 | 정보 탐색 활동 05 | 효과적인 광고 상품 유형 06 | 동영상 광고 반응 요소 02 | 미디어 이용 행태 1519 TARGET REPORT 인플루언서광고콘텐츠에대한태도 10대 10명 중 4명은 콘텐츠를 보기 전 광고인지 아닌지 확인하지만, 표기만 제대로 하면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광고 콘텐츠에 대해 비교적 중립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광고인 걸 알면서도 재밌게 볼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콘텐츠 시청 시 광고성 콘텐츠인지 확인한다 광고성 콘텐츠라도 표기를 제대로 하면 문제 없다 광고성 콘텐츠는 제외하고 시청한다 콘텐츠에 등장하는 브랜드·제품에 관심이 생긴다 그렇다 40% 그렇다 59% 그렇다 34% 그렇다 34% 보통이다 26% 보통이다 25% 보통이다 35% 보통이다 31% 그렇지 않다 34% 그렇지 않다 16% 그렇지 않다 31% 그렇지 않다 35%
  • 46. CJ메조미디어2025타겟분석리포트 151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1519 TARGET REPORT 303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3039 TARGET REPORT 404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4049 TARGET REPORT 202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2029 TARGET REPORT 5059 미디어 이용 행태 분석 5059 TARGET REPORT
  • 47. ©2025. CJMezzomedia Co. All rights reserved. M E D I A | M A R K E T | C O N S U M E R 연락 · 문의 연락·문의 뉴스레터 구독신청 뉴스레터 구독신청 INSIGHT M 자료실 INSIGHT M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