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디지털트윈 시공간 현상 정보 가시화 사례와 과제
신상희 shshin@gaia3d.com
2024년 6월 1일
<2024년 한국지도학회 춘계학술대회>
환경 디지털트윈의 특성
01
- 2 -
<Sourc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66638992100221X> <Source: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env.2789>
<Source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8-021-00986-y>
환경 디지털트윈
도전 과제
① 환경 분야 데이터 과학 및 AI
② 프로세스 및 데이터 모델 통합
③ 복잡성
: 데이터 복잡성, 이질성, 시공간적 성격, 불확실성에 기반한 추론
: 환경 분야 데이터 모델과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이해와 이에 기반한 SW 아키텍처
: 복잡계 성격. 요소들간의 상호작용, 결합, 되먹임, 역학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 필요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개요
02
- 3 -
사업 목적 : 개발사업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3D 시각화하여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가 가능하도록
ICT 융합기술 기반의 환경영향 예측·평가 및 의사결정 지원 기술개발
사업 기간
주요 내용
: 2020년 ~ 2024년(총 5년)
중점분야 기술개발 주요내용
ICT기반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기술
축적된 환경영향평가 정보와 21개 항목별 환경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개발 사업의 환경영향
예측·평가를 고도화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 지원기술 개발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추진 배경
02
- 4 -
원문과 도서 중심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필요성
동적인 시각화 제공 필요
의견수렴과정이 제한적
불필요한공정성, 신뢰성문제 야기
시민참여의 어려움
향후
향후
연구 추진배경 ICT 융복합을 통한 사용자참여 증진
BIM, Digital Twin 등의 등장에 대비
미래 변화 대비
현재
원문과 도서 중심의 영향평가 정보 제공
전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정보
실시간 시뮬레이션 불가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미비
영향평가 과정에 시민 참여의 어려움
이해당사자간 소통 체계 미흡
항목별 동적인 시각화를 통해 정보 제공
지도, 3차원, 그래픽을 중심으로 일반 시민도
이해하기 쉬운 정보 제공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각종
시뮬레이션 수행 하고 그 결과 표출
AI, BIM, Digital Twin, Metaverse 등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및 수용
웹, 모바일을 통해 이해당사자나 시민이 영향평가
전 과정 투명하게 모니터링
통합된 플랫폼을 통해
이해당사자간 소통 증진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시스템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연구 구성 체계
02
- 5 -
스크리닝
자동화
스코핑
지원
접근 가능한
대화형
환경평가서
환경 데이터 허브
사후모니터링 적용
정보·등록 정보·등록 정보·등록 정보·등록
통합 1과제
통합 2과제
디지털 환경영향평가
작성공간
통합 3과제
검토과정 알고리즘화
통합 4과제 통합 5과제
영향 모델링
정보·구축 정보·구축
정보·등록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연구 구성 체계
02
- 6 -
통합 3 과제 – Digital EIA 표출 플랫폼
통합 1, 2, 4, 5 과제
다양한 영향평가 알고리즘 활용 및 시·공간 표출 시스템 개발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소통 강화 및 의사결정 검토 과정 효율성 제고
사업자/대행자
01 적절한개발사업설계/평가
개발사업의환경매체별환경영향및 제도적적정성
파악용이
신속한환경영향대안정보획득으로 평가과정중
내·외부검토용이
Hard –copy문서에서템플릿형태로평가서작성
검토자/협의자
02 과학적·효율적검토가능
신뢰성이높은(준)실시간환경 데이터검토가능
웹으로제출된환경영향평가서의정밀하고효율적인
검토가능
검토자와의긴밀한의사결정가능
주민 / 일반시민
03 환경영향평가참여제고
3차원/ 4차원지리정보,BIM, Easy finger 서비스
활용
개발사업정보및 개발 전/후환경정보비교가능
높은환경영향이해로주민참여제고
이해관계자1 이해관계자2 이해관계자3
데이터
표준화모듈
3D가시화
모듈
모델링
모듈
통계분석
모듈
공간분석
모듈
알고리즘
모듈
외부데이터
내부데이터
3D객체
지형도 / 지적도
용도지역지구도
도로망도 / 교통정보
인구/ 경제 등 통계
위성 / 항공 영상 등
자연생태환경
대기환경
수환경
토지환경
생활환경 등
대상 사업지 BIM
CAD/MESH 등
공간
정보
표준
준수
다양한
알고리즘
제공
스코핑알고리즘
활용시·공간
표출기술
BIM&GIS(3D)
시·공간 표출기술
(영향평가)
영향예측및
검토지원모델
모의/표출기술
대안평가/이지핑거
알고리즘
모의/표출기술
시 · 공간 표출 활용 시스템
- 7 -
[수리/수문 시뮬레이션]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수리/수문/수질
03
https://www.youtube.com/watch?v=IoG3SjvvzhA
- 8 -
[소음 시뮬레이션]
<남양주 왕숙 2지구 소음 시뮬레이션>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소음
03
https://www.youtube.com/watch?v=p-SwCvKr-8I
- 9 -
[바람장 시뮬레이션]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바람장
03
<과천 지구 바람장 시뮬레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Dt0EE6a_HXc
- 10 -
[유해 화학물질 누출 영향 시뮬레이션 ]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유해 화학물질
03
- 11 -
[유해 화학물질 누출 영향 시뮬레이션 ]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유해 화학물질
03
- 12 -
[복합 재난 시뮬레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QxihwavU6ec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복합 재난
03
- 13 -
[기상청 수치모델 가시화]
https://www.youtube.com/watch?v=E5FklafXj8c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수치모델
03
- 14 -
<유해 화학물질 확산 시뮬레이션> <NO2 확산 시뮬레이션>
Source data spec:
- Coverage area : 15km x 15km(cell size 100m x 100m)
- Coverage height : 0~3km (8 layers)
- Time duration : 3 hours (1 min interval, 180 timestamps)
- Data size : 1.3GB (ASCII format)
Source data spec:
- Coverage area : 30km x 30km(cell size 200m x 200m)
- Coverage height : 0~200m (7 layers)
- Time duration : 1 year(1 hour interval, 8,760 timestamps)
- Data size : 114GB (ASCII format)
기술적 어려움
04
- 15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레이어 1개의 데이터 구성
데이터해석
기술적 어려움
04
- 16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데이터경량화및변환:7개층4.45GB원본데이터를총65.5MB의PNG파일로변환(원본대비1.5%수준,공사중PM10기준)
하나의 Time Stamp 데이터를 하나의 PNG로 변환
기술적 어려움
04
- 17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가시화:VolumeRendering을이용한애니메이션구현
Volume Rendering을 이용해
애니메이션 프레임 1장을 만드는 과정
Volume Rendering – Ray Casting
- 기체를 통과하여 카메라의 상에 맺히는 빛이 기체 볼륨 내 지점과
충돌했을 때 보여야 할 색에 대해 모든 투과지점 별로 색을 합산해서
이미지 픽셀의 색을 결정하는 방식
기술적 어려움
04
- 18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가시화:부드러운애니메이션프레임생성–공간적/시간적불연속성제거
기술적 어려움
04
- 19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가시화구현
기술적 어려움
04
- 20 -
[시공간 현상정보 가시화를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 제안]
<Tile Map Service>
<Vector Tile Service>
<3D Tiles>
<Voxel Tiles?>
기술적 어려움
04
- 21 -
기술적 어려움
04
[국제표준화기구인 OGC에 시공간 현상정보 가시화를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 제안- Voxel Tiles]
신상희 shshin@gaia3d.com
감사합니다.
The Geospatial Company
Acknowledg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Environment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KEITI) through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program and 'The Decision Support System Development Project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gram, fund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MOE)(grant
number: RS-2022-KE002176 and 2020002990005).

More Related Content

PDF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SANGHEE SHIN
 
PDF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SANGHEE SHIN
 
PDF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SANGHEE SHIN
 
PDF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SANGHEE SHIN
 
PDF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SANGHEE SHIN
 
PDF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SANGHEE SHIN
 
PDF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PDF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SANGHEE SHIN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SANGHEE SHIN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SANGHEE SHIN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SANGHEE SHIN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SANGHEE SHIN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SANGHEE SHIN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SANGHEE SHIN
 

Similar to 디지털트윈 시공간 현상 정보 가시화 사례와 과제 - 한국지도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 (20)

PDF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PT
Sensor web
H K Yoon
 
PDF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PDF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미러링, 그 가능성과 한계
SANGHEE SHIN
 
PPT
Gis개론
guestf37489
 
PDF
지능형 공간정보의 도시업무활용
Hyun Jik LEE
 
PDF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SANGHEE SHIN
 
PDF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SANGHEE SHIN
 
PDF
디지털 트윈 기술과 활용 사례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SANGHEE SHIN
 
PDF
[일본자료] 개발자를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도입의 권유
Jinwon Park
 
PDF
CAD/BIM/GIS 융복합 활용 방향과 디지털 트윈
SANGHEE SHIN
 
PDF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DF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SANGHEE SHIN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11 공간정보의 구축
Kwang Woo NAM
 
PPTX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Kyuho Kim
 
PDF
코리아 그래픽스 2020 자료집
캐드앤그래픽스
 
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
Kwang Woo NAM
 
PDF
서울혁신챌린지 라이브 드론맵 기반 스마트 모니터링 솔루션
Impyeong Lee
 
PDF
도시정보와 통합된 환경 및 시설정보의 효과적 가시화 기법
onlymarch
 
PDF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SANGHEE SHIN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Sensor web
H K Yoon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미러링, 그 가능성과 한계
SANGHEE SHIN
 
Gis개론
guestf37489
 
지능형 공간정보의 도시업무활용
Hyun Jik LEE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SANGHEE SHIN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SANGHEE SHIN
 
디지털 트윈 기술과 활용 사례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SANGHEE SHIN
 
[일본자료] 개발자를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도입의 권유
Jinwon Park
 
CAD/BIM/GIS 융복합 활용 방향과 디지털 트윈
SANGHEE SHIN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SANGHEE SHIN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11 공간정보의 구축
Kwang Woo NAM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Kyuho Kim
 
코리아 그래픽스 2020 자료집
캐드앤그래픽스
 
해양디지털트윈v02.pdf
Kwang Woo NAM
 
서울혁신챌린지 라이브 드론맵 기반 스마트 모니터링 솔루션
Impyeong Lee
 
도시정보와 통합된 환경 및 시설정보의 효과적 가시화 기법
onlymarch
 
공간정보산업에 대한 몇몇 생각들
SANGHEE SHIN
 
Ad

More from SANGHEE SHIN (20)

PDF
Building Resilience with Digital Twins : Lessons from Korea
SANGHEE SHIN
 
PDF
How to Visualize the ​Spatio-Temporal Data Using CesiumJS​
SANGHEE SHIN
 
PDF
대한민국 대표 오픈소스, mago3DTiler의 현재와 미래 - 대한공간정보학회 2025년 신년학술대회 발표자료
SANGHEE SHIN
 
PDF
State of mago3DTiler, an open source based OGC 3D Tiles creator
SANGHEE SHIN
 
PDF
Dreams and Dilemmas: Lessons from Korea’s Urban Digital Twin
SANGHEE SHIN
 
PDF
[벤틀리시스템즈코리아 사용자세미나]세슘(Cesium) 제품과 디지털트윈 구현 사례
SANGHEE SHIN
 
PDF
Building a Digital Twin Service in 10 Minutes with FOSS4G! - 오픈소스로 10분만에 디지털트...
SANGHEE SHIN
 
PDF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SANGHEE SHIN
 
PDF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SANGHEE SHIN
 
PDF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SANGHEE SHIN
 
PDF
책 "제품의 탄생" 소개
SANGHEE SHIN
 
PDF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SANGHEE SHIN
 
PDF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SANGHEE SHIN
 
PDF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SANGHEE SHIN
 
PDF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SANGHEE SHIN
 
PDF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SANGHEE SHIN
 
PDF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SANGHEE SHIN
 
PDF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ANGHEE SHIN
 
PDF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ANGHEE SHIN
 
PDF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SANGHEE SHIN
 
Building Resilience with Digital Twins : Lessons from Korea
SANGHEE SHIN
 
How to Visualize the ​Spatio-Temporal Data Using CesiumJS​
SANGHEE SHIN
 
대한민국 대표 오픈소스, mago3DTiler의 현재와 미래 - 대한공간정보학회 2025년 신년학술대회 발표자료
SANGHEE SHIN
 
State of mago3DTiler, an open source based OGC 3D Tiles creator
SANGHEE SHIN
 
Dreams and Dilemmas: Lessons from Korea’s Urban Digital Twin
SANGHEE SHIN
 
[벤틀리시스템즈코리아 사용자세미나]세슘(Cesium) 제품과 디지털트윈 구현 사례
SANGHEE SHIN
 
Building a Digital Twin Service in 10 Minutes with FOSS4G! - 오픈소스로 10분만에 디지털트...
SANGHEE SHIN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SANGHEE SHIN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SANGHEE SHIN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SANGHEE SHIN
 
책 "제품의 탄생" 소개
SANGHEE SHIN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SANGHEE SHIN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SANGHEE SHIN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SANGHEE SHIN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SANGHEE SHIN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ANGHEE SHIN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ANGHEE SHIN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SANGHEE SHIN
 
Ad

디지털트윈 시공간 현상 정보 가시화 사례와 과제 - 한국지도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

  • 1. 디지털트윈 시공간 현상 정보 가시화 사례와 과제 신상희 [email protected] 2024년 6월 1일 <2024년 한국지도학회 춘계학술대회>
  • 2. 환경 디지털트윈의 특성 01 - 2 - <Sourc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66638992100221X> <Source: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env.2789> <Source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8-021-00986-y> 환경 디지털트윈 도전 과제 ① 환경 분야 데이터 과학 및 AI ② 프로세스 및 데이터 모델 통합 ③ 복잡성 : 데이터 복잡성, 이질성, 시공간적 성격, 불확실성에 기반한 추론 : 환경 분야 데이터 모델과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이해와 이에 기반한 SW 아키텍처 : 복잡계 성격. 요소들간의 상호작용, 결합, 되먹임, 역학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 필요
  • 3.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개요 02 - 3 - 사업 목적 : 개발사업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3D 시각화하여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가 가능하도록 ICT 융합기술 기반의 환경영향 예측·평가 및 의사결정 지원 기술개발 사업 기간 주요 내용 : 2020년 ~ 2024년(총 5년) 중점분야 기술개발 주요내용 ICT기반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기술 축적된 환경영향평가 정보와 21개 항목별 환경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개발 사업의 환경영향 예측·평가를 고도화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 지원기술 개발
  • 4.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추진 배경 02 - 4 - 원문과 도서 중심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필요성 동적인 시각화 제공 필요 의견수렴과정이 제한적 불필요한공정성, 신뢰성문제 야기 시민참여의 어려움 향후 향후 연구 추진배경 ICT 융복합을 통한 사용자참여 증진 BIM, Digital Twin 등의 등장에 대비 미래 변화 대비 현재 원문과 도서 중심의 영향평가 정보 제공 전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정보 실시간 시뮬레이션 불가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미비 영향평가 과정에 시민 참여의 어려움 이해당사자간 소통 체계 미흡 항목별 동적인 시각화를 통해 정보 제공 지도, 3차원, 그래픽을 중심으로 일반 시민도 이해하기 쉬운 정보 제공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각종 시뮬레이션 수행 하고 그 결과 표출 AI, BIM, Digital Twin, Metaverse 등 변화하는 ICT 환경 대비 및 수용 웹, 모바일을 통해 이해당사자나 시민이 영향평가 전 과정 투명하게 모니터링 통합된 플랫폼을 통해 이해당사자간 소통 증진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시스템
  • 5.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연구 구성 체계 02 - 5 - 스크리닝 자동화 스코핑 지원 접근 가능한 대화형 환경평가서 환경 데이터 허브 사후모니터링 적용 정보·등록 정보·등록 정보·등록 정보·등록 통합 1과제 통합 2과제 디지털 환경영향평가 작성공간 통합 3과제 검토과정 알고리즘화 통합 4과제 통합 5과제 영향 모델링 정보·구축 정보·구축 정보·등록
  • 6. ICT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연구 구성 체계 02 - 6 - 통합 3 과제 – Digital EIA 표출 플랫폼 통합 1, 2, 4, 5 과제 다양한 영향평가 알고리즘 활용 및 시·공간 표출 시스템 개발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소통 강화 및 의사결정 검토 과정 효율성 제고 사업자/대행자 01 적절한개발사업설계/평가 개발사업의환경매체별환경영향및 제도적적정성 파악용이 신속한환경영향대안정보획득으로 평가과정중 내·외부검토용이 Hard –copy문서에서템플릿형태로평가서작성 검토자/협의자 02 과학적·효율적검토가능 신뢰성이높은(준)실시간환경 데이터검토가능 웹으로제출된환경영향평가서의정밀하고효율적인 검토가능 검토자와의긴밀한의사결정가능 주민 / 일반시민 03 환경영향평가참여제고 3차원/ 4차원지리정보,BIM, Easy finger 서비스 활용 개발사업정보및 개발 전/후환경정보비교가능 높은환경영향이해로주민참여제고 이해관계자1 이해관계자2 이해관계자3 데이터 표준화모듈 3D가시화 모듈 모델링 모듈 통계분석 모듈 공간분석 모듈 알고리즘 모듈 외부데이터 내부데이터 3D객체 지형도 / 지적도 용도지역지구도 도로망도 / 교통정보 인구/ 경제 등 통계 위성 / 항공 영상 등 자연생태환경 대기환경 수환경 토지환경 생활환경 등 대상 사업지 BIM CAD/MESH 등 공간 정보 표준 준수 다양한 알고리즘 제공 스코핑알고리즘 활용시·공간 표출기술 BIM&GIS(3D) 시·공간 표출기술 (영향평가) 영향예측및 검토지원모델 모의/표출기술 대안평가/이지핑거 알고리즘 모의/표출기술 시 · 공간 표출 활용 시스템
  • 7. - 7 - [수리/수문 시뮬레이션]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수리/수문/수질 03 https://www.youtube.com/watch?v=IoG3SjvvzhA
  • 8. - 8 - [소음 시뮬레이션] <남양주 왕숙 2지구 소음 시뮬레이션>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소음 03 https://www.youtube.com/watch?v=p-SwCvKr-8I
  • 9. - 9 - [바람장 시뮬레이션]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바람장 03 <과천 지구 바람장 시뮬레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Dt0EE6a_HXc
  • 10. - 10 - [유해 화학물질 누출 영향 시뮬레이션 ]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유해 화학물질 03
  • 11. - 11 - [유해 화학물질 누출 영향 시뮬레이션 ]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유해 화학물질 03
  • 12. - 12 - [복합 재난 시뮬레이션] https://www.youtube.com/watch?v=QxihwavU6ec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복합 재난 03
  • 13. - 13 - [기상청 수치모델 가시화] https://www.youtube.com/watch?v=E5FklafXj8c 환경 디지털트윈 몇몇 구현 사례 – 수치모델 03
  • 14. - 14 - <유해 화학물질 확산 시뮬레이션> <NO2 확산 시뮬레이션> Source data spec: - Coverage area : 15km x 15km(cell size 100m x 100m) - Coverage height : 0~3km (8 layers) - Time duration : 3 hours (1 min interval, 180 timestamps) - Data size : 1.3GB (ASCII format) Source data spec: - Coverage area : 30km x 30km(cell size 200m x 200m) - Coverage height : 0~200m (7 layers) - Time duration : 1 year(1 hour interval, 8,760 timestamps) - Data size : 114GB (ASCII format) 기술적 어려움 04
  • 15. - 15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레이어 1개의 데이터 구성 데이터해석 기술적 어려움 04
  • 16. - 16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데이터경량화및변환:7개층4.45GB원본데이터를총65.5MB의PNG파일로변환(원본대비1.5%수준,공사중PM10기준) 하나의 Time Stamp 데이터를 하나의 PNG로 변환 기술적 어려움 04
  • 17. - 17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가시화:VolumeRendering을이용한애니메이션구현 Volume Rendering을 이용해 애니메이션 프레임 1장을 만드는 과정 Volume Rendering – Ray Casting - 기체를 통과하여 카메라의 상에 맺히는 빛이 기체 볼륨 내 지점과 충돌했을 때 보여야 할 색에 대해 모든 투과지점 별로 색을 합산해서 이미지 픽셀의 색을 결정하는 방식 기술적 어려움 04
  • 18. - 18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가시화:부드러운애니메이션프레임생성–공간적/시간적불연속성제거 기술적 어려움 04
  • 19. - 19 - [대기질 / 악취 시뮬레이션] 가시화구현 기술적 어려움 04
  • 20. - 20 - [시공간 현상정보 가시화를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 제안] <Tile Map Service> <Vector Tile Service> <3D Tiles> <Voxel Tiles?> 기술적 어려움 04
  • 21. - 21 - 기술적 어려움 04 [국제표준화기구인 OGC에 시공간 현상정보 가시화를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 제안- Voxel Tiles]
  • 22. 신상희 [email protected] 감사합니다. The Geospatial Company Acknowledg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Environment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KEITI) through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program and 'The Decision Support System Development Project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gram, fund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MOE)(grant number: RS-2022-KE002176 and 202000299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