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
신상희(shshin@gaia3d.com)
가이아쓰리디㈜
2021년 12월 23일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Source: https://www.pbctoday.co.uk/news/bim-news/digital-twin-4-0/64519/>
Digital Twin
A realistic digital representation of assets, processes or systems in the built
or natural environment. The complexity of that representation, and degree
of connectedness, varies depending on maturity.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3
<Source: https://www.youtube.com/watch?v=iVS-AuSjpOQ>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가트너의 2018, 2019년 주목해야 할 10대 기술
<Source: https://gartner.com/SmarterWithGartner> 4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정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
5
<Source: https://ko.wikipedia.org/wiki/디지털_트윈>
6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정의와 운용 개념
데이터
이벤트
시스템 분석
예측
제어/최적화
고장/예지진단
제공 서비스
디지털 트윈 운용 개념도
What-if 질문들
운용자
의사결정자
질문에 대한 답
필요 시 조치/자동화
디지털 트윈(DT)
(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 )
실 체계
(Physical Twin)
연
동
✓ 정의: 물리적 자산, 프로세스 및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 복제본[Wiki 사전]
→ 대상 물체의 구성 요소 및 동작 특성을 표현하는 살아있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모델
✓ 운용 개념: 모델(DT)의 수명주기가 실 체계와 연동되어 함께 살아 감
• 실 체계와 연동하여 학습/진화를 통하여 일관성 유지 및 동질성 유지
• 실 체계 Life cycle과 동기화 -> 설계 – 구현 – 검증 – 운용 유지보수
<Source : KAIST 김탁곤, 2019>
7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정의의 공통적 요소
가상 세계에
현실 세계
모사
가상 세계에서
분석, 최적화,
시뮬레이션
수행
가상 세계
실험 결과의
현실 세계
반영
1
2
3
8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연원
Concept: Digital Informational Construct
Vision: Create, Test, Build
➔ 통제된 환경(Controlled Environment)이 가능한 제조업에서 활용 시작
디지털 트윈 충실도(Fidelity) 모형
9
디지털 트윈
충실도
디지털 트윈 모델로 표현된 가상 객체가 원래의 물리적 객체와 얼마나
잘 부합하는가?
특성화 충실도
시각화 충실도
가상 객체가 얼마나 정교하게 물리적 객체의 행위 동작에
부합하는지가 기준
디지털 트윈이 물리적 객체와 얼마나 비슷하게 보이는지가
기준
<Source: 김용운 외. 2021. 디지털 트윈의 꿈(한글 요약). ETRI>
디지털 트윈 성숙도(Maturity Level) 모형
10
<Source: https://blog.lgcns.com/1864 >
성숙도 모형: 디지털 트윈의 실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이해하기 위한 평가 도구
기술 단계 정의 설명
5단계
자율 디지털 트윈
(Autonomous)
개별 및 복합 디지털 트윈에서 자율적으
로 문제점을 인지하고 해결하여 물리대
상 최적화
4단계
연합 디지털 트윈
(Federated)
최적화된 개별 물리대상들이 상호 연계
된 복합 디지털 트윈
재구성 및 물리대상 상호운영 최적화
3단계
모의 디지털 트윈
(Modelling &
Simulation)
디지털 트윈 모의결과를 적용한 물리대
상 최적화
2단계
관제 디지털 트윈
(Monitoring)
디지털 트윈 기반 물리대상 모니터링 및
관계분석을 통한 제어
1단계
모사 디지털 트윈
(Mirroring)
물리대상을 디지털 트윈으로 복제
<Source: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디지털 트윈의 기술적 정의와 세부적 발전 5단계(level) 모델>
디지털 트윈 성숙도(Maturity Level) 모형
11
Element Defining principle Outline usage
0 Reality capture As-built survey
1 2D map/system or 3D model
Design/asset optimization and
coordination
2
Static data, metadata and BIM
Stage 2
4D/5D simulation
3 Real-time data Operational efficiency
4
Two-way data integration and
interaction
Remote and immersive operations
5
Autonomous operations and
maintenance
Self-governance, oversight and
transparency
<Source: https://theiet.org/digital-twins>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 – 향후 7년 간 10배 성장 예상
12
<Source: Managing change and culture to enable the shift towards smart built environment, Jakub Wachocki>
<Source: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디지털 트윈의
도시관리로 확장
도시관리로 확장하는 디지털 트윈
14
Source: AIDAN FULLER et al, Digital Twin: Enabling Technologies, Challenges and Open Research
사이버물리시스템과 스마트시티
15
사이버물리시스템과 스마트시티
16
<Source: https://www.smartcitiesworld.net/special-reports/special-reports/the-rise-of-digital-twins-in-smart-cities>
17
도시관리로 확장하는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UK National Digital Twin Programme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Source: https://www.cdbb.cam.ac.uk/national-digital-twin-programme, and Jeremy Morley> 18
19
<Source: https://www.youtube.com/watch?v=ChCNcLY6tKA>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UK National Digital Twin Programme
영국 디지털 트윈 구축 원칙 – 쌍둥이 원칙(Gemini Principles)
<Source: The approach to delivering a National Digital Twin for the United Kingdom> 20
공익성
분명한 공공의 이익을
제공하는데 기여
가치 창출
실질적 가치창출 및
성과 개선
통찰력
의사결정에 기여하는
통찰력 제공
보안성
자체 보안 강화
개방성
최대한 많은 사용자에게
개방
품질
향상된 품질의 데이터
제공
연합
다양한 데이터, 시스템과
연결가능한 표준 준수
선별
명확한 소유권, 규제 및
거버넌스
진화
기술과 사회 발전에 따라
변형, 확장 가능
목적성
분명한 목적을
가져야 함
신뢰성
신뢰할 수 있어야
함
기능성
효과적으로
기능해야 함
스웨덴 디지털 트윈 시티 센터
<Source: https://dtcc.chalmers.se/>
21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도시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데이터
“GIS community has been experiencing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ways of collecting, processing, analyzing, and visualizing
spatiotemporal data, especially GIS data of large volume, high
speed, and huge varieties.”
<Source: https://gis.usc.edu/blog/predictions-for-the-gis-industry-opportunities-technologies-and-students/>
공간정보 분야 기술적 변화와 전망
23
<Source: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unlocking-the-power-of-locationthe-uks-geospatial-strategy>
공간정보 분야 기술적 변화와 전망
24
<Source: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unlocking-the-power-of-locationthe-uks-geospatial-strategy>
공간정보 분야 기술적 변화와 전망
25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준)실시간적 생산
26
<Source: 스마트 공간정보 기술개발 기획연구>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준)실시간적 갱신
27
<Source: https://newsroom.intel.com/articles/why-how-making-hd-maps-automated-vehicles/#gs.7zi2a4>
공간규모별 디지털 트윈 – CityGML
CityGML 5단계 세밀도(LoD: Level of Detail)
• LOD 0 – regional, landscape
• LOD 1 – city, region
• LOD 2 – city districts, projects
• LOD 3 – architectural models (outside), landmarks
• LOD 4 – architectural models (interior)
<Source: https://citygmlwiki.org/index.php/Basic_Information> 28
<Source: T. H. Kolbe – Semantic 3D City Models with CityGML for Urban Analytics> 29
공간규모별 디지털 트윈 – CityGML
30
공간규모별 디지털 트윈 – 세밀도(Level of Details)
31
디지털 트윈 3D 데이터 구축
32
디지털 트윈 3D 데이터 구축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지하공간정보
33
34
<고양 온수관 파열>
<KT 통신구 화재>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지하공간정보
35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지하공간정보
행복도시 ·
2기신도시(동탄) 3D정보시스템의 데이터구축·
관리
지하시설물 카테고리
·
동탄
36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실내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실내공간정보
37
<Source: https://www.ogc.org/pressroom/pressreleases/4415> <Source: https://register.apple.com/resources/imdf/>
디지털 트윈 데이터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8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acility.
디지털 트윈 데이터 - GeoBIM 개념의 등장
39
BIM/CAD GeoSpatial
GeoBIM
• 미시적
• 설계
• 적지 선정
• 자산 관리
• 공정 관리
• 안전 관리
• 에너지 관리
• 패러메트릭(Parametric) 모델
• 거시적
• 도시 계획
• 스마트시티
• 실내외 공간 모니터링
• 소방/방재
• 에너지 관리
• 비상 계획
• 서피스(Surface) 모델
디지털 트윈 데이터 - CAD/BIM/GIS의 이상적 통합 모습
GIS
CityGML
GeospatialInformation
GISStandards
IFC
BIM
OutdoorModel
IndoorModel
BIMStandards
Construction
DrawingsInfo.
In/Outdoor
GIModel
(GeospatialInformation
Model)
40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우주와 해양
41
42
다종다기한 디지털 트윈 데이터 활용 – 핀란드 헬싱키 사례
<Source: Helsinki 3D+>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 정의
44
<Source: 김형태,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116개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의 조사에 따른 스마트시티의 정의
도시에 IC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 모델 (도시 플랫폼)로 정의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18.01.29. 4차 산업혁명위원회, 관계부처 합동))
도시가 하나의 플랫폼이 된다는 것은 새로운 기능
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
미하며, 무한한 혁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정보화진흥원, 스마트시티 발전전망과 한국의 경쟁력, 2016.11 참고)
(ITU, ITU-T FG-SSC(2014), Smart Sustainable cities : An analysis of definitions)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약칭: 스마트도시법)
• 제2조 1항: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 제2조 2항: "스마트도시서비스"란
스마트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행정ㆍ교통ㆍ복지ㆍ환경ㆍ방재 등
도시의 주요 기능별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정보 또는 이를 서로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Source: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00214#0000/>
스마트시티 정의
45
스마트시티 구축
기대 효과
• 효율적인 서비스와 인프라 최적화
• 상황 인지와 대응성 향상
• 안전과 방재
• 스마트한 성장과 지속가능성
•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
• 시민 참여와 민주주의
스마트시티 기대 효과
46
스마트시티에 대한 비판적 시각
47
<Source: https://www.ordnancesurvey.co.uk/business-government/innovation/happens/articles-ehs/smart-cities-digital-technologies>
“Despite the futuristic images the term conjures, a “smart city”
is merely a well-managed city aided by digital technologies.
One of the primary challenges in achieving success for smart
cities, and the reason many initiatives have failed to make it
past the pilot stage, is that they have been driven by a focus
on implementing the technology rather than achieving the
end policy goal, such as improving access to education, or
better transport links.”
<Source: https://placesjournal.org/article/a-city-is-not-a-computer/?cn-reloaded=1>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48
TO-BE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Source: 2019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 부산) 디지털트윈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시범시스템 구축용역 제안요청서, LX공사> 49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50
<Source: https://news.v.daum.net/v/20200927103429370>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51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 LH 도시 디지털 트윈
52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 LH 도시 디지털 트윈
53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BIM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5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실내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6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연구단지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7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조선업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Yards
Cranes
Office Buildings
Factories
Docks
Blocks
Ships
Smart Welding Machine Virtual Yard on Web Browser!
1,500 EA
25 EA
250 EA
75 EA
25 EA
15,000 EA 1,700 EA
3 EA
58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자율주행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9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공사 전후 비교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0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지구 단위 시뮬레이션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1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물환경 시뮬레이션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2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바람장 시뮬레이션(제주도)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3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바람장 시뮬레이션(서울시 전역)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4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가를 넘어 지구로…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5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나오며…
디지털 트윈의 기대 효과
67
리스크 식별을 통한 가용성 증대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공정 효율화
지식 공유를 통한 다자간 의사결정
원격 교육 및 지원
실시간 모니터링과 사전 대응
1
2
3
4
5
6
디지털 트윈 – 기회와 위험 요소
68
기회 위험요소
• 건축 및 운영 비용 감소 • 사이버 보안 문제
• 보다 효율적인 각종 설계 • 과대 홍보와 과도한 기대
• 장단기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 시스템의 복잡도에 따라
증가하는 디지털 트윈 구
축과 관리 비용
• 각종 자산 상태에 대한 더
나은 이해
• 미흡한 표준화와 산업계
협력
•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
혹은 리허설을 해 봄으로
써 사전 위험 요소 파악 및
갈등 비용 저감
• 부족한 인력
• 협력 증진 • 공통 용어와 지식의 부재
<Source: IET, Digital twins for the built environment>
69
시사점
• 가지 않은 길을 가는 두려움과 흥분이 뒤섞여 있는 상태. 여러 분야에서 나름의 노력과 실패를 거듭하는 중
•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 시티가 만병통치약이 아님
• 기술적 관점에서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이 매우 중요 – 포맷이나 최소한 인터페이스 표준(레고
블록!)
• 데이터의 생애주기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활용 방안 모색 필요
• 디지털 트윈 구축은 긴 여정. 지치지 않고 각 단계별 성과물과 가치에 집중할 필요
•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의 협력과 소통이 중요
• 디지털 트윈의 진정한 가치는 다른 영역과 연동될 때 발휘됨 – 개별 산업 위주 관점에서 벗어나 국가적,
통합적 정책과 통찰 필요
• 그럼에도 산업현장과 사회는 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디지털 트윈 세상으로 급속히 이동 중
감사합니다.
33
신상희 shshin@gaia3d.com

More Related Content

PDF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과 사례(LX공사 특강)
PDF
디지털 트윈 기술과 활용 사례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PDF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PDF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PDF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PDF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PDF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PDF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과 사례(LX공사 특강)
디지털 트윈 기술과 활용 사례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What's hot (20)

PDF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PDF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미러링, 그 가능성과 한계
PDF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PDF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PDF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PDF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PDF
CAD/BIM/GIS 융복합 활용 방향과 디지털 트윈
PDF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그리고 오픈소스
PDF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PDF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PDF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5 우리나라의 수치지도
PDF
Smart City and Digital Twin
PDF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PDF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PDF
지리정보체계(GIS) - [1] GIS 데이터 유형, 구조 알기
PDF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6 GIS의 이해
PDF
야생동물(Brown bear) 행동권 · 서식지 분석하기
PDF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PDF
3D CNNによる人物行動認識の動向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현실 세계의 미러링, 그 가능성과 한계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환경영향평가에서 ICT/BIM/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CAD/BIM/GIS 융복합 활용 방향과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그리고 오픈소스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그리고 스마트 시티
게임엔진과 공간정보 3D 콘텐츠 융합 : Cesium for Unreal
mago3D 한국어 소개 자료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5 우리나라의 수치지도
Smart City and Digital Twin
[FOSS4G Korea 2021]Workshop-QGIS-TIPS-20211028
디지털트윈 기술 동향과 전망 - 국토연구원 월간국토 4월호 기고
지리정보체계(GIS) - [1] GIS 데이터 유형, 구조 알기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6 GIS의 이해
야생동물(Brown bear) 행동권 · 서식지 분석하기
State of OpenGXT: 오픈소스 공간분석엔진
3D CNNによる人物行動認識の動向
Ad

Similar to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20)

PDF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PDF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PDF
메타버스시대의_디지털트윈과_지역성v01.pdf
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
PDF
글로벌 금융허브 ‘더블린’, 최첨단 ‘Iot city’로 변신
PDF
스마트시티에서의 디지털사이니지의 역할과 유망서비스 탐색 _2020
PPT
Sensor web
PDF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PPTX
2016.07.21.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이해
PDF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PPTX
이미 와있는 미래와 소프트웨어씽킹
DOCX
월간 Im october 2015
PPTX
의료용 디지털트윈의 정의, 주요 동향(정책, 기술)과 바이오헬스 분야 응용.pptx
PDF
전남. 광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활성화 보고서_2019
PDF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PPTX
Digital twin
PDF
스마트 미디어로 주목 받아야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_ 2014
DOCX
월간 Im september 2015
PDF
Some Thoughts on Augmented City 2019
PDF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과 지역정보화
디지털트윈과 스마트시티(한국CDE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공간정보, 디지털트윈, 그리고 스마트시티
메타버스시대의_디지털트윈과_지역성v01.pdf
해양디지털트윈v02.pdf
글로벌 금융허브 ‘더블린’, 최첨단 ‘Iot city’로 변신
스마트시티에서의 디지털사이니지의 역할과 유망서비스 탐색 _2020
Sensor web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2016.07.21.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이해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이미 와있는 미래와 소프트웨어씽킹
월간 Im october 2015
의료용 디지털트윈의 정의, 주요 동향(정책, 기술)과 바이오헬스 분야 응용.pptx
전남. 광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활성화 보고서_2019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Digital twin
스마트 미디어로 주목 받아야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_ 2014
월간 Im september 2015
Some Thoughts on Augmented City 2019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과 지역정보화
Ad

More from SANGHEE SHIN (18)

PDF
Building Resilience with Digital Twins : Lessons from Korea
PDF
How to Visualize the ​Spatio-Temporal Data Using CesiumJS​
PDF
대한민국 대표 오픈소스, mago3DTiler의 현재와 미래 - 대한공간정보학회 2025년 신년학술대회 발표자료
PDF
State of mago3DTiler, an open source based OGC 3D Tiles creator
PDF
Dreams and Dilemmas: Lessons from Korea’s Urban Digital Twin
PDF
[벤틀리시스템즈코리아 사용자세미나]세슘(Cesium) 제품과 디지털트윈 구현 사례
PDF
디지털트윈 시공간 현상 정보 가시화 사례와 과제 - 한국지도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
PDF
Building a Digital Twin Service in 10 Minutes with FOSS4G! - 오픈소스로 10분만에 디지털트...
PDF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PDF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PDF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PDF
책 "제품의 탄생" 소개
PDF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PDF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PDF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PDF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PDF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PDF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Building Resilience with Digital Twins : Lessons from Korea
How to Visualize the ​Spatio-Temporal Data Using CesiumJS​
대한민국 대표 오픈소스, mago3DTiler의 현재와 미래 - 대한공간정보학회 2025년 신년학술대회 발표자료
State of mago3DTiler, an open source based OGC 3D Tiles creator
Dreams and Dilemmas: Lessons from Korea’s Urban Digital Twin
[벤틀리시스템즈코리아 사용자세미나]세슘(Cesium) 제품과 디지털트윈 구현 사례
디지털트윈 시공간 현상 정보 가시화 사례와 과제 - 한국지도학회 202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
Building a Digital Twin Service in 10 Minutes with FOSS4G! - 오픈소스로 10분만에 디지털트...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책 "제품의 탄생" 소개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 1.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 신상희([email protected]) 가이아쓰리디㈜ 2021년 12월 23일
  • 2.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Source: https://www.pbctoday.co.uk/news/bim-news/digital-twin-4-0/64519/> Digital Twin A realistic digital representation of assets, processes or systems in the built or natural environment. The complexity of that representation, and degree of connectedness, varies depending on maturity. 디지털 트윈
  • 3.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3 <Source: https://www.youtube.com/watch?v=iVS-AuSjpOQ>
  • 4.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가트너의 2018, 2019년 주목해야 할 10대 기술 <Source: https://gartner.com/SmarterWithGartner> 4
  • 5.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정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 5 <Source: https://ko.wikipedia.org/wiki/디지털_트윈>
  • 6. 6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정의와 운용 개념 데이터 이벤트 시스템 분석 예측 제어/최적화 고장/예지진단 제공 서비스 디지털 트윈 운용 개념도 What-if 질문들 운용자 의사결정자 질문에 대한 답 필요 시 조치/자동화 디지털 트윈(DT) (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 ) 실 체계 (Physical Twin) 연 동 ✓ 정의: 물리적 자산, 프로세스 및 시스템에 대한 디지털 복제본[Wiki 사전] → 대상 물체의 구성 요소 및 동작 특성을 표현하는 살아있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모델 ✓ 운용 개념: 모델(DT)의 수명주기가 실 체계와 연동되어 함께 살아 감 • 실 체계와 연동하여 학습/진화를 통하여 일관성 유지 및 동질성 유지 • 실 체계 Life cycle과 동기화 -> 설계 – 구현 – 검증 – 운용 유지보수 <Source : KAIST 김탁곤, 2019>
  • 7. 7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 정의의 공통적 요소 가상 세계에 현실 세계 모사 가상 세계에서 분석, 최적화, 시뮬레이션 수행 가상 세계 실험 결과의 현실 세계 반영 1 2 3
  • 8. 8 디지털 트윈(Digital Twins)의 연원 Concept: Digital Informational Construct Vision: Create, Test, Build ➔ 통제된 환경(Controlled Environment)이 가능한 제조업에서 활용 시작
  • 9. 디지털 트윈 충실도(Fidelity) 모형 9 디지털 트윈 충실도 디지털 트윈 모델로 표현된 가상 객체가 원래의 물리적 객체와 얼마나 잘 부합하는가? 특성화 충실도 시각화 충실도 가상 객체가 얼마나 정교하게 물리적 객체의 행위 동작에 부합하는지가 기준 디지털 트윈이 물리적 객체와 얼마나 비슷하게 보이는지가 기준 <Source: 김용운 외. 2021. 디지털 트윈의 꿈(한글 요약). ETRI>
  • 10. 디지털 트윈 성숙도(Maturity Level) 모형 10 <Source: https://blog.lgcns.com/1864 > 성숙도 모형: 디지털 트윈의 실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이해하기 위한 평가 도구 기술 단계 정의 설명 5단계 자율 디지털 트윈 (Autonomous) 개별 및 복합 디지털 트윈에서 자율적으 로 문제점을 인지하고 해결하여 물리대 상 최적화 4단계 연합 디지털 트윈 (Federated) 최적화된 개별 물리대상들이 상호 연계 된 복합 디지털 트윈 재구성 및 물리대상 상호운영 최적화 3단계 모의 디지털 트윈 (Modelling & Simulation) 디지털 트윈 모의결과를 적용한 물리대 상 최적화 2단계 관제 디지털 트윈 (Monitoring) 디지털 트윈 기반 물리대상 모니터링 및 관계분석을 통한 제어 1단계 모사 디지털 트윈 (Mirroring) 물리대상을 디지털 트윈으로 복제 <Source: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디지털 트윈의 기술적 정의와 세부적 발전 5단계(level) 모델>
  • 11. 디지털 트윈 성숙도(Maturity Level) 모형 11 Element Defining principle Outline usage 0 Reality capture As-built survey 1 2D map/system or 3D model Design/asset optimization and coordination 2 Static data, metadata and BIM Stage 2 4D/5D simulation 3 Real-time data Operational efficiency 4 Two-way data integration and interaction Remote and immersive operations 5 Autonomous operations and maintenance Self-governance, oversight and transparency <Source: https://theiet.org/digital-twins>
  • 12.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 – 향후 7년 간 10배 성장 예상 12 <Source: Managing change and culture to enable the shift towards smart built environment, Jakub Wachocki> <Source: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13.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디지털 트윈의 도시관리로 확장
  • 14. 도시관리로 확장하는 디지털 트윈 14 Source: AIDAN FULLER et al, Digital Twin: Enabling Technologies, Challenges and Open Research
  • 18.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UK National Digital Twin Programme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Source: https://www.cdbb.cam.ac.uk/national-digital-twin-programme, and Jeremy Morley> 18
  • 20. 영국 디지털 트윈 구축 원칙 – 쌍둥이 원칙(Gemini Principles) <Source: The approach to delivering a National Digital Twin for the United Kingdom> 20 공익성 분명한 공공의 이익을 제공하는데 기여 가치 창출 실질적 가치창출 및 성과 개선 통찰력 의사결정에 기여하는 통찰력 제공 보안성 자체 보안 강화 개방성 최대한 많은 사용자에게 개방 품질 향상된 품질의 데이터 제공 연합 다양한 데이터, 시스템과 연결가능한 표준 준수 선별 명확한 소유권, 규제 및 거버넌스 진화 기술과 사회 발전에 따라 변형, 확장 가능 목적성 분명한 목적을 가져야 함 신뢰성 신뢰할 수 있어야 함 기능성 효과적으로 기능해야 함
  • 21. 스웨덴 디지털 트윈 시티 센터 <Source: https://dtcc.chalmers.se/> 21
  • 22.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도시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데이터
  • 23. “GIS community has been experiencing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ways of collecting, processing, analyzing, and visualizing spatiotemporal data, especially GIS data of large volume, high speed, and huge varieties.” <Source: https://gis.usc.edu/blog/predictions-for-the-gis-industry-opportunities-technologies-and-students/> 공간정보 분야 기술적 변화와 전망 23
  • 26.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준)실시간적 생산 26 <Source: 스마트 공간정보 기술개발 기획연구>
  • 27.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준)실시간적 갱신 27 <Source: https://newsroom.intel.com/articles/why-how-making-hd-maps-automated-vehicles/#gs.7zi2a4>
  • 28. 공간규모별 디지털 트윈 – CityGML CityGML 5단계 세밀도(LoD: Level of Detail) • LOD 0 – regional, landscape • LOD 1 – city, region • LOD 2 – city districts, projects • LOD 3 – architectural models (outside), landmarks • LOD 4 – architectural models (interior) <Source: https://citygmlwiki.org/index.php/Basic_Information> 28
  • 29. <Source: T. H. Kolbe – Semantic 3D City Models with CityGML for Urban Analytics> 29 공간규모별 디지털 트윈 – CityGML
  • 30. 30 공간규모별 디지털 트윈 – 세밀도(Level of Details)
  • 31. 31 디지털 트윈 3D 데이터 구축
  • 32. 32 디지털 트윈 3D 데이터 구축
  • 33.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지하공간정보 33
  • 34. 34 <고양 온수관 파열> <KT 통신구 화재>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지하공간정보
  • 35. 35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지하공간정보 행복도시 · 2기신도시(동탄) 3D정보시스템의 데이터구축· 관리 지하시설물 카테고리 · 동탄
  • 36. 36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실내공간정보
  • 37.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실내공간정보 37 <Source: https://www.ogc.org/pressroom/pressreleases/4415> <Source: https://register.apple.com/resources/imdf/>
  • 38. 디지털 트윈 데이터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8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acility.
  • 39. 디지털 트윈 데이터 - GeoBIM 개념의 등장 39 BIM/CAD GeoSpatial GeoBIM • 미시적 • 설계 • 적지 선정 • 자산 관리 • 공정 관리 • 안전 관리 • 에너지 관리 • 패러메트릭(Parametric) 모델 • 거시적 • 도시 계획 • 스마트시티 • 실내외 공간 모니터링 • 소방/방재 • 에너지 관리 • 비상 계획 • 서피스(Surface) 모델
  • 40. 디지털 트윈 데이터 - CAD/BIM/GIS의 이상적 통합 모습 GIS CityGML GeospatialInformation GISStandards IFC BIM OutdoorModel IndoorModel BIMStandards Construction DrawingsInfo. In/Outdoor GIModel (GeospatialInformation Model) 40
  • 41. 디지털 트윈 데이터 - 우주와 해양 41
  • 42. 42 다종다기한 디지털 트윈 데이터 활용 – 핀란드 헬싱키 사례 <Source: Helsinki 3D+>
  • 43.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 44. 스마트시티 정의 44 <Source: 김형태,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기반의 환경영향평가> 116개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의 조사에 따른 스마트시티의 정의 도시에 IC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 모델 (도시 플랫폼)로 정의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18.01.29. 4차 산업혁명위원회, 관계부처 합동)) 도시가 하나의 플랫폼이 된다는 것은 새로운 기능 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 미하며, 무한한 혁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정보화진흥원, 스마트시티 발전전망과 한국의 경쟁력, 2016.11 참고) (ITU, ITU-T FG-SSC(2014), Smart Sustainable cities : An analysis of definitions)
  • 45.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약칭: 스마트도시법) • 제2조 1항: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 제2조 2항: "스마트도시서비스"란 스마트도시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행정ㆍ교통ㆍ복지ㆍ환경ㆍ방재 등 도시의 주요 기능별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정보 또는 이를 서로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Source: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00214#0000/> 스마트시티 정의 45
  • 46. 스마트시티 구축 기대 효과 • 효율적인 서비스와 인프라 최적화 • 상황 인지와 대응성 향상 • 안전과 방재 • 스마트한 성장과 지속가능성 •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 • 시민 참여와 민주주의 스마트시티 기대 효과 46
  • 47. 스마트시티에 대한 비판적 시각 47 <Source: https://www.ordnancesurvey.co.uk/business-government/innovation/happens/articles-ehs/smart-cities-digital-technologies> “Despite the futuristic images the term conjures, a “smart city” is merely a well-managed city aided by digital technologies. One of the primary challenges in achieving success for smart cities, and the reason many initiatives have failed to make it past the pilot stage, is that they have been driven by a focus on implementing the technology rather than achieving the end policy goal, such as improving access to education, or better transport links.” <Source: https://placesjournal.org/article/a-city-is-not-a-computer/?cn-reloaded=1>
  • 48.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48 TO-BE
  • 49.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Source: 2019년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세종, 부산) 디지털트윈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시범시스템 구축용역 제안요청서, LX공사> 49
  • 50.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50 <Source: https://news.v.daum.net/v/20200927103429370>
  • 51.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51
  • 52.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 LH 도시 디지털 트윈 52
  • 53.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 LH 도시 디지털 트윈 53
  • 54.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디지털 트윈 활용 사례
  • 55.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BIM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5
  • 56.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실내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6
  • 57.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연구단지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7
  • 58.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조선업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Yards Cranes Office Buildings Factories Docks Blocks Ships Smart Welding Machine Virtual Yard on Web Browser! 1,500 EA 25 EA 250 EA 75 EA 25 EA 15,000 EA 1,700 EA 3 EA 58
  • 59.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자율주행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59
  • 60.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공사 전후 비교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0
  • 61.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지구 단위 시뮬레이션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1
  • 62.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물환경 시뮬레이션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2
  • 63.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바람장 시뮬레이션(제주도)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3
  • 64.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바람장 시뮬레이션(서울시 전역)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4
  • 65. 공간규모별 디지털트윈 활용 사례 – 국가를 넘어 지구로… Building Locale Neighborhood City Region Nation… 65
  • 66. 디지털 트윈의 단계(Digital Twin Levels) 나오며…
  • 67. 디지털 트윈의 기대 효과 67 리스크 식별을 통한 가용성 증대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공정 효율화 지식 공유를 통한 다자간 의사결정 원격 교육 및 지원 실시간 모니터링과 사전 대응 1 2 3 4 5 6
  • 68. 디지털 트윈 – 기회와 위험 요소 68 기회 위험요소 • 건축 및 운영 비용 감소 • 사이버 보안 문제 • 보다 효율적인 각종 설계 • 과대 홍보와 과도한 기대 • 장단기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 시스템의 복잡도에 따라 증가하는 디지털 트윈 구 축과 관리 비용 • 각종 자산 상태에 대한 더 나은 이해 • 미흡한 표준화와 산업계 협력 •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 혹은 리허설을 해 봄으로 써 사전 위험 요소 파악 및 갈등 비용 저감 • 부족한 인력 • 협력 증진 • 공통 용어와 지식의 부재 <Source: IET, Digital twins for the built environment>
  • 69. 69 시사점 • 가지 않은 길을 가는 두려움과 흥분이 뒤섞여 있는 상태. 여러 분야에서 나름의 노력과 실패를 거듭하는 중 •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 시티가 만병통치약이 아님 • 기술적 관점에서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이 매우 중요 – 포맷이나 최소한 인터페이스 표준(레고 블록!) • 데이터의 생애주기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활용 방안 모색 필요 • 디지털 트윈 구축은 긴 여정. 지치지 않고 각 단계별 성과물과 가치에 집중할 필요 •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의 협력과 소통이 중요 • 디지털 트윈의 진정한 가치는 다른 영역과 연동될 때 발휘됨 – 개별 산업 위주 관점에서 벗어나 국가적, 통합적 정책과 통찰 필요 • 그럼에도 산업현장과 사회는 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디지털 트윈 세상으로 급속히 이동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