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A2-2 HEC-HMS 유출분석 결과

   ■ 강우 입력자료




                           <그림 A2-1> 남현지점 입력 강우




                           <그림 A2-2> 서초지점 입력 강우



   ■ HEC-HMS 입력 매개변수


      구분         유역면적(km2)      CN(lll)   도달시간(hr)   저류상수(hr)   비고
     덕우암           0.095          73        0.067      0.055
    래미안APT         0.077          75        0.069      0.062
   신동아APT1         0.103          65        0.073      0.062
   신동아APT2         0.090          75        0.071      0.061
  형촌마을1(전체)        0.291          61        0.087      0.067
  형촌마을1(18구간)      0.033          76        0.034      0.027
  형촌마을1(19구간)      0.018          73        0.025      0.019
 전원마을1(B-L3구간)     0.043          64        0.051      0.044
 전원마을1(B-L4구간)     0.051          56        0.057      0.049
  전원마을3(A구간)       0.060          74        0.044      0.034




                                                                      322
■ 유출분석 결과

       •   유출수문곡선 (덕우암 지점)




       •   유출수문곡선 (래미안APT 지점)




323
부록


•   유출수문곡선 (신동아APT1 지점)




•   유출수문곡선 (신동아APT2 지점)




                           324
•   유출수문곡선 (형촌마을(전체) 지점)




      •   유출수문곡선 (형촌마을(18구간) 지점)




325
부록

•   유출수문곡선 (형촌마을(19구간) 지점)




•   유출수문곡선 (전원마을(B-L3구간) 지점)




                                326
•   유출수문곡선 (전원마을(B-L4구간) 지점)




      •   유출수문곡선 (전원마을(A구간) 지점)




327
부록



A3. 유역별 특성 및 산사태/토석류 위험도 상세 분석

A3-1 전원마을

 1. 전원마을 1
  1) 전원마을 1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48,900㎡이고
       최소 경사 7˚에서 31˚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1> 전원마을 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1유역은 10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175.6㎥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28
<그림 A3-2> 전원마을1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1유역의 퇴적부에 상당량의 토사량이 퇴적되었고 다수의 가옥이 매몰 및
           파손되었으며 농경지 피해가 발생하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95,8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48,900㎥,
           유로평균경사 12˚가 있다.




                     <그림 A3-3> 전원마을 1유역의 토석류 흐름




329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은 전원마을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94%이다.



          <표 A3-1> 전원마을 1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전원마을1                94%(매우위험)




2. 전원마을 2
 1) 전원마을 2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43,800㎡이고 최
      소 경사 10˚에서 28˚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 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그림 A3-4> 전원마을2 유역도




                                                   330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2 유역에는 7개소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38.8㎥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8˚,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 전원마을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2 유역의 퇴적부의 농경지가 다소 매몰되어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31,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43,800㎥,
           유로평균경사 18˚가 있다.




331
부록




                 <그림 A3-6> 전원마을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는 전원마을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80%이다.



          <표 A3-2> 전원마을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전원마을2                    80%(위험)




3. 전원마을 3
 1) 전원마을 3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9,100㎡이고 최
      소 경사 9˚에서 33˚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332
<그림 A3-7> 전원마을3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3유역은 산사태 발생(5개소)으로 전원마을 유역중 발생지 개수도 적을뿐
           더러 발생량도 가장 작으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69.1㎥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3.75˚, 건조단
           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
           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8> 전원마을3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33
부록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3유역의 그림 A3-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낮은 경사임에도 불구하고 계
     곡부를 따라 토사가 유입되고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6,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9,100㎥,
     유로평균경사 15.6˚가 있다.




                <그림 A3-9> 전원마을3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3은 전원마을3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5%이다.



         <표 A3-3> 전원마을3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전원마을3                    75%(위험)




                                                      334
A3-2 보덕사


      1. 보덕사 유역
       1) 보덕사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421,400㎡이고
            최소 경사 19˚에서 45˚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3개정도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
            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1(소경목)이다.




                           <그림 A3-10> 보덕사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보덕사유역은 다수의 산사태 발생(12개소)으로 많은 량의 사태물질이 퇴적부로 유
            입 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842.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335
부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11> 보덕사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보덕사 유역의 퇴적부에 상당량의 토사량이 퇴적되었고 다수의 가옥이 매몰 및 파
     손되었으며 농경지 피해가 발생하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06,5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421,400
     ㎥, 유로평균경사 17˚가 있다.




                                                       336
<그림 A3-12> 보덕사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4는 보덕사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99%이다.



                <표 A3-4> 보덕사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보덕사                  99%(매우위험)




      2. 앞윗마을 유역
      1) 앞윗마을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5,300㎡이고
            최소 경사 8˚에서 20˚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337
부록




                  <그림 A3-13> 앞윗마을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앞윗마을 유역의 산사태는 낮은 경사에서 발생한 계류침식 정도로 판단되고 그 피
     해규모는 미미하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2.7㎥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11.8˚,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14> 앞윗마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338
•   앞윗마을 유역의 발생부에서 시작된 토석류가 퇴적부의 농경지를 덮쳤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9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5,300㎥,
            유로평균경사 11.8˚가 있다.




                       <그림 A3-15> 앞윗마을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5는 앞윗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69%이다.



                <표 A3-5> 앞윗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앞윗마을               69%(다소위험)




      3. 한국외교협회 유역
      1)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58,1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 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339
부록




                 <그림 A3-16> 한국외교협회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한국외교협회 유역은 산사태보다는 계류침식에 의한 토사유실로 판단되며 피해또한
     미미하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26.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14.6˚,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17>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40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경우는 유하부가 길지 않으며 피해 또한 상당히 미미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9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58,100㎥,
           유로평균경사 14.6˚가 있다.




                     <그림 A3-18>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6은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토석
           류 위험도는 73%이다.



               <표 A3-6>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한국외교협회                73%(위험)




341
부록


A3-3 송동마을


 1. 송동마을 유역
  1) 송동마을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678,9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48˚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3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19> 송동마을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송동마을 유역은 16개소의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주로 8부 능선에서 발생하여 계곡
       부를 따라 사태 물질이 이동하였고 산사태 발생 총량은 2,366.5㎥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42
<그림 A3-20> 송동마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송동마을 유역의 8부 능선에서 발생한 산사태 들이 유하부를 따라 흘러 퇴적부 마
           을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541,4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678,900
           ㎥, 유로평균경사 16.25˚가 있다.




                     <그림 A3-21> 송동마을 유역의 토석류 흐름




343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7은 송동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100%이다.



       <표 A3-7> 송동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송동마을               100%(매우위험)




                                             344
A3-4 우면산터널


      1. 우면산터널 유역
      1) 우면산터널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64,2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20˚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 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22> 우면산 터널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우면산 터널 유역은 2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258.7㎥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7˚,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345
부록




              <그림 A3-23> 우면산터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우면산터널 유역의 발생부에서부터 시작된 토석류가 터널앞까지 흘러 터널을 이용
     하는 차량들이 통제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42,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64,200㎥,
     유로평균경사 14˚가 있다.




              <그림 A3-24> 우면산터널 유역의 토석류 흐름




                                                      346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8은 우면산터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83%이다.



             <표 A3-8> 우면산터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우면산터널                    83%(위험)




347
부록


A3-5 EBS


 1. EBS1 유역
  1) EBS1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29,000㎡이고
       최소 경사 9˚에서 30˚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그림 A3-25> EBS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EBS1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량은 111.6㎥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348
<그림 A3-26> EBS1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EBS1 유역의 EBS 건물 앞쪽 주차장을 따라 퇴적되었으며 건물에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2,6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29,000㎥,
           유로평균경사 12.8˚가 있다.




                       <그림 A3-27> EBS1 유역의 토석류 흐름




349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9는 EBS1 유역의 토석류 위험
      도는 77%이다.



          <표 A3-9> EBS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EBS1                  77%(위험)




2. EBS2 유역
 1) EBS2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5,3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28> EBS2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EBS2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량은 29.1㎥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8˚, 건조단위



                                                     350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29> EBS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EBS2 유역은 EBS 건물 뒤편에 담벼락을 따라 토사석류의 퇴적물이 퇴적되었으며
           건물 안쪽으로의 피해는 없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4,7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5,300㎥, 유
           로평균경사 12.8˚가 있다.




351
부록




                   <그림 A3-30> EBS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0은 EBS2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70%이다.



          <표 A-10> EBS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EBS2                    70%(위험)




3. EBS3 유역
 1) EBS3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1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352
<그림 A3-31> EBS3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EBS3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량은 69.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32> EBS3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353
부록



•   EBS3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로부터 시작된 토석류가 EBS건물의 테니스장 및 그 옆
    도로에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5,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100㎥, 유
    로평균경사 12.8˚가 있다.




                 <그림 A3-33> EBS3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1은 EBS3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71%이다.



        <표 A3-11> EBS3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EBS3                  71%(위험)




                                                      354
A3-6 관문사


      1. 관문사1 유역
       1) 관문사1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64,1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27˚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인 임분), 영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34> 관문사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관문사1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량은 119.5㎥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7˚,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55
부록




               <그림 A3-35> 관문사1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관문사1 유역은 관문사 왼편의 공터에 대부분 퇴적 되었으며 관문사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히지 않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18,1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64,100
     ㎥, 유로평균경사 14.62˚가 있다.




               <그림 A3-36> 관문사1 유역의 토석류 흐름




                                                       356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2는 관문사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96%이다.



                <표 A3-12> 관문사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관문사1                    96%(매우위험)




      2. 관문사2 유역
       1) 관문사2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59,9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37> 관문사2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관문사2 유역은 3개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173.2㎥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 건조단위



357
부록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38> 관문사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관문사2 유역은 2개의 유하부가 관문사 오른편 정원을 타고 흘러 지하 주차장은
     물론 정원에 상당량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28,8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59,900
     ㎥, 유로평균경사 14.62˚가 있다.




                                                       358
<그림 A3-39> 관문사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3은 관문사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97%이다.



                <표 A3-13> 관문사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관문사2                97%(매우위험)




      3. 암산마을 유역
      1) 암산마을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7,700㎡이고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359
부록




                  <그림 A3-40> 암산마을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암산마을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량은 108.6㎥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3˚,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41> 암산마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60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암산마을 유역의 퇴적부의 마을 도로를 따라 토사가 유출 되었으며 가옥의 피해는
           미미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1,8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7,700㎥,
           유로평균경사 25˚가 있다.




                      <그림 A3-42> 암산마을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4는 암산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3%이다.



               <표 A3-14> 암산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암산마을                    73%(위험)




361
부록


A3-7 강남교회


 1. 강남교회1 유역
  1) 강남교회1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1,2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43> 강남교회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1 유역은 1개의 발생부에서 많은 량의 산사태가 발생하였고 산사태 발생
       량은 147.3㎥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4˚,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이다.




                                                        362
<그림 A3-44> 강남교회1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1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에서 시작된 토석류가 유하부를 타고 흘러 퇴적부
           주차장에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6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1,200㎥,
           유로평균경사 18.08˚가 있이다.




                    <그림 A3-45> 강남교회1 유역의 토석류 흐름




363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5는 강남교회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1%이다.



          <표 A3-15> 강남교회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강남교회1                     71%(위험)




2. 강남교회2 유역
 1) 강남교회2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37,7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46> 강남교회2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2 유역은 5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84.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4˚, 건조단위



                                                     364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47> 강남교회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2 유역의 경우 5개소의 산사태로부터 시작된 토석류가 교회 바로 뒤편에
           서 합류해 교회앞 도로는 물론 교회 앞마당까지 토사가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8,0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37,700㎥,
           유로평균경사 18˚가 있다.




365
부록




                 <그림 A3-48> 강남교회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6은 강남교회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9%이다.



          <표 A3-16> 강남교회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강남교회2                     79%(위험)




3. 양재자동차학원 유역
1)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90,9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366
<그림 A3-49> 양재자동차학원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은 5개의 산사태 발생부를 가지며 그 총량은 671.5㎥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9.8˚,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0>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67
부록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퇴적부에 산사태로 인한 토사들이 자동차 학원에 직접적으
     로 피해를 미치지 못하고 유하부 중간에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46,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90,900㎥,
     유로평균경사 13.1˚가 있다.




             <그림 A3-51>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7은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84%이다.



         <표 A3-17>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양재자동차학원                 84%(위험)




                                                      368
A3-8 예술의 전당


      1. 대성사 유역
       1) 대성사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57,0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산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52> 대성사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대성사 유역은 2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16.3㎥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69
부록




               <그림 A3-53> 대성사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대성사 유역의 두곳에서 시작된 토석류가 남부 순환로를 덮쳤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7,7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57,000㎥,
     유로평균경사 14.65˚가 있다.




               <그림 A3-54> 대성사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0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8은 대성사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79%이다.



                <표 A3-18> 대성사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대성사                   79%(위험)




      2. 예술의전당 유역
      1) 예술의전당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83,600㎡이다.
        •   3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55> 예술의전당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예술의전당 유역은 8개의 산사태 발생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총량은 898㎥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9.5˚, 건조단위



371
부록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6> 예술의전당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예술의 전당 유역의 그림 A3-5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하부 중간에 가옥이 존
     재하는데 토석류 피해 당시 가옥이 반파될 정도로 많은 양의 토석류가 흘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17,4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83,600
     ㎥, 유로평균경사 14.8˚가 있다.




              <그림 A3-57> 예술의전당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2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9는 예술의전당 유역의 토석
            류 위험도는 96%이다.



                <표 A3-19> 예술의전당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예술의전당                96%(매우위험)




      3. 국립국악원 유역
      1) 국립국악원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6,2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58> 국립국악원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국립국악원 유역은 5개소의 산사태 발생부가 존재하고 유역의 경사는 상당히 가파
            르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434.7㎥이다.



373
부록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9> 국립국악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국립국악원 유역은 퇴적부의 국립국악원 외벽이 토석류의 흐름을 막아 국악원 내부
     의 피해는 미미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55,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6,200㎥,
     유로평균경사 32˚가 있다.




                                                      374
<그림 A3-60> 국립국악원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0은 국립국악원 유역의 토석
          류 위험도는 87%이다.



             <표 A3-20> 국립국악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국립국악원                 87%(위험)




375
부록


A3-9 뒷골


 1. 뒷골 유역
  1) 뒷골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86,4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45˚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4개정도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
       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61> 뒷골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뒷골 유역은 15개소의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341.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76
<그림 A3-62> 뒷골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뒷골 유역의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사태가 유하부를 따라 흘러와 마을 안길 및
           배수로를 따라 흐름 가옥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쳤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325,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86,400
           ㎥, 유로평균경사 9˚가 있다.




                      <그림 A3-63> 뒷골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7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1은 뒷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
      도는 100%이다.



          <표 A3-21> 뒷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뒷골                  100%(매우위험)




2. 안골 유역
 1) 안골 전당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78,2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64> 안골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안골 유역은 2개의 발생부를 가지고 있으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25.2㎥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6˚, 건조단위



                                                     378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65> 안골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안골 유역의 토석류는 퇴적부까지 흐르지 않고 산사태 바로 아래 부분의 유하부에서 멈추
           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0,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78,200㎥,
           유로평균경사 15.7˚가 있다.




                      <그림 A3-66> 안골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9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2는 안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
    도는 90%이다.



        <표 A3-22> 안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안골                 90%(매우위험)




                                                380
A3-10 선바위


      1. 선바위 유역


        •   선바위 유역은 2011년 우면산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당시 산사태는 물론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은 유역이다.




                          <그림 A3-67> 선바위 유역도


       1)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선바위 유역은 보도자료 및 현장 조사 결과 산사태 발생부가 없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81
부록




               <그림 A3-68> 선바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2)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선바위 유역은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6,300㎡, 표토의 모암 ,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353,600㎥, 유로평균
     경사 14.3˚가 있다.




              <그림 A3-69> 선바위 유역의 토석류 흐름(없음)




                                                       382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3은 선바위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17%이다.



             <표 A3-23> 선바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선바위                   17%(안전)




383
부록



                            A4. 회의 및 조치결과

A4-1 전문가 토론회

1. 서론


         개 요

   •    일시: 2012년 6월 7일 목요일 14:00~16:00
   •    장소: 서울연구원 대회의실
   •    주최: 대한토목학회/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주제: 전문가 토론회
   •    목적: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계획 발표 및 전문가 의견수렴
   •    참석: 조사단: 김명모 단장(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정상섬 부단장(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등 연구진
               서울연구원 : 원종석, 유영민
               자문위원: 이승래, 김경하, 손영관, 이재훈
               우면산 민관합동 TF: 홍원표, 이종훈



         진행 일정

          구       분                  진 행 내 용           비고

       14:10~14:20 ( 10´)            조사단장 인사 말씀       조사단장



       14;20~14:50 (30´)          우면산 산사태 조사계획 발표      조사단



       14:50~16:00 (70´)              전문가 토의           전문가




                                                                384
부록


 2. 전문가 토론회 결과


            전문가 자문 의견 및 반영

  전문가                        자문의견                                    반영
            ▸조사단에서 너무 엔지니어링 관점에서만 접근하는 것 같음.
            ▸산지에서는 산의 기복과 토양의 구성 등이 복잡하므로 산
             의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
            ▸Wetting front 이론은 homogeneous한 지반에 적합하여 산지
             같은 곳에서는 잘 맞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non-homogeneous한 경우 산지의 지형 특성을 고려한
                                                          ▸우면산이 토사가 발달되고 이번 산
             Top-Model이나 수리학적 관점의 수리전도도를 고려하는 것
                                                           사태가 주로 토사에서 일어난 것은
             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됨.
                                                           사실이나, 토사의 붕괴 시 항상 암
            ▸우면산은 토양분화가 잘 발달되어 있는 곳이므로 암반위주
                                                           반 등의 지질적 요인이 바탕이 되
  김경하        의 지질조사보다는 산림 토양 조사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
                                                           므로 지질학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과장     됨.
                                                           것은 매우 중요함.
 (국립산림      ▸토석류의 경우 우면산 산사태 현장 조사시 붕괴지점보다는
                                                          ▸투수시험 이외에도 계측도 포함시
  과학원)       유하부의 영향이 더 컸으므로 참고하여 조사 했으면 좋겠
                                                           켜 현장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대
             다고 생각 됨.
                                                           비책이 있음.
            ▸산지는 수목이나 토양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므로 실내실험
                                                          ▸산지의 불확실한 요인에 대해서는
             보다는 현장투수실험에 의한 투수 특성 파악이 효과적일
                                                           식생을 고려하는 등 대비책이 있음.
             것으로 생각됨.
            ▸SCS모델 사용시 피복에 대한 CN Number가 산지에 대해서
             는 1~2가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SCS모델이 미국 토양보전
             청에서 농지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모델이므로 국내의 산지
             와는 맞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서 조사를 해
             줬으면 함.
                                                          ▸오늘 불참한 자문위원 역시 서면으
                                                           로 작년 한국지반공학회의 조사와
            ▸우면산 산사태에 대해 우리의 기술 수준으로 얼마나 해결
                                                           이번 조사는 차별화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됨.
                                                           했음.
            ▸조사단의 계획은 전반적으로 잘 수립된 것으로 생각됨.
                                                          ▸이번 조사의 목적은 원인이 강우였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파악되어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의
                                                           다는 누구나 아는 사실에 대한 조
             문사항들을 정리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됨.(리스트 작성 필
  이승래                                                      사가 아니라, 비가 왔을 때 인공시
             요)
      교수                                                   설물, 공군부대 등이 어떤 역할을
            ▸예를 들어, 10년 이전에는 더 큰 강우가 있었는데도 불구하
  (KAIST)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에 대
             고, 2010년 태풍 곤파스 와 2011년에는 산사태가 발생한 것
                                                           해서 공정한 입장으로 조사하는 것
             에 대한 원인은 무엇일까?
                                                           이 목적임.
            ▸복구공사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해석을 위한 지형과 지반상
                                                          ▸즉, 여기 모인 3그룹(TFT, 자문단,
             태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됨.
                                                           조사단) 모두가 공동 책임을 가지고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생각됨.
                                                           납득할 만한 결론을 만들어 내어야
                                                           함.




385
부록


전문가                  자문의견                                   반영
        ▸지질조사에서 나오는 데이터는 성격이 다양하며,
                                              ▸지질뿐 아니라 여러 분야가 모여 있으므로
         거기에는 정성적인 데이터도 있고 정량적인 데이
손영관                                            조사단에서는 2~3주에 한 번씩 회의를 개
         터도 있음.
 교수                                            최하기로 했으며, 그 때 각자가 조사한 내
        ▸지질학적 요소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상대                                           용을 발표하고, 각 분야의 내용을 어떻게
         부분에서는 정성적인 자료가 대부분인데 토목학
 학교)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낼지에 대한 문제
         적 관점에서 이런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지 의
                                               를 해결하고자 함.
         문임.
        ▸이번 조사는 원인조사가 목적인데 대책수립과 자
         유로울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됨. 대책이 과업에           ▸작년 산사태에 대한 복구는 거의 완료 되었
         포함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책방안 수립에 기초가             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failure mechanism
         될 수 있는 조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됨.               분석을 위한 최소한의 조사만을 계획하였
        ▸산사태에서 파괴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             음.
이재훈      한 일고, 김경하 위원의 생각과는 달리 얕은 파괴          ▸또한, 조사단에 포함되어 있는 토석류 사업
부사장      (Wetting front 이론)이냐 깊은 파괴냐에 대한 것을    단에서 많은 조사가 수행되어 있고, 이런
(동일기술    파악하겠다는 조사단의 계획에는 공감하며, 이는             축적된 기본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고, 원
 공사)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것으로 예상됨.                 인조사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 조사만 계획
        ▸붕적토의 수리, 강도 특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           ▸김경하 위원과 이재훈 위원의 이견에 대해
         며, 지하수위의 분포가 매우 중요하므로, 계획된            서는 두 위원의 우려와는 달리 조사단에서
         시추조사만으로는 전반적인 자료 취득에 부족할              도 homogeneous하지 않은 조건에 대한 부
         수도 있으며, 3차원 지하수 유동해석(Modflow)가        분을 고려할 방안이 준비되어 있음.
         수행되어야 하지 않나 생각됨.
                                              ▸한국지반공학회의 조사는 산사태는 이런 저
                                               런 이유로 발생되었으며, 이런 저런 보강이
                                               필요하고, 이것이다 저것이다 확실히 짚고
                                               넘어가지는 않았으나 곤파스, 공군부대 등
        ▸이번 조사는 한국지반공학회 보고서의 검증적 부
                                               우리가 밝히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언급이
         분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
                                               있었음.
        ▸복구공사로 현장이 보존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사
                                              ▸우면산 산사태는 강우에 의한 것이며, 강우
         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와 유출량에 근거한 신속한 보강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복구공사와 연관을 피할 수 없으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음.
이종훈      복구공사의 적합 여부를 평가해 주어야 할 것으
                                              ▸이번 조사에서는 산사태와 토석류의 구체적
 교수      로 생각됨.
                                               인 원인 규명이며, 곤파스 복구공사나 공군
 (명지    ▸외국 전문가의 자문은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할
                                               부대 등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조
대학교)     때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
                                               사를 수행하는 것이 목표임.
        ▸우면산은 현재 소송 중이며, 시민이 원하는 것은
                                              ▸그리고, 모든 조사는 공군, 서울시, 시민 어
         진실이므로 누구의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객관
                                               느 쪽에서도 기울어지지 않고 매우 공정하
         적인 진실을 밝혀 주었으면 함.
                                               게 이루어 질 것임.
        ▸보강 공사에 대해 조사이전에 예단할 필요는 없
                                              ▸외국인을 초청하여 자문을 하는 것은 어려
         다고 생각됨.
                                               운 문제는 아니나, 문제를 푸는데 근본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음.       그러
                                               나, 꼭 원한다면 그렇게 하는 것에 어려움
                                               은 없음.




                                                                            386
부록


  전문가                  자문의견                           반영
            ▸TFT 내에서도 한국지반공학회의 조사 결과에 대
             한 의구심이 많았으며, 8개소 추가 조사 등 여러
             가지 의견 중에 이번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됨.
            ▸의견 중에는 공정성 등의 이유로 처음부터 조사
                                           ▸시민을 만나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 파악이
             를 외국 기술자에게 맡기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된 후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됨.
             국내에도 기술적으로도 훌륭한 분들이 많으며, 이
                                           ▸중간단계에서 정리해서 발표할 예정임.
             중에서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분에게 맡기자
                                           ▸시민의 의견을 무시하지는 않겠지만, 초반
             는 결론이 있었음. 여러 분야에서 천거한 조사원
                                            에 계획 단계에서부터 흔들리지는 않겠다는
             으로 팀을 구성하여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분
                                            생각이며, 이 일정들은 TFT가 서울시나 시
             에게 단장을 제의하였음.
                                            정개발연구원과 조율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
  홍원표       ▸이번 산사태 TFT위원을 맡으며 산림을 대상으로
                                            로 생각됨.
      교수     연구하는 분야가 다양하며, 이들 분야가 각자 개
                                           ▸공청회를 뒤로 미루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
  (중앙대       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
                                            며, 필요하면 서울시와 TFT에서 조정하고
      학교)    음.
                                            그 결과를 통보 바람. 그리고, 홍원표 위원
            ▸유기적으로 여러 분야의 연구를 결합하여 좋은
                                            의 말처럼 8월말에 하는 것은 문제 없음.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단장님의 조직적인 운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나면 조사 계획이 흔
             영 능력이 발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됨.
                                            들리지 않을 수 없음. 시민들만을 위해서
            ▸이번 산사태는 상·중·하로 나눌 수 있으며, 상의
                                            하는 일이 아닌데, 그것이 공정성에 더 문
             공군부대가, 중의 수목, 하의 배수시스템이 어떻
                                            제가 될 것 같으며, TFT와 서울시에서 조정
             게 산사태에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해 주었으면
                                            해 주면 될 것으로 생각됨.
             함.
            ▸일정 계획에서 시민설명회의 시기가 4개월차에
             계획되어 있는데, 과업 시작 전에 시민들의 의견
             을 미리 들어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됨.




387
부록


A4-2 주민설명회
제3장
1. 서론


           개 요

      •    일시: 2012년 9월 21일 금요일 15:00~18:30
      •    장소: 여의도 한국화재보험협회
      •    주최: 대한토목학회/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주제: 우면산 원인조사 시민 설명회
      •    목적: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중간결과 설명, 시민 의견수렴
      •    참석: 조사단: 김명모 단장(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정상섬 부단장(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등 연구진
                 서울연구원 : 원종석, 유영민
                 시 민: 유가족, 피해주민 등



           진행 일정

             구       분                     진 행 내 용       비고

          15:00~15:05 ( 5´)     조사개요 설명                 조사단장

                                중간결과 설명
          15:05~16:35 (90´)     (1) 분야별 설명 (조사단 연구진)     조사단
                                (2) 총괄 설명 (조사단장)

          16:35~16:45 (10´)     휴 식

                                                        조사단 및
          16:45~18:00 (75´)     질의응답 및 의견수렴
                                                         시민




                                                                  388
부록


 2. 주민설명회 결과


        피해주민 요구사항 및 반영


               요구사항                            반영


                                  ▸2012년 5월31일 서울시 보도자료에 의하면 우면산
      ▸2011년 우면산 산사태의 발생은 천재지변인
                                   에 2010년 곤파스 피해 지역만 복구하고자 하였으
       가?
                                   며 우면산 전체에 대한 피해 대책을 세우지 않았음.


                                  ▸2010년 서울시에서 객관성을 지키기 위해 직접 토목
      ▸우면산 산사태 2차 조사단 토목학회의 연구     학회로 발주 하지 않았음.
       객관성이 보장 되었는가?              ▸서울시는 연구 내용에 관여 하지 않음.
                                  ▸서울시는 보고서 인쇄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389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A4-3 해외전문가 초청 토론회
제4장
1. 서론


           개 요



      •    일시 : 2012년 10월 12일 금요일 10:00~19:00
      •    장소 : 현장 답사(우면산) 및 토론회(서울연구원 대회의실)
      •    목적 : 우면산 산사태 조사 결과에 관하여 외국전문가를 초청하여 자문
      •    참석인원 : 34명(연구진 30명, 해외전문가 4명(아래 참조))
          -Andrew W. MALONE : Professor, Dept. of Earth Sciences, Hongkong
           University, ex Head of GEO
          -Hiroshi FUKUOKA: Professor, Research Center on Landslides, Kyoto
           University
          -Ko-Fei LIU: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National Taiwan University
          -Akihiko IKEDA : Chief, SABO & Landslide Technical Center, Tokyo



           진행 일정

              시     간                       행 사 내 용                            비 고
             10:00~14:00                    우면산 현장 답사                           우면산
             14:00~14:10                         이동                              차량

             14:10~15:00                        점심식사                           사전예약

             15:00~15:30                         이동                              차량

             15:30~16:00                        회의준비                            회의실

             16:00~17:50               조사단 발표(김명모 조사단장외)                        회의실

             17:50~18:00                         휴식
             18:00~19:00                 해외전문가의 자문 및 토론                         회의실




                                                                                      390
부록


 2. 현장조사


      (1) 현장조사 개요
        •   목적: 우면산 산사태 조사 중간보고서의 주요 이슈 대상지에 대해 해외전문가들이
            자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장 답사를 실시하였다.
        •   조사 일시 및 참석자
            ① 조사 일시 : 2012년 10월 12일 10:00~ 14:00
            ② 참석자 : 해외 전문가 4인, 대한토목학회 윤찬영 교수, 사방협회 김민식 실장,
              서울연구원 원종석 연구위원
        •   조사 결과
            주요 이슈 대상지인 아래와 같이 2010년 복구 관련 덕우암계곡, 공군부대 관련 래
            미안아파트 인근, 저수지 역할 관련 우면산 생태공원, 서초터널 발파 관련 보덕사
            인근을 현장 조사하였음. 그러나 해외 전문가가 현장에서 토석류 이외의 산사태 현
            장 답사를 요구하여 전원마을을 추가 조사하였다.
        •   현장조사 장소
            ① 우면산생태공원(Lower Catches Influencing Area : Eco-Park Resevoir)
            ② 전원마을(Jeonwon Village : Landslide site)
            ③ 보덕사(Tunneling Influenced Area : Bodeoksa Temple)
            ④ 래미안아파트(around Air Force Base: upper area of Raemian APT)
            ⑤ 덕우암계곡(the Area Experienced Landslide in 2010 : Dukwooam valley)




391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2) 현장조사 사진

   ■ 우면산생태공원




                         사방댐 주변 수로 조사(좌로부터
                         Fukuoka 교수, Malone교수, Liu
                                   교수)




                            생태저수지 상부 수로
                           조사(좌로부터 Malone교수,
                            Liu교수, 윤찬영교수)




                           우면산 생태공원 전반적
                           조사(좌로부터 김민식실장,
                             Ikeda박사, Liu교수,
                                Fukuoka교수)




                                                     392
부록


      ■   전원마을




                    전원마을 산사태 발생 지역
                     조사(좌로부터 윤찬영교수,
                 Kukuoka교수, Liu교수, Malone교수)




                   전원마을 산사태 복구 현장
                   조사(좌로부터 Malone교수,
                    윤찬영교수, 김민식실장,
                    Ikeda박사, Fukuoka교수)




                    전원마을 산사태 피해방향
                    조사(좌로부터 윤찬영교수,
                    Malone교수, Fukuoka교수,
                          김민식실장)




393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 보덕사




                         보덕사 피해 현장 조사(좌로부터
                         Liu교수, 윤찬영교수, Ikeda박사)




                         보덕사 주변 환경 조사(좌로부터
                         윤찬영 교수, Malone교수, Liu교수,
                           Fukuoka교수, Ikeda박사)




                         보덕사 상부 사면 조사(좌로부터
                             윤찬영 교수, Liu교수,
                           Fukuoka교수, 김민식실장)




                                                394
부록


      ■ 래미안아파트




                    래미안아파트 상부 군부대
                     인근지역 조사(좌로부터
                    Fukuoka교수, Malone교수,
                 Ikeda박사, Liu교수, 윤찬영교수)




                  래미안아파트 상부 군부대
                  인근지역 조사(김민식 실장,
                     Fukuoka교수)




                     래미안아파트 상부 사면
                    조사(좌로부터 윤찬영교수,
                 Liu교수, Ikeda박사, Malone교수,
                    김민식실장, Fukuoka교수)




395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 덕우암계곡




                          덕우암계곡 사면조사(좌로부터
                         Malone교수, 윤찬영교수, Liu교수)




                         덕우암계곡 사면조사(Malone교수)




                            덕우암계곡 계류 조사




                                               396
부록


 3. 토론 결과


            전문가 자문의견 및 자문의견 반영 계획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1) 2010년 붕괴사면에 대한 복구의 적절성, 2011년
         재해의 방지 가능 여부
  ▸Fukuoka: 사방댐 등 큰 스케일의 구조화된 복구대책의
      건설에는 1년 이상의 기간을 요한다. 완벽하게 복구하려
                                         「6잘 결론 4번 대책 관련 사항」변경 예정
      면 비현실적이게 큰 비용도 든다. 2011년의 재산 피해는
                                         ▸2010년 산사태 직후에 우면산(공군기지 사면 포
      피할 수 없었지만 조기 경보를 했다면 사람의 생명은
                                          함)계곡의 산사태 및 토석류 대책에 관한 적절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한 Master Plan이 수립되었다면 (비록 복구 작업
  ▸Liu: 지하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고 강우에 대한 보
                                          이 2011년 우면산의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할
      호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은 적절하기 못했다. 나도 보고
                                          때까지 완료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인명 피해
      서의 내용을 동의한다.
                                          는 예방될 수 있었으며, 재산 피해도 상당히 감
  ▸Malone/Ikeda: 우면산 모든 계곡에 대한 물리적인 복구
                                          소했을 것이다.
      가 2011년 7월 26일까지 실질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을
                                         ▸서울시에서는 2011년 재난 후에 시작된 복구 작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2010년 산사태의 대응으로써 대
                                          업은 올해 6월 초에 완료되었다고 공시한 바 있
      책을 시작하기만 했더라도 본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은
                                          다.(서울시 보도자료 참고)
      질문에 대답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서울시청은
      2010년에 우면산에 발생했던 산사태나 토석류를 주시하
      여 우면산 또는 서울의 다른 지역의 산사태 위험에 관
      한 폭 넓은 문제를 다루는 조치를 했었는가?
                                         「5.2.1절 공군부대 산사태의 영향」변경 예정
                                         ▸단지 산사태의 수로 비교하자면 공군기지는 산
      2) 공군부대의 산사태 영향
                                          사태 총 피해의 약 10% 정도 영향을 미쳤다. 결
  ▸Malone: 사회적인 맥락으로 보면 중요한 것은 산사태의
                                          과로 비교하자면 총 사상자 16명 중 하류부 사
      수보다 산사태의 결과이다. 나는 공군부대 내에서 발생
                                          상자는 7명이다. 이는 공군기지에서 발생한 산사
      된 산사태들이 우면산 산사태의 16 내지 17명의 사망자
                                          태로 인한 토석류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확인되
      중 7명에 대한 원인으로 이해하고 있다. 전체 피해 중에
                                          지 않는 중간 사면의 붕괴 및 토사이동량을 고
      서 공군부대에 연관된 산사태 및 토석류의 기여가 작은
                                          려하자면 사상자 및 재산피해의 미친 영향을 실
      것이 아니었다.
                                          제 비율로 정량적 평가를 하는 것은 어려울 것
                                          이다.




397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3) 터널발파의 영향
▸Fukuoka: 지하발파에 기인된 지반거동은 산사태를 발생
 시키지는 않지만 추가적인 지하 균열에 기여했을 수도          「5.4절 발파에 의한 영향」변경 예정
 있다. 지하수의 공극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으며 장기        ▸지하 터널이 포함된 우면산의 항공사진이
 간의 사면 안정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포함될 예정이다. 여기에 산사태지역의 사진을
▸Liu: 논리적으로 발파 근처의 장소는 심각하게 영향을         겹쳐놓을 것이다. Liu 교수가 자문회의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사진에서 보면, 터널의
 받았을 것이다. 만약 발파가 토양과 기반암에 영향을 미         종단을 따라 주목할 만한 편향성을 찾을 수
 쳤다면 터널 위의 부분에 가장 큰 증거가 있을 것이다.         없다. 이로써, 발파가 산사태에 거의 영향을
 터널 위나 주변 지역에서 산사태나 토석류의 증거가 없          미치지 않았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다면 이것은 발파의 영향이 적거나 없다는 것을 의미한
 다.                                    ▸발파에 의한 토양특성의 저하가 평가될 수 있다
▸Malone: 2011년 발파에 의한 토양특성 저하 가능성에      면, 발파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데
 관한 고려를 보고서에 포함했어야 한다. 토석류 발생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여러 가지 이
 에서의 토양특성의 저하가 고려되어야하고, 만약 동반이          유로 인해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동(Entrainment)이 생겼다면 토석류의 트랙을 따라 발생
 하였을 것이다.




                                                                     398
부록


A4-4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 및 보완조사 공청회
제5장
 1. 서론


          개 요

      •   일시 : 2012년 11월23일 금요일 15:00~20:00
      •   장소 : 페럼타워 (3층 페럼홀)
      •   주관 : 서울연구원
      •   참석 : 조사단, 관련 전문가, 유가족, 피해주민 및 일반시민, 언론




          진행일정

             구       분                     진 행 내 용   비 고

          15:00~15:05 ( 5´)   (1) 원인조사 추진경위 설명       서울연구원


          15:05~16:25 (80´)   (2) 원인조사 결과 발표         2차조사단


          16:25~16:30 ( 5´)   토론 준비 및 장내 정리


          16:30~19:00 (90´)   (3) 전문가 토론



                                                     2차조사단
          19:00~20:00 (60´)   (4) 질의응답 및 의견수렴
                                                     서울연구원




399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2. 개최 결과

          전문가 자문의견 요약

    전문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가

           ▸강우 재현빈도 산정시 20년빈도는 예상 가능하고 120년   ▸1시간 강우로 한 것은 본문
            빈도는 천재임. 서초관측소와 남현관측소 강우 재현빈도      에 있으며 편의로 한 것이었
    이수곤
            가 다른데 우면산 동측과 서측에서는 골고루 산사태가       는데 1시간, 10시간, 1일로 표
    교수
            발생. 붕괴할때까지 강우량을 산정해야 함. 붕괴 이후에     로 수정하도록 하겠음.
    (서울
            는 강우량에 포함하면 안 됨.
    시립
           ▸공군부대에 원인이 있는데 서울시가 대책을 안 한 것이     ▸서울시의 대책이 필요했다는
    대학교)
            문제임.                               것이 일관된 조사단의 결론
                                               임.
           ▸1차 보고서는 과학적인 검증이라기 보다는 상당히 극단 ▸제도적인 부분은 본 연구 범
    김경하
            적인 부분이 많았음. 금번 보고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     위가 아님.
    과장
            이 최신의 노하우를 가지고 결과를 낸 듯함.
    (국립
           ▸산림청에서는 2006년부터 산사태 위험지도를 만들어서
    산림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있음.
    과학원)
           ▸산사태 대응은 통합적으로 해야 함.
           ▸재난은 천재요소도 있지만 인재요소도 있음. 인재요소를 ▸보고서에 언급한 강우강도는
            필요없다고 생각하면 후진 사회임.                 사실을 적시한 것 뿐이고 강
           ▸산사태위험도를 퍼센트로 표시하여 100%에 가깝게 나타     우 강도와 관계없이 사전대
            나면 천재로 인정해야 함. 강우, 토양 등의 조건들을 정    비가 필요하였다는 결론이므
            량화하기 어려우므로 분명한 수치로 적시하는 것보다 범      로 이는 천재가 아니라는 결
            위로 주는 것이 타당할 듯함. 만일 수치로 적시하려면 공    론과 동일함.
            학적 판단이 명확하지 않지만 그렇게 했다는 한계점을      ▸공공기관인 산림청에서 우면
            명확히 해주어야 함.                        산 일부 지역이지만 주의보
                                               경보가 발령됐는데 주민들한
    박창근                                        테 전파가 잘 안되어서 피해
    교수                                         를 키웠다고 판단하였음. 잘
    (관동                                        되었으면 피해를 대폭 감소
    대학교)                                       할 수 있었음.
                                              ▸위험도 분석에서 일정 범위
                                               를 갖는 위험등급으로 구분
                                               하였음. 또한 100%라 하더라
                                               도 그 것이 천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만큼 사전
                                               대비의 절대적 필요성을 강
                                               조하는 의미를 가짐.
                                              ▸보고서에 모델의 한계나 신
                                               뢰도를 언급하였음.




                                                                 400
부록


       전문가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장기태
              ▸보덕사 쪽에 본인의 키보다 3배 정도 큰 나무에 흙탕물 ▸보고서에서 다룬 내용임.
        교수
               이 붙어 있었음. 잡목 등 유목댐이 형성된 것으로 보임.
       (금오
               지하수위 측정결과 상부사면에 조금만 비가와도 물이 빠
        공과
               지지 않는다는 조사결과와 일맥상통함.
       대학교)



              ▸공군부대가 토석류 피해를 가중시킨 것은 아님. 공군부        ▸공군부대 영외 배출수와 관
               대 배수체계는 1미터짜리 흙둑을 쌓는데 이는 무너지기         련하여 기본 생각은 공군부
               전에는 물이 유출될 수 없음. 공군부대 내의 사면 2개가       대가 없으면 침투수가 증가
               붕괴하여 집수정을 막았음. 그러나 그래서 차오른 물 깊        하는 대신 영외배출수가 감
               이는 발목 정도였음.                           소하고 공군부대가 있음으
              ▸공군부대 사면관리의 문제는 없었음. 소방방재청에서 올         로해서(도로 포장 영향) 침
               4월부터 서울지역 지반재해위험정밀지도를 만들었음. 토         투수는 다소 감소하고 배출
               석률 발생 위험물골을 계산함. 래미안 아파트 방면, 신동       수는 증가하지만 그로 인한
       오경두     아 아파트 방면 등 4개 붕괴지점은 모두 1등급으로 산출       하류부 피해의 차이는 미미
        교수     됨. 2011년 7월에 한달 가까이 비가 왔음. 더 들어갈 공    함. 따라서 영외 배출수에
       (육군     간이 없을 정도로 물을 머금고 있다가 10분 강우 기준        의한 토석류 피해 증가는
        사관     17.5 미리 정도의 폭우에 산사태가 나서 토석류로 변함.      무시할만하다는 결론임.
       학교)     군부대 주변의 사면은 잘 관리된다고 붕괴를 피할 수 있       ▸펜스하고 부대사이의 공간
               는 것이 아니었음. 게다가 산사태 당시 가지고 있었던         에 사람이 왕래할 수 없어
               자료는 산림청 산사태 위험등급 지도 밖에 없었음. 산사        서 사람이 사면을 훼손시킬
               태 발생지역은 2, 3등급 지역으로 덜 위험한 것으로 나       수 없고 자연적으로 무너졌
               와 있었음. 게다가 산림청 산사태 위험등급 지도는 위험        다고 하는 견해에 동감하지
               지역이 98.5%이므로 덜 위험한 지역 위험한 지역 나누       만 강우에 의한 사면의 자
               어서 대책을 세우기에는 부족했음.                    연적 붕괴를 예방했어야 한
                                                     다는 것임. 따라서 결론에는
                                                     영향이 없음.


      ※ 이외에도 전문가 의견이 있었으나 조사단의 연구범위를 넘는 경우이기 때문에 그 내용
       을 본보고서와는 별도로 서울시에 제출하였음. 그리고 시민, 유가족 및 피해주민의 의
       견도 서울시에 제출하였다.




401

More Related Content

PDF
67 110
PDF
157 202
PDF
111 156
PDF
20111125 우면산 산사태_원인조사_최종보고서(요약본)(한국지반공학회)
PDF
27 66
PPTX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PPTX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PDF
282 355
67 110
157 202
111 156
20111125 우면산 산사태_원인조사_최종보고서(요약본)(한국지반공학회)
27 66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82 355

More from kysnyou (20)

PDF
PDF
PDF
PDF
PDF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PDF
2011.11.25 우면산 산사태_원인조사_최종보고서(요약본)(한국지반공학회)
PDF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PDF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PDF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PDF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PDF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PDF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PDF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PDF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PDF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PDF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PDF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PDF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PDF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PDF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2011.11.25 우면산 산사태_원인조사_최종보고서(요약본)(한국지반공학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Ad

356 435

  • 1. 부록 A2-2 HEC-HMS 유출분석 결과 ■ 강우 입력자료 <그림 A2-1> 남현지점 입력 강우 <그림 A2-2> 서초지점 입력 강우 ■ HEC-HMS 입력 매개변수 구분 유역면적(km2) CN(lll) 도달시간(hr) 저류상수(hr) 비고 덕우암 0.095 73 0.067 0.055 래미안APT 0.077 75 0.069 0.062 신동아APT1 0.103 65 0.073 0.062 신동아APT2 0.090 75 0.071 0.061 형촌마을1(전체) 0.291 61 0.087 0.067 형촌마을1(18구간) 0.033 76 0.034 0.027 형촌마을1(19구간) 0.018 73 0.025 0.019 전원마을1(B-L3구간) 0.043 64 0.051 0.044 전원마을1(B-L4구간) 0.051 56 0.057 0.049 전원마을3(A구간) 0.060 74 0.044 0.034 322
  • 2. ■ 유출분석 결과 • 유출수문곡선 (덕우암 지점) • 유출수문곡선 (래미안APT 지점) 323
  • 3. 부록 • 유출수문곡선 (신동아APT1 지점) • 유출수문곡선 (신동아APT2 지점) 324
  • 4. 유출수문곡선 (형촌마을(전체) 지점) • 유출수문곡선 (형촌마을(18구간) 지점) 325
  • 5. 부록 • 유출수문곡선 (형촌마을(19구간) 지점) • 유출수문곡선 (전원마을(B-L3구간) 지점) 326
  • 6. 유출수문곡선 (전원마을(B-L4구간) 지점) • 유출수문곡선 (전원마을(A구간) 지점) 327
  • 7. 부록 A3. 유역별 특성 및 산사태/토석류 위험도 상세 분석 A3-1 전원마을 1. 전원마을 1 1) 전원마을 1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48,900㎡이고 최소 경사 7˚에서 31˚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1> 전원마을 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1유역은 10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175.6㎥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28
  • 8. <그림 A3-2> 전원마을1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1유역의 퇴적부에 상당량의 토사량이 퇴적되었고 다수의 가옥이 매몰 및 파손되었으며 농경지 피해가 발생하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95,8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48,900㎥, 유로평균경사 12˚가 있다. <그림 A3-3> 전원마을 1유역의 토석류 흐름 329
  • 9.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은 전원마을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94%이다. <표 A3-1> 전원마을 1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전원마을1 94%(매우위험) 2. 전원마을 2 1) 전원마을 2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43,800㎡이고 최 소 경사 10˚에서 28˚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 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그림 A3-4> 전원마을2 유역도 330
  • 10.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2 유역에는 7개소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38.8㎥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8˚,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 전원마을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2 유역의 퇴적부의 농경지가 다소 매몰되어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31,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43,800㎥, 유로평균경사 18˚가 있다. 331
  • 11. 부록 <그림 A3-6> 전원마을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는 전원마을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80%이다. <표 A3-2> 전원마을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전원마을2 80%(위험) 3. 전원마을 3 1) 전원마을 3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9,100㎡이고 최 소 경사 9˚에서 33˚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332
  • 12. <그림 A3-7> 전원마을3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3유역은 산사태 발생(5개소)으로 전원마을 유역중 발생지 개수도 적을뿐 더러 발생량도 가장 작으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69.1㎥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3.75˚, 건조단 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 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8> 전원마을3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33
  • 13. 부록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전원마을 3유역의 그림 A3-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낮은 경사임에도 불구하고 계 곡부를 따라 토사가 유입되고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6,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9,100㎥, 유로평균경사 15.6˚가 있다. <그림 A3-9> 전원마을3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3은 전원마을3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5%이다. <표 A3-3> 전원마을3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전원마을3 75%(위험) 334
  • 14. A3-2 보덕사 1. 보덕사 유역 1) 보덕사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421,400㎡이고 최소 경사 19˚에서 45˚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3개정도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 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1(소경목)이다. <그림 A3-10> 보덕사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보덕사유역은 다수의 산사태 발생(12개소)으로 많은 량의 사태물질이 퇴적부로 유 입 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842.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335
  • 15. 부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11> 보덕사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보덕사 유역의 퇴적부에 상당량의 토사량이 퇴적되었고 다수의 가옥이 매몰 및 파 손되었으며 농경지 피해가 발생하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06,5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421,400 ㎥, 유로평균경사 17˚가 있다. 336
  • 16. <그림 A3-12> 보덕사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4는 보덕사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99%이다. <표 A3-4> 보덕사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보덕사 99%(매우위험) 2. 앞윗마을 유역 1) 앞윗마을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5,300㎡이고 최소 경사 8˚에서 20˚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337
  • 17. 부록 <그림 A3-13> 앞윗마을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앞윗마을 유역의 산사태는 낮은 경사에서 발생한 계류침식 정도로 판단되고 그 피 해규모는 미미하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2.7㎥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11.8˚,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14> 앞윗마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338
  • 18. 앞윗마을 유역의 발생부에서 시작된 토석류가 퇴적부의 농경지를 덮쳤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9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5,300㎥, 유로평균경사 11.8˚가 있다. <그림 A3-15> 앞윗마을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5는 앞윗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69%이다. <표 A3-5> 앞윗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앞윗마을 69%(다소위험) 3. 한국외교협회 유역 1)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58,1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 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339
  • 19. 부록 <그림 A3-16> 한국외교협회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한국외교협회 유역은 산사태보다는 계류침식에 의한 토사유실로 판단되며 피해또한 미미하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26.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14.6˚,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17>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40
  • 20.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경우는 유하부가 길지 않으며 피해 또한 상당히 미미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9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58,100㎥, 유로평균경사 14.6˚가 있다. <그림 A3-18>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6은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토석 류 위험도는 73%이다. <표 A3-6> 한국외교협회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한국외교협회 73%(위험) 341
  • 21. 부록 A3-3 송동마을 1. 송동마을 유역 1) 송동마을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678,9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48˚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3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19> 송동마을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송동마을 유역은 16개소의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주로 8부 능선에서 발생하여 계곡 부를 따라 사태 물질이 이동하였고 산사태 발생 총량은 2,366.5㎥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42
  • 22. <그림 A3-20> 송동마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송동마을 유역의 8부 능선에서 발생한 산사태 들이 유하부를 따라 흘러 퇴적부 마 을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541,4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678,900 ㎥, 유로평균경사 16.25˚가 있다. <그림 A3-21> 송동마을 유역의 토석류 흐름 343
  • 23.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7은 송동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100%이다. <표 A3-7> 송동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송동마을 100%(매우위험) 344
  • 24. A3-4 우면산터널 1. 우면산터널 유역 1) 우면산터널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64,2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20˚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 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22> 우면산 터널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우면산 터널 유역은 2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258.7㎥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7˚,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345
  • 25. 부록 <그림 A3-23> 우면산터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우면산터널 유역의 발생부에서부터 시작된 토석류가 터널앞까지 흘러 터널을 이용 하는 차량들이 통제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42,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64,200㎥, 유로평균경사 14˚가 있다. <그림 A3-24> 우면산터널 유역의 토석류 흐름 346
  • 26.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8은 우면산터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83%이다. <표 A3-8> 우면산터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우면산터널 83%(위험) 347
  • 27. 부록 A3-5 EBS 1. EBS1 유역 1) EBS1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29,000㎡이고 최소 경사 9˚에서 30˚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3영급(21~30년생), 경급은 2(중경목)이다. <그림 A3-25> EBS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EBS1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량은 111.6㎥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3영급(21~30년생)등이 있다. 348
  • 28. <그림 A3-26> EBS1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EBS1 유역의 EBS 건물 앞쪽 주차장을 따라 퇴적되었으며 건물에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2,6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29,000㎥, 유로평균경사 12.8˚가 있다. <그림 A3-27> EBS1 유역의 토석류 흐름 349
  • 29.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9는 EBS1 유역의 토석류 위험 도는 77%이다. <표 A3-9> EBS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EBS1 77%(위험) 2. EBS2 유역 1) EBS2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5,3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28> EBS2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EBS2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량은 29.1㎥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8˚, 건조단위 350
  • 30.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29> EBS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EBS2 유역은 EBS 건물 뒤편에 담벼락을 따라 토사석류의 퇴적물이 퇴적되었으며 건물 안쪽으로의 피해는 없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4,7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5,300㎥, 유 로평균경사 12.8˚가 있다. 351
  • 31. 부록 <그림 A3-30> EBS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0은 EBS2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70%이다. <표 A-10> EBS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EBS2 70%(위험) 3. EBS3 유역 1) EBS3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1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352
  • 32. <그림 A3-31> EBS3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EBS3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량은 69.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32> EBS3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353
  • 33. 부록 • EBS3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로부터 시작된 토석류가 EBS건물의 테니스장 및 그 옆 도로에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5,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100㎥, 유 로평균경사 12.8˚가 있다. <그림 A3-33> EBS3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1은 EBS3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71%이다. <표 A3-11> EBS3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EBS3 71%(위험) 354
  • 34. A3-6 관문사 1. 관문사1 유역 1) 관문사1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64,1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27˚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인 임분), 영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34> 관문사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관문사1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량은 119.5㎥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7˚,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55
  • 35. 부록 <그림 A3-35> 관문사1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관문사1 유역은 관문사 왼편의 공터에 대부분 퇴적 되었으며 관문사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히지 않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18,1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64,100 ㎥, 유로평균경사 14.62˚가 있다. <그림 A3-36> 관문사1 유역의 토석류 흐름 356
  • 36.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2는 관문사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96%이다. <표 A3-12> 관문사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관문사1 96%(매우위험) 2. 관문사2 유역 1) 관문사2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59,9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37> 관문사2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관문사2 유역은 3개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173.2㎥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 건조단위 357
  • 37. 부록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38> 관문사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관문사2 유역은 2개의 유하부가 관문사 오른편 정원을 타고 흘러 지하 주차장은 물론 정원에 상당량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28,8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59,900 ㎥, 유로평균경사 14.62˚가 있다. 358
  • 38. <그림 A3-39> 관문사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3은 관문사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97%이다. <표 A3-13> 관문사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관문사2 97%(매우위험) 3. 암산마을 유역 1) 암산마을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7,700㎡이고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359
  • 39. 부록 <그림 A3-40> 암산마을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암산마을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가 존재하며 산사태 발생량은 108.6㎥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3˚,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41> 암산마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60
  • 40.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암산마을 유역의 퇴적부의 마을 도로를 따라 토사가 유출 되었으며 가옥의 피해는 미미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1,8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7,700㎥, 유로평균경사 25˚가 있다. <그림 A3-42> 암산마을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4는 암산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3%이다. <표 A3-14> 암산마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암산마을 73%(위험) 361
  • 41. 부록 A3-7 강남교회 1. 강남교회1 유역 1) 강남교회1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1,2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43> 강남교회1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1 유역은 1개의 발생부에서 많은 량의 산사태가 발생하였고 산사태 발생 량은 147.3㎥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4˚,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이다. 362
  • 42. <그림 A3-44> 강남교회1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1 유역은 하나의 발생부에서 시작된 토석류가 유하부를 타고 흘러 퇴적부 주차장에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6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1,200㎥, 유로평균경사 18.08˚가 있이다. <그림 A3-45> 강남교회1 유역의 토석류 흐름 363
  • 43.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5는 강남교회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1%이다. <표 A3-15> 강남교회1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강남교회1 71%(위험) 2. 강남교회2 유역 1) 강남교회2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37,7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46> 강남교회2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2 유역은 5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84.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4˚, 건조단위 364
  • 44.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47> 강남교회2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강남교회2 유역의 경우 5개소의 산사태로부터 시작된 토석류가 교회 바로 뒤편에 서 합류해 교회앞 도로는 물론 교회 앞마당까지 토사가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8,0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37,700㎥, 유로평균경사 18˚가 있다. 365
  • 45. 부록 <그림 A3-48> 강남교회2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6은 강남교회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79%이다. <표 A3-16> 강남교회2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강남교회2 79%(위험) 3. 양재자동차학원 유역 1)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동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90,9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366
  • 46. <그림 A3-49> 양재자동차학원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은 5개의 산사태 발생부를 가지며 그 총량은 671.5㎥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9.8˚,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0>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67
  • 47. 부록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퇴적부에 산사태로 인한 토사들이 자동차 학원에 직접적으 로 피해를 미치지 못하고 유하부 중간에 퇴적되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46,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90,900㎥, 유로평균경사 13.1˚가 있다. <그림 A3-51>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7은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는 84%이다. <표 A3-17> 양재자동차학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양재자동차학원 84%(위험) 368
  • 48. A3-8 예술의 전당 1. 대성사 유역 1) 대성사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57,0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산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52> 대성사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대성사 유역은 2개의 발생부를 가지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16.3㎥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69
  • 49. 부록 <그림 A3-53> 대성사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대성사 유역의 두곳에서 시작된 토석류가 남부 순환로를 덮쳤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27,7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57,000㎥, 유로평균경사 14.65˚가 있다. <그림 A3-54> 대성사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0
  • 50.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8은 대성사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79%이다. <표 A3-18> 대성사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대성사 79%(위험) 2. 예술의전당 유역 1) 예술의전당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83,600㎡이다. • 3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55> 예술의전당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예술의전당 유역은 8개의 산사태 발생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총량은 898㎥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9.5˚, 건조단위 371
  • 51. 부록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6> 예술의전당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예술의 전당 유역의 그림 A3-5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하부 중간에 가옥이 존 재하는데 토석류 피해 당시 가옥이 반파될 정도로 많은 양의 토석류가 흘렀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117,4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83,600 ㎥, 유로평균경사 14.8˚가 있다. <그림 A3-57> 예술의전당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2
  • 52.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19는 예술의전당 유역의 토석 류 위험도는 96%이다. <표 A3-19> 예술의전당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예술의전당 96%(매우위험) 3. 국립국악원 유역 1) 국립국악원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6,200㎡이다 • 2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58> 국립국악원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국립국악원 유역은 5개소의 산사태 발생부가 존재하고 유역의 경사는 상당히 가파 르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434.7㎥이다. 373
  • 53. 부록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0(북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59> 국립국악원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국립국악원 유역은 퇴적부의 국립국악원 외벽이 토석류의 흐름을 막아 국악원 내부 의 피해는 미미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55,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6,200㎥, 유로평균경사 32˚가 있다. 374
  • 54. <그림 A3-60> 국립국악원 유역의 토석류 흐름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0은 국립국악원 유역의 토석 류 위험도는 87%이다. <표 A3-20> 국립국악원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국립국악원 87%(위험) 375
  • 55. 부록 A3-9 뒷골 1. 뒷골 유역 1) 뒷골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서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786,400㎡이고 최소 경사 5˚에서 45˚까지 다양한 경사를 띄고 있다. • 4개정도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편마암이 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고(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61> 뒷골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뒷골 유역은 15개소의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산사태 발생총량은 341.9㎥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0.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76
  • 56. <그림 A3-62> 뒷골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뒷골 유역의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사태가 유하부를 따라 흘러와 마을 안길 및 배수로를 따라 흐름 가옥에 직접적인 피해를 끼쳤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325,2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786,400 ㎥, 유로평균경사 9˚가 있다. <그림 A3-63> 뒷골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7
  • 57.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1은 뒷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 도는 100%이다. <표 A3-21> 뒷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뒷골 100%(매우위험) 2. 안골 유역 1) 안골 전당 유역의 특성 • 서울시 서초구 우면산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178,200㎡이다. • 1개의 주요한 유하부를 가지며 표토는 사양토이고 표토의 모암은 호상 편마암이다. • 산림정보로는 임상은 활엽수림, 밀도는 중(수관점유 면적이 51~71%인 임분), 영 급은 4영급(31~40년생), 경급은 3(대경목)이다. <그림 A3-64> 안골 유역도 2)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안골 유역은 2개의 발생부를 가지고 있으며 산사태 발생 총량은 125.2㎥이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26˚, 건조단위 378
  • 58.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남동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그림 A3-65> 안골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3)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안골 유역의 토석류는 퇴적부까지 흐르지 않고 산사태 바로 아래 부분의 유하부에서 멈추 었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0,300㎡, 표토의 모암 호상편마암,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178,200㎥, 유로평균경사 15.7˚가 있다. <그림 A3-66> 안골 유역의 토석류 흐름 379
  • 59. 부록 •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2는 안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 도는 90%이다. <표 A3-22> 안골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안골 90%(매우위험) 380
  • 60. A3-10 선바위 1. 선바위 유역 • 선바위 유역은 2011년 우면산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당시 산사태는 물론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은 유역이다. <그림 A3-67> 선바위 유역도 1) 산사태 위험도 분석 • 선바위 유역은 보도자료 및 현장 조사 결과 산사태 발생부가 없다. •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지점의 평균경사 35˚, 건조단위 중량 1.7t/㎥, 3일 누적강우량 329mm, 산불 등에 의한 지반 교란 유무 0(미발생), 경사방향지수 1(서쪽), 나무의 수령 4영급(31~40년생)등이 있다. 381
  • 61. 부록 <그림 A3-68> 선바위 유역의 산사태 위험도 2) 토석류 위험도 분석 • 선바위 유역은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 토석류 발생 확률 예측을 위한 고려인자로는 산사태 발생 확률 50%이상인 유역의 면적 76,300㎡, 표토의 모암 , 연속강우량 329mm, 유역면적 353,600㎥, 유로평균 경사 14.3˚가 있다. <그림 A3-69> 선바위 유역의 토석류 흐름(없음) 382
  • 62. 강릉원주대 유역별 토석류 위험도 평가결과 표 A3-23은 선바위 유역의 토석류 위 험도는 17%이다. <표 A3-23> 선바위 유역의 토석류 위험도 유역명 최종 토석류 위험도 선바위 17%(안전) 383
  • 63. 부록 A4. 회의 및 조치결과 A4-1 전문가 토론회 1. 서론 개 요 • 일시: 2012년 6월 7일 목요일 14:00~16:00 • 장소: 서울연구원 대회의실 • 주최: 대한토목학회/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주제: 전문가 토론회 • 목적: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계획 발표 및 전문가 의견수렴 • 참석: 조사단: 김명모 단장(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정상섬 부단장(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등 연구진 서울연구원 : 원종석, 유영민 자문위원: 이승래, 김경하, 손영관, 이재훈 우면산 민관합동 TF: 홍원표, 이종훈 진행 일정 구 분 진 행 내 용 비고 14:10~14:20 ( 10´) 조사단장 인사 말씀 조사단장 14;20~14:50 (30´) 우면산 산사태 조사계획 발표 조사단 14:50~16:00 (70´) 전문가 토의 전문가 384
  • 64. 부록 2. 전문가 토론회 결과 전문가 자문 의견 및 반영 전문가 자문의견 반영 ▸조사단에서 너무 엔지니어링 관점에서만 접근하는 것 같음. ▸산지에서는 산의 기복과 토양의 구성 등이 복잡하므로 산 의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 ▸Wetting front 이론은 homogeneous한 지반에 적합하여 산지 같은 곳에서는 잘 맞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non-homogeneous한 경우 산지의 지형 특성을 고려한 ▸우면산이 토사가 발달되고 이번 산 Top-Model이나 수리학적 관점의 수리전도도를 고려하는 것 사태가 주로 토사에서 일어난 것은 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됨. 사실이나, 토사의 붕괴 시 항상 암 ▸우면산은 토양분화가 잘 발달되어 있는 곳이므로 암반위주 반 등의 지질적 요인이 바탕이 되 김경하 의 지질조사보다는 산림 토양 조사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 므로 지질학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과장 됨. 것은 매우 중요함. (국립산림 ▸토석류의 경우 우면산 산사태 현장 조사시 붕괴지점보다는 ▸투수시험 이외에도 계측도 포함시 과학원) 유하부의 영향이 더 컸으므로 참고하여 조사 했으면 좋겠 켜 현장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대 다고 생각 됨. 비책이 있음. ▸산지는 수목이나 토양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므로 실내실험 ▸산지의 불확실한 요인에 대해서는 보다는 현장투수실험에 의한 투수 특성 파악이 효과적일 식생을 고려하는 등 대비책이 있음. 것으로 생각됨. ▸SCS모델 사용시 피복에 대한 CN Number가 산지에 대해서 는 1~2가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SCS모델이 미국 토양보전 청에서 농지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모델이므로 국내의 산지 와는 맞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서 조사를 해 줬으면 함. ▸오늘 불참한 자문위원 역시 서면으 로 작년 한국지반공학회의 조사와 ▸우면산 산사태에 대해 우리의 기술 수준으로 얼마나 해결 이번 조사는 차별화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됨. 했음. ▸조사단의 계획은 전반적으로 잘 수립된 것으로 생각됨. ▸이번 조사의 목적은 원인이 강우였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파악되어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의 다는 누구나 아는 사실에 대한 조 문사항들을 정리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됨.(리스트 작성 필 이승래 사가 아니라, 비가 왔을 때 인공시 요) 교수 설물, 공군부대 등이 어떤 역할을 ▸예를 들어, 10년 이전에는 더 큰 강우가 있었는데도 불구하 (KAIST)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에 대 고, 2010년 태풍 곤파스 와 2011년에는 산사태가 발생한 것 해서 공정한 입장으로 조사하는 것 에 대한 원인은 무엇일까? 이 목적임. ▸복구공사가 끝나가는 시점에서 해석을 위한 지형과 지반상 ▸즉, 여기 모인 3그룹(TFT, 자문단, 태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됨. 조사단) 모두가 공동 책임을 가지고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생각됨. 납득할 만한 결론을 만들어 내어야 함. 385
  • 65. 부록 전문가 자문의견 반영 ▸지질조사에서 나오는 데이터는 성격이 다양하며, ▸지질뿐 아니라 여러 분야가 모여 있으므로 거기에는 정성적인 데이터도 있고 정량적인 데이 손영관 조사단에서는 2~3주에 한 번씩 회의를 개 터도 있음. 교수 최하기로 했으며, 그 때 각자가 조사한 내 ▸지질학적 요소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상대 용을 발표하고, 각 분야의 내용을 어떻게 부분에서는 정성적인 자료가 대부분인데 토목학 학교)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낼지에 대한 문제 적 관점에서 이런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지 의 를 해결하고자 함. 문임. ▸이번 조사는 원인조사가 목적인데 대책수립과 자 유로울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됨. 대책이 과업에 ▸작년 산사태에 대한 복구는 거의 완료 되었 포함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책방안 수립에 기초가 으며, 이번 조사에서는 failure mechanism 될 수 있는 조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됨. 분석을 위한 최소한의 조사만을 계획하였 ▸산사태에서 파괴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 음. 이재훈 한 일고, 김경하 위원의 생각과는 달리 얕은 파괴 ▸또한, 조사단에 포함되어 있는 토석류 사업 부사장 (Wetting front 이론)이냐 깊은 파괴냐에 대한 것을 단에서 많은 조사가 수행되어 있고, 이런 (동일기술 파악하겠다는 조사단의 계획에는 공감하며, 이는 축적된 기본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고, 원 공사)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될 것으로 예상됨. 인조사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 조사만 계획 ▸붕적토의 수리, 강도 특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 ▸김경하 위원과 이재훈 위원의 이견에 대해 며, 지하수위의 분포가 매우 중요하므로, 계획된 서는 두 위원의 우려와는 달리 조사단에서 시추조사만으로는 전반적인 자료 취득에 부족할 도 homogeneous하지 않은 조건에 대한 부 수도 있으며, 3차원 지하수 유동해석(Modflow)가 분을 고려할 방안이 준비되어 있음. 수행되어야 하지 않나 생각됨. ▸한국지반공학회의 조사는 산사태는 이런 저 런 이유로 발생되었으며, 이런 저런 보강이 필요하고, 이것이다 저것이다 확실히 짚고 넘어가지는 않았으나 곤파스, 공군부대 등 ▸이번 조사는 한국지반공학회 보고서의 검증적 부 우리가 밝히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언급이 분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 있었음. ▸복구공사로 현장이 보존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사 ▸우면산 산사태는 강우에 의한 것이며, 강우 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와 유출량에 근거한 신속한 보강에 대해서 ▸조사 결과는 복구공사와 연관을 피할 수 없으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음. 이종훈 복구공사의 적합 여부를 평가해 주어야 할 것으 ▸이번 조사에서는 산사태와 토석류의 구체적 교수 로 생각됨. 인 원인 규명이며, 곤파스 복구공사나 공군 (명지 ▸외국 전문가의 자문은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할 부대 등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조 대학교) 때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 사를 수행하는 것이 목표임. ▸우면산은 현재 소송 중이며, 시민이 원하는 것은 ▸그리고, 모든 조사는 공군, 서울시, 시민 어 진실이므로 누구의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객관 느 쪽에서도 기울어지지 않고 매우 공정하 적인 진실을 밝혀 주었으면 함. 게 이루어 질 것임. ▸보강 공사에 대해 조사이전에 예단할 필요는 없 ▸외국인을 초청하여 자문을 하는 것은 어려 다고 생각됨. 운 문제는 아니나, 문제를 푸는데 근본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음. 그러 나, 꼭 원한다면 그렇게 하는 것에 어려움 은 없음. 386
  • 66. 부록 전문가 자문의견 반영 ▸TFT 내에서도 한국지반공학회의 조사 결과에 대 한 의구심이 많았으며, 8개소 추가 조사 등 여러 가지 의견 중에 이번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됨. ▸의견 중에는 공정성 등의 이유로 처음부터 조사 ▸시민을 만나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 파악이 를 외국 기술자에게 맡기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된 후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됨. 국내에도 기술적으로도 훌륭한 분들이 많으며, 이 ▸중간단계에서 정리해서 발표할 예정임. 중에서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분에게 맡기자 ▸시민의 의견을 무시하지는 않겠지만, 초반 는 결론이 있었음. 여러 분야에서 천거한 조사원 에 계획 단계에서부터 흔들리지는 않겠다는 으로 팀을 구성하여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분 생각이며, 이 일정들은 TFT가 서울시나 시 에게 단장을 제의하였음. 정개발연구원과 조율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 홍원표 ▸이번 산사태 TFT위원을 맡으며 산림을 대상으로 로 생각됨. 교수 연구하는 분야가 다양하며, 이들 분야가 각자 개 ▸공청회를 뒤로 미루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 (중앙대 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 며, 필요하면 서울시와 TFT에서 조정하고 학교) 음. 그 결과를 통보 바람. 그리고, 홍원표 위원 ▸유기적으로 여러 분야의 연구를 결합하여 좋은 의 말처럼 8월말에 하는 것은 문제 없음.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단장님의 조직적인 운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나면 조사 계획이 흔 영 능력이 발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됨. 들리지 않을 수 없음. 시민들만을 위해서 ▸이번 산사태는 상·중·하로 나눌 수 있으며, 상의 하는 일이 아닌데, 그것이 공정성에 더 문 공군부대가, 중의 수목, 하의 배수시스템이 어떻 제가 될 것 같으며, TFT와 서울시에서 조정 게 산사태에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해 주었으면 해 주면 될 것으로 생각됨. 함. ▸일정 계획에서 시민설명회의 시기가 4개월차에 계획되어 있는데, 과업 시작 전에 시민들의 의견 을 미리 들어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됨. 387
  • 67. 부록 A4-2 주민설명회 제3장 1. 서론 개 요 • 일시: 2012년 9월 21일 금요일 15:00~18:30 • 장소: 여의도 한국화재보험협회 • 주최: 대한토목학회/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주제: 우면산 원인조사 시민 설명회 • 목적: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중간결과 설명, 시민 의견수렴 • 참석: 조사단: 김명모 단장(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정상섬 부단장(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등 연구진 서울연구원 : 원종석, 유영민 시 민: 유가족, 피해주민 등 진행 일정 구 분 진 행 내 용 비고 15:00~15:05 ( 5´) 조사개요 설명 조사단장 중간결과 설명 15:05~16:35 (90´) (1) 분야별 설명 (조사단 연구진) 조사단 (2) 총괄 설명 (조사단장) 16:35~16:45 (10´) 휴 식 조사단 및 16:45~18:00 (75´) 질의응답 및 의견수렴 시민 388
  • 68. 부록 2. 주민설명회 결과 피해주민 요구사항 및 반영 요구사항 반영 ▸2012년 5월31일 서울시 보도자료에 의하면 우면산 ▸2011년 우면산 산사태의 발생은 천재지변인 에 2010년 곤파스 피해 지역만 복구하고자 하였으 가? 며 우면산 전체에 대한 피해 대책을 세우지 않았음. ▸2010년 서울시에서 객관성을 지키기 위해 직접 토목 ▸우면산 산사태 2차 조사단 토목학회의 연구 학회로 발주 하지 않았음. 객관성이 보장 되었는가? ▸서울시는 연구 내용에 관여 하지 않음. ▸서울시는 보고서 인쇄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389
  • 69.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A4-3 해외전문가 초청 토론회 제4장 1. 서론 개 요 • 일시 : 2012년 10월 12일 금요일 10:00~19:00 • 장소 : 현장 답사(우면산) 및 토론회(서울연구원 대회의실) • 목적 : 우면산 산사태 조사 결과에 관하여 외국전문가를 초청하여 자문 • 참석인원 : 34명(연구진 30명, 해외전문가 4명(아래 참조)) -Andrew W. MALONE : Professor, Dept. of Earth Sciences, Hongkong University, ex Head of GEO -Hiroshi FUKUOKA: Professor, Research Center on Landslides, Kyoto University -Ko-Fei LIU: Professor, Dept. of Civil Engineering, National Taiwan University -Akihiko IKEDA : Chief, SABO & Landslide Technical Center, Tokyo 진행 일정 시 간 행 사 내 용 비 고 10:00~14:00 우면산 현장 답사 우면산 14:00~14:10 이동 차량 14:10~15:00 점심식사 사전예약 15:00~15:30 이동 차량 15:30~16:00 회의준비 회의실 16:00~17:50 조사단 발표(김명모 조사단장외) 회의실 17:50~18:00 휴식 18:00~19:00 해외전문가의 자문 및 토론 회의실 390
  • 70. 부록 2. 현장조사 (1) 현장조사 개요 • 목적: 우면산 산사태 조사 중간보고서의 주요 이슈 대상지에 대해 해외전문가들이 자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장 답사를 실시하였다. • 조사 일시 및 참석자 ① 조사 일시 : 2012년 10월 12일 10:00~ 14:00 ② 참석자 : 해외 전문가 4인, 대한토목학회 윤찬영 교수, 사방협회 김민식 실장, 서울연구원 원종석 연구위원 • 조사 결과 주요 이슈 대상지인 아래와 같이 2010년 복구 관련 덕우암계곡, 공군부대 관련 래 미안아파트 인근, 저수지 역할 관련 우면산 생태공원, 서초터널 발파 관련 보덕사 인근을 현장 조사하였음. 그러나 해외 전문가가 현장에서 토석류 이외의 산사태 현 장 답사를 요구하여 전원마을을 추가 조사하였다. • 현장조사 장소 ① 우면산생태공원(Lower Catches Influencing Area : Eco-Park Resevoir) ② 전원마을(Jeonwon Village : Landslide site) ③ 보덕사(Tunneling Influenced Area : Bodeoksa Temple) ④ 래미안아파트(around Air Force Base: upper area of Raemian APT) ⑤ 덕우암계곡(the Area Experienced Landslide in 2010 : Dukwooam valley) 391
  • 71.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2) 현장조사 사진 ■ 우면산생태공원 사방댐 주변 수로 조사(좌로부터 Fukuoka 교수, Malone교수, Liu 교수) 생태저수지 상부 수로 조사(좌로부터 Malone교수, Liu교수, 윤찬영교수) 우면산 생태공원 전반적 조사(좌로부터 김민식실장, Ikeda박사, Liu교수, Fukuoka교수) 392
  • 72. 부록 ■ 전원마을 전원마을 산사태 발생 지역 조사(좌로부터 윤찬영교수, Kukuoka교수, Liu교수, Malone교수) 전원마을 산사태 복구 현장 조사(좌로부터 Malone교수, 윤찬영교수, 김민식실장, Ikeda박사, Fukuoka교수) 전원마을 산사태 피해방향 조사(좌로부터 윤찬영교수, Malone교수, Fukuoka교수, 김민식실장) 393
  • 73.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 보덕사 보덕사 피해 현장 조사(좌로부터 Liu교수, 윤찬영교수, Ikeda박사) 보덕사 주변 환경 조사(좌로부터 윤찬영 교수, Malone교수, Liu교수, Fukuoka교수, Ikeda박사) 보덕사 상부 사면 조사(좌로부터 윤찬영 교수, Liu교수, Fukuoka교수, 김민식실장) 394
  • 74. 부록 ■ 래미안아파트 래미안아파트 상부 군부대 인근지역 조사(좌로부터 Fukuoka교수, Malone교수, Ikeda박사, Liu교수, 윤찬영교수) 래미안아파트 상부 군부대 인근지역 조사(김민식 실장, Fukuoka교수) 래미안아파트 상부 사면 조사(좌로부터 윤찬영교수, Liu교수, Ikeda박사, Malone교수, 김민식실장, Fukuoka교수) 395
  • 75.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 덕우암계곡 덕우암계곡 사면조사(좌로부터 Malone교수, 윤찬영교수, Liu교수) 덕우암계곡 사면조사(Malone교수) 덕우암계곡 계류 조사 396
  • 76. 부록 3. 토론 결과 전문가 자문의견 및 자문의견 반영 계획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1) 2010년 붕괴사면에 대한 복구의 적절성, 2011년 재해의 방지 가능 여부 ▸Fukuoka: 사방댐 등 큰 스케일의 구조화된 복구대책의 건설에는 1년 이상의 기간을 요한다. 완벽하게 복구하려 「6잘 결론 4번 대책 관련 사항」변경 예정 면 비현실적이게 큰 비용도 든다. 2011년의 재산 피해는 ▸2010년 산사태 직후에 우면산(공군기지 사면 포 피할 수 없었지만 조기 경보를 했다면 사람의 생명은 함)계곡의 산사태 및 토석류 대책에 관한 적절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한 Master Plan이 수립되었다면 (비록 복구 작업 ▸Liu: 지하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고 강우에 대한 보 이 2011년 우면산의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할 호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은 적절하기 못했다. 나도 보고 때까지 완료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인명 피해 서의 내용을 동의한다. 는 예방될 수 있었으며, 재산 피해도 상당히 감 ▸Malone/Ikeda: 우면산 모든 계곡에 대한 물리적인 복구 소했을 것이다. 가 2011년 7월 26일까지 실질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을 ▸서울시에서는 2011년 재난 후에 시작된 복구 작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2010년 산사태의 대응으로써 대 업은 올해 6월 초에 완료되었다고 공시한 바 있 책을 시작하기만 했더라도 본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은 다.(서울시 보도자료 참고) 질문에 대답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서울시청은 2010년에 우면산에 발생했던 산사태나 토석류를 주시하 여 우면산 또는 서울의 다른 지역의 산사태 위험에 관 한 폭 넓은 문제를 다루는 조치를 했었는가? 「5.2.1절 공군부대 산사태의 영향」변경 예정 ▸단지 산사태의 수로 비교하자면 공군기지는 산 2) 공군부대의 산사태 영향 사태 총 피해의 약 10% 정도 영향을 미쳤다. 결 ▸Malone: 사회적인 맥락으로 보면 중요한 것은 산사태의 과로 비교하자면 총 사상자 16명 중 하류부 사 수보다 산사태의 결과이다. 나는 공군부대 내에서 발생 상자는 7명이다. 이는 공군기지에서 발생한 산사 된 산사태들이 우면산 산사태의 16 내지 17명의 사망자 태로 인한 토석류와 관련이 있다. 그러나 확인되 중 7명에 대한 원인으로 이해하고 있다. 전체 피해 중에 지 않는 중간 사면의 붕괴 및 토사이동량을 고 서 공군부대에 연관된 산사태 및 토석류의 기여가 작은 려하자면 사상자 및 재산피해의 미친 영향을 실 것이 아니었다. 제 비율로 정량적 평가를 하는 것은 어려울 것 이다. 397
  • 77.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3) 터널발파의 영향 ▸Fukuoka: 지하발파에 기인된 지반거동은 산사태를 발생 시키지는 않지만 추가적인 지하 균열에 기여했을 수도 「5.4절 발파에 의한 영향」변경 예정 있다. 지하수의 공극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으며 장기 ▸지하 터널이 포함된 우면산의 항공사진이 간의 사면 안정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포함될 예정이다. 여기에 산사태지역의 사진을 ▸Liu: 논리적으로 발파 근처의 장소는 심각하게 영향을 겹쳐놓을 것이다. Liu 교수가 자문회의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사진에서 보면, 터널의 받았을 것이다. 만약 발파가 토양과 기반암에 영향을 미 종단을 따라 주목할 만한 편향성을 찾을 수 쳤다면 터널 위의 부분에 가장 큰 증거가 있을 것이다. 없다. 이로써, 발파가 산사태에 거의 영향을 터널 위나 주변 지역에서 산사태나 토석류의 증거가 없 미치지 않았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다면 이것은 발파의 영향이 적거나 없다는 것을 의미한 다. ▸발파에 의한 토양특성의 저하가 평가될 수 있다 ▸Malone: 2011년 발파에 의한 토양특성 저하 가능성에 면, 발파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데 관한 고려를 보고서에 포함했어야 한다. 토석류 발생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여러 가지 이 에서의 토양특성의 저하가 고려되어야하고, 만약 동반이 유로 인해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동(Entrainment)이 생겼다면 토석류의 트랙을 따라 발생 하였을 것이다. 398
  • 78. 부록 A4-4 우면산 산사태 원인 추가 및 보완조사 공청회 제5장 1. 서론 개 요 • 일시 : 2012년 11월23일 금요일 15:00~20:00 • 장소 : 페럼타워 (3층 페럼홀) • 주관 : 서울연구원 • 참석 : 조사단, 관련 전문가, 유가족, 피해주민 및 일반시민, 언론 진행일정 구 분 진 행 내 용 비 고 15:00~15:05 ( 5´) (1) 원인조사 추진경위 설명 서울연구원 15:05~16:25 (80´) (2) 원인조사 결과 발표 2차조사단 16:25~16:30 ( 5´) 토론 준비 및 장내 정리 16:30~19:00 (90´) (3) 전문가 토론 2차조사단 19:00~20:00 (60´) (4) 질의응답 및 의견수렴 서울연구원 399
  • 79. 우면산 산사태 원인조사 추가 및 보완조사 2. 개최 결과 전문가 자문의견 요약 전문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가 ▸강우 재현빈도 산정시 20년빈도는 예상 가능하고 120년 ▸1시간 강우로 한 것은 본문 빈도는 천재임. 서초관측소와 남현관측소 강우 재현빈도 에 있으며 편의로 한 것이었 이수곤 가 다른데 우면산 동측과 서측에서는 골고루 산사태가 는데 1시간, 10시간, 1일로 표 교수 발생. 붕괴할때까지 강우량을 산정해야 함. 붕괴 이후에 로 수정하도록 하겠음. (서울 는 강우량에 포함하면 안 됨. 시립 ▸공군부대에 원인이 있는데 서울시가 대책을 안 한 것이 ▸서울시의 대책이 필요했다는 대학교) 문제임. 것이 일관된 조사단의 결론 임. ▸1차 보고서는 과학적인 검증이라기 보다는 상당히 극단 ▸제도적인 부분은 본 연구 범 김경하 적인 부분이 많았음. 금번 보고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 위가 아님. 과장 이 최신의 노하우를 가지고 결과를 낸 듯함. (국립 ▸산림청에서는 2006년부터 산사태 위험지도를 만들어서 산림 인터넷으로 공개하고 있음. 과학원) ▸산사태 대응은 통합적으로 해야 함. ▸재난은 천재요소도 있지만 인재요소도 있음. 인재요소를 ▸보고서에 언급한 강우강도는 필요없다고 생각하면 후진 사회임. 사실을 적시한 것 뿐이고 강 ▸산사태위험도를 퍼센트로 표시하여 100%에 가깝게 나타 우 강도와 관계없이 사전대 나면 천재로 인정해야 함. 강우, 토양 등의 조건들을 정 비가 필요하였다는 결론이므 량화하기 어려우므로 분명한 수치로 적시하는 것보다 범 로 이는 천재가 아니라는 결 위로 주는 것이 타당할 듯함. 만일 수치로 적시하려면 공 론과 동일함. 학적 판단이 명확하지 않지만 그렇게 했다는 한계점을 ▸공공기관인 산림청에서 우면 명확히 해주어야 함. 산 일부 지역이지만 주의보 경보가 발령됐는데 주민들한 박창근 테 전파가 잘 안되어서 피해 교수 를 키웠다고 판단하였음. 잘 (관동 되었으면 피해를 대폭 감소 대학교) 할 수 있었음. ▸위험도 분석에서 일정 범위 를 갖는 위험등급으로 구분 하였음. 또한 100%라 하더라 도 그 것이 천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만큼 사전 대비의 절대적 필요성을 강 조하는 의미를 가짐. ▸보고서에 모델의 한계나 신 뢰도를 언급하였음. 400
  • 80. 부록 전문가 자문의견 자문의견 반영 장기태 ▸보덕사 쪽에 본인의 키보다 3배 정도 큰 나무에 흙탕물 ▸보고서에서 다룬 내용임. 교수 이 붙어 있었음. 잡목 등 유목댐이 형성된 것으로 보임. (금오 지하수위 측정결과 상부사면에 조금만 비가와도 물이 빠 공과 지지 않는다는 조사결과와 일맥상통함. 대학교) ▸공군부대가 토석류 피해를 가중시킨 것은 아님. 공군부 ▸공군부대 영외 배출수와 관 대 배수체계는 1미터짜리 흙둑을 쌓는데 이는 무너지기 련하여 기본 생각은 공군부 전에는 물이 유출될 수 없음. 공군부대 내의 사면 2개가 대가 없으면 침투수가 증가 붕괴하여 집수정을 막았음. 그러나 그래서 차오른 물 깊 하는 대신 영외배출수가 감 이는 발목 정도였음. 소하고 공군부대가 있음으 ▸공군부대 사면관리의 문제는 없었음. 소방방재청에서 올 로해서(도로 포장 영향) 침 4월부터 서울지역 지반재해위험정밀지도를 만들었음. 토 투수는 다소 감소하고 배출 석률 발생 위험물골을 계산함. 래미안 아파트 방면, 신동 수는 증가하지만 그로 인한 오경두 아 아파트 방면 등 4개 붕괴지점은 모두 1등급으로 산출 하류부 피해의 차이는 미미 교수 됨. 2011년 7월에 한달 가까이 비가 왔음. 더 들어갈 공 함. 따라서 영외 배출수에 (육군 간이 없을 정도로 물을 머금고 있다가 10분 강우 기준 의한 토석류 피해 증가는 사관 17.5 미리 정도의 폭우에 산사태가 나서 토석류로 변함. 무시할만하다는 결론임. 학교) 군부대 주변의 사면은 잘 관리된다고 붕괴를 피할 수 있 ▸펜스하고 부대사이의 공간 는 것이 아니었음. 게다가 산사태 당시 가지고 있었던 에 사람이 왕래할 수 없어 자료는 산림청 산사태 위험등급 지도 밖에 없었음. 산사 서 사람이 사면을 훼손시킬 태 발생지역은 2, 3등급 지역으로 덜 위험한 것으로 나 수 없고 자연적으로 무너졌 와 있었음. 게다가 산림청 산사태 위험등급 지도는 위험 다고 하는 견해에 동감하지 지역이 98.5%이므로 덜 위험한 지역 위험한 지역 나누 만 강우에 의한 사면의 자 어서 대책을 세우기에는 부족했음. 연적 붕괴를 예방했어야 한 다는 것임. 따라서 결론에는 영향이 없음. ※ 이외에도 전문가 의견이 있었으나 조사단의 연구범위를 넘는 경우이기 때문에 그 내용 을 본보고서와는 별도로 서울시에 제출하였음. 그리고 시민, 유가족 및 피해주민의 의 견도 서울시에 제출하였다.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