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와 LBS의 만남

2012. 3. 14




                   김영훈
                   동양미래대학 전산정보학부 겸임교수
목차

 미래사회의 모습
 DMB의 현실
 LBS를 이용한 서비스들
 DMB와 LBS의 만남
 미래의 DMB
                  1
미래 사회의 모습




            2
미래의 모습(MS)




                                                                     3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a6cNdhOKwi0
미래의 모습(Nokia)




                                                                     4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L3wdG-wYN3s
미래의 모습(Samsung)




                                                                     5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UMkYgr4EjMA
미래 사회 삽화




1870년대 미래 세상은 이와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린 삽화라고 합니다   6
DMB의 현실




          7
방송환경의 변화

 방송의 디지털화
    -> 고화질, 고음질, 데이터 방송
 방송과 통신 융합, 뉴미디어의 발달
    -> 전송수단 풍부, 방송의 희소성이 사라짐
 다매체, 다채널, 다기능화, 멀티미디어화
    -> 치열한 경쟁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다원화로 인해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 변화
    -> 퍼스널 미디어 혁명기(트위터, 페이스북)
 방송 시장 개방으로 국제적 무한 경쟁 시대 도래
    -> 방송의 공영성과 공익성에 대한 심각한 위기


                                       8
방송과 통신의 융합

  방송 및 통신의 융합 환경
   방송 및 통신의 Digital화
   이동통신의 폭발적 증가(LTE, Wibro)
     Everything on mobile(Smart Phone, Tablet)

   단말기의 multimedia화

  방송 및 통신의 융합이 끼치는 영향
   산업구조의 진화
     통신 방송 산업의 경계 모호

   서비스의 진화
     신규서비스의 출현
     DMB+LBS, Telematics, ITS, 관광정보

   단말기의 진화
     통방 융합 단말의 출현                                9
Positioning Map in the Multi-Platform Environment
                              진화        경쟁 또는 제휴
Mobility

                  DMB2.0           3G
High               MediaFLO
           DMB      DVB-H

                                                          Wireless
                                           WiBro

                         DBS

                                               WiFi
                                                           Fixed
       Analog       Cable               BcN/
Low
         TV          TV                 IP-TV
                                                      Interactivity
       Low                              High                    10
DMB의 성격




          11
LBS를 이용한 서비스들




                12
LBS의 성장세




 '11. 3. 31. 기준, 위치정보사업자는 81개,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는 302개   13
포스퀘어(Foursquare)




                   LBSNS



                       14
포스퀘어(Foursquare)
            매슬로우 욕구 5단계




                          15
Check In 서비스들




                16
위치기반 서비스(LBS),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


Groupon + Foursquare = “It” Startup GroupTabs




                                                17
LBS + 맛집 정보
• 가장 많은 활용 서비스




                 18
LBS + 부동산 정보




               19
LBS + 부동산 정보




                              20
http://youtu.be/BgIk4D-h8PQ
LBS + 교통 정보




              21
LBS + 관광지




            22
개인 정보에 수집에 대한 불안감




                    23
그래도 LBS 앱 사용




               24
개인 정보의 우선 순위 이동




                  25
위치 정보의 의미 변화




               26
DMB와 LBS의 만남




               27
Global Trends




                28
Global Trends




                29
DMB와 LBS의 만남  MoLoCo




                        30
DMB+LBS의 방향


 SoLoMo  MoLoCo
 AnyTime 성이 떨어짐
  이동 통신과 연계하여 원하는 방송을
     즉시 녹화하여 집에서 볼 수 있게 함




                            31
DMB+LBS의 방향


 디지털 콘텐츠의 시대는 지금부터가 시작


 지역성을 적극 활용


 전통적인 TV는 결국 온라인/모바일로 진화




                            32
DMB+LBS의 방향


 새로운 세계의 주인은 소비자들이며, 전자 기기가 아님


 성공의 열쇠는 Rich user experience


 제공되는 경험의 질(quality of the experience)이 관건




                                          33
DMB+LBS의 방향

 새로운 기술은 더 많은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


 상호 작용성이 핵심적인 특징


 단절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개인화된 경험 제공이
 대세(personalized experiences in the seamless
 network environment)



                                               34
방송+자동차의 융합 서비스 시대

  융합 서비스
   지능형 교통 안내
     네비게이션 : TPEG을 이용한 교통 정보




                                35
지능형 자동차의 기술 분류




                 36
지능형 자동차의 정보 및 편의성




                    37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IT 융합 기술




                       38
지능형 자동차의 AVS(Advanced Vehicle System)




                                        39
DMB+재난상황정보 원클릭시스템 개념도




                           40
자료 : 소방방재청
재난방송 DMB 서비스 개념도

소방방재청 : 2013년 1월 1일 국내 출시 휴대폰 재난문자방송 수신 기능 의무 탑재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


                                                   41
미래의 DMB




          42
미래-DMB

• 매체적 속성
  – 개인 시청형(사(私)미디어)
  – 이동형(시청 공간의 자유로움)  시간의 절약


• 개인화의 피해
  – 자기가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만 찾음
  – 누구나 보고 듣고 알아야 하는 정보 채널 필요
    예) 재난 정보, 공익 정보




                                43
DMB의 성격 및 파급 효과

DMB 미래 역할  자아의 “자기 표현적” 욕구까지 충족

 인간들의 생각, 감성을 표현
  외부 세계와 소통 수단
  자아체계와 분리 불가능한 자아의 일부

 인간의 가장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고 언제 어디에서나 자
  신과 함께 할 자신의 분신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단순한 기술의 ‘도구성’을 넘
  어서는 일종의 ‘인격성’을 보유하게 된다.



                                   44
유비쿼터스 미디어

• 7가지 특성
 –   편재성(Ubiquity)
 –   접근성(Reachability)
 –   보안(Security)
 –   편의(Convenience)
 –   위치확인(Localization)
 –   시연결성(Instant Connectivity)
 –   개인화(Personalization)


• 3가지 환경
 – Communication(H2M, M2M)
 – Computing
 – Context Aware

                                  45
TV 방송의 발전 단계




               46
이런 방송과 결합 서비스는?

  데스레이스(유료화)
    교도소에서 이루어지는 자동차 경주 장면을 방송으로 전송하
     면서 이익을 챙김


  아프리카(개인화)
    영상과 음성 분리


  방송 컨텐츠 결합 판매(지도+드라마)
    촬영 장소 여행(http://bit.ly/xDkg7M)
    맛집 소개


                                       47
삽화




     48
삽화




     49
삽화




     50
삽화




     51
52
이통사의 LBS




           53
이통사의 LBS




           54
LG U+의 사례




            55
LG U+ Zone 의 사례

U+ Zone 광고 (http://youtu.be/_O5kixJxPUY)




                                           56
DGPS 서비스 방향?

  자신의 위치는 넓게
  상대방(원하는 대상) 위치는 정확하게
  실내 위치에 더 많은 활용을 찾음
  ITS(Intelligence Transportation System) 이용
    차량항법시스템, 차량관제시스템, 대중교통정보시스템, 물류
      관리(화물 및 화물차량관리 등)시스템
    위험물차량관리시스템, 종합여행안내, 최적경로안내

  교통혼잡 완화로 인한 물류 비용 감소




                                                57
통신사와의 결합서비스

  영상콘텐츠 ?
    이통사는 좋은 콘텐츠가 없음/협업 반드시 필요
    녹화/예약 기능을 통한 클라우드/N-Screen과 결합

  DGPS(보정정보 및 고정밀) 등 여러가공/수집데이터를
  통신사에 제공하여 동시에 서비스?
   이통사도 기지국 정보 활용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해서는 전파특성이 좋은 주파
    수 활용




                                      58
Convergence Media


Personalization                                                  Registrational
                                                                     Home
    Me TV                                                           Banking
 Cyber Wallet                                                       Home
                                                                   Shopping
    ID Card        Mobility                      Interactivity
                                      New                        Conversational
 Mobile Phone
                                   Convergence                       E-mail
 Hand-held PC
                                     Network                           IM

     LBS
                                                                   i-Content
   Context-
  Awareness                         Broadband                        Game

  Conferencin                                                         Quiz
       g
    Target
   Marketing      Transmissional       VOD       Value-added

                     Digital TV        Movie        EPG

                    Datacasting        Music        PVR


                                                                               59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황인지




                  60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61

More Related Content

PDF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PDF
스마트공공서비스 상호호환규격수립
PDF
증강현실을 이용한 방송서비스 미래 전개방향
PDF
Enterprise mobility 소개
PDF
공공서비스을 위한 N-스크린 상호연동규격
PDF
9 알앤디지식포럼 dtv-방송_20121205
PPTX
구조설명
PPTX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과 구현 사례(위치정보가 융합된 스마트폰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서비스)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스마트공공서비스 상호호환규격수립
증강현실을 이용한 방송서비스 미래 전개방향
Enterprise mobility 소개
공공서비스을 위한 N-스크린 상호연동규격
9 알앤디지식포럼 dtv-방송_20121205
구조설명
증강현실 기술의 동향과 구현 사례(위치정보가 융합된 스마트폰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서비스)

What's hot (11)

PDF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PDF
코자자 국민숙박공유플랫폼 크라드펀딩_ktb증권_사업계획서
PPTX
Interactive tv fri123 7
PDF
Virtual World & Future culture_4_가상과 현실간의 상호대화
PPTX
LBS마켓현황 20100811
PDF
Mobile Web 2.0 & MobileOK
PDF
1.모바일비즈니스동향 및 트렌드 marketcast 20101201_김형택
PDF
스마트워크
PDF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PDF
대한민국숙박공유#1코자자
PDF
가상세계와클론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코자자 국민숙박공유플랫폼 크라드펀딩_ktb증권_사업계획서
Interactive tv fri123 7
Virtual World & Future culture_4_가상과 현실간의 상호대화
LBS마켓현황 20100811
Mobile Web 2.0 & MobileOK
1.모바일비즈니스동향 및 트렌드 marketcast 20101201_김형택
스마트워크
2.모바일 비즈니스 핵심 키워드 marketcast 20101203_김형택
대한민국숙박공유#1코자자
가상세계와클론
Ad

Viewers also liked (6)

PPTX
신세계 마케팅전략 (No.2)airbnb 제출용
PDF
IoT 혁신 패러다임 속 개인과 조직의 자세
PDF
Provice Trend
PDF
Airbnb란 무엇인가
PPTX
Shareslide.net powerpoint
PPTX
Shareslide presentation
신세계 마케팅전략 (No.2)airbnb 제출용
IoT 혁신 패러다임 속 개인과 조직의 자세
Provice Trend
Airbnb란 무엇인가
Shareslide.net powerpoint
Shareslide presentation
Ad

Similar to Dmb와lbs 김영훈 120314_v1.0 (20)

PDF
SK플래닛 M&C부문 D-spark #1
PDF
SK플래닛 M&C부문 D-spark #1 Intro & New Digital
PDF
Mobile Service Yesterday, Today & Tomorrow
PDF
모바일 콘텐츠의 이해
PPTX
mobile business's successful paradigm
PPTX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패러다임
PDF
SMART MEDIA reference book _ MnM Networks
PDF
스마트TV 시장 동향 및 전망
PDF
서울 버스 디지털 노선도 기획에서 UI, UX, UT
PPTX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의 8가지 패러다임
PDF
4 g시대의모바일서비스 k모바일
PDF
다이렉트 본딩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조사_2016 Bonding digital signage biz research
PDF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PDF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m networks vol1
PDF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사이니지 _ 2014
PDF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PDF
애플I phone시연 20070913
PDF
Beyond screen, New experience
PDF
CIO Summit 2012 (Korean)
PDF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SK플래닛 M&C부문 D-spark #1
SK플래닛 M&C부문 D-spark #1 Intro & New Digital
Mobile Service Yesterday, Today & Tomorrow
모바일 콘텐츠의 이해
mobile business's successful paradigm
성공하는모바일비즈니스패러다임
SMART MEDIA reference book _ MnM Networks
스마트TV 시장 동향 및 전망
서울 버스 디지털 노선도 기획에서 UI, UX, UT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의 8가지 패러다임
4 g시대의모바일서비스 k모바일
다이렉트 본딩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조사_2016 Bonding digital signage biz research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m networks vol1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사이니지 _ 2014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애플I phone시연 20070913
Beyond screen, New experience
CIO Summit 2012 (Korean)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Dmb와lbs 김영훈 120314_v1.0

  • 1. DMB와 LBS의 만남 2012. 3. 14 김영훈 동양미래대학 전산정보학부 겸임교수
  • 2. 목차  미래사회의 모습  DMB의 현실  LBS를 이용한 서비스들  DMB와 LBS의 만남  미래의 DMB 1
  • 4. 미래의 모습(MS) 3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a6cNdhOKwi0
  • 5. 미래의 모습(Nokia) 4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L3wdG-wYN3s
  • 6. 미래의 모습(Samsung) 5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UMkYgr4EjMA
  • 7. 미래 사회 삽화 1870년대 미래 세상은 이와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린 삽화라고 합니다 6
  • 9. 방송환경의 변화  방송의 디지털화 -> 고화질, 고음질, 데이터 방송  방송과 통신 융합, 뉴미디어의 발달 -> 전송수단 풍부, 방송의 희소성이 사라짐  다매체, 다채널, 다기능화, 멀티미디어화 -> 치열한 경쟁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다원화로 인해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 변화 -> 퍼스널 미디어 혁명기(트위터, 페이스북)  방송 시장 개방으로 국제적 무한 경쟁 시대 도래 -> 방송의 공영성과 공익성에 대한 심각한 위기 8
  • 10. 방송과 통신의 융합  방송 및 통신의 융합 환경  방송 및 통신의 Digital화  이동통신의 폭발적 증가(LTE, Wibro)  Everything on mobile(Smart Phone, Tablet)  단말기의 multimedia화  방송 및 통신의 융합이 끼치는 영향  산업구조의 진화  통신 방송 산업의 경계 모호  서비스의 진화  신규서비스의 출현  DMB+LBS, Telematics, ITS, 관광정보  단말기의 진화  통방 융합 단말의 출현 9
  • 11. Positioning Map in the Multi-Platform Environment 진화 경쟁 또는 제휴 Mobility DMB2.0 3G High MediaFLO DMB DVB-H Wireless WiBro DBS WiFi Fixed Analog Cable BcN/ Low TV TV IP-TV Interactivity Low High 10
  • 14. LBS의 성장세 '11. 3. 31. 기준, 위치정보사업자는 81개,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는 302개 13
  • 16. 포스퀘어(Foursquare) 매슬로우 욕구 5단계 15
  • 18. 위치기반 서비스(LBS),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 Groupon + Foursquare = “It” Startup GroupTabs 17
  • 19. LBS + 맛집 정보 • 가장 많은 활용 서비스 18
  • 20. LBS + 부동산 정보 19
  • 21. LBS + 부동산 정보 20 http://youtu.be/BgIk4D-h8PQ
  • 22. LBS + 교통 정보 21
  • 24. 개인 정보에 수집에 대한 불안감 23
  • 25. 그래도 LBS 앱 사용 24
  • 26. 개인 정보의 우선 순위 이동 25
  • 31. DMB와 LBS의 만남  MoLoCo 30
  • 32. DMB+LBS의 방향  SoLoMo  MoLoCo  AnyTime 성이 떨어짐  이동 통신과 연계하여 원하는 방송을 즉시 녹화하여 집에서 볼 수 있게 함 31
  • 33. DMB+LBS의 방향  디지털 콘텐츠의 시대는 지금부터가 시작  지역성을 적극 활용  전통적인 TV는 결국 온라인/모바일로 진화 32
  • 34. DMB+LBS의 방향  새로운 세계의 주인은 소비자들이며, 전자 기기가 아님  성공의 열쇠는 Rich user experience  제공되는 경험의 질(quality of the experience)이 관건 33
  • 35. DMB+LBS의 방향  새로운 기술은 더 많은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  상호 작용성이 핵심적인 특징  단절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개인화된 경험 제공이 대세(personalized experiences in the seamless network environment) 34
  • 36. 방송+자동차의 융합 서비스 시대  융합 서비스  지능형 교통 안내  네비게이션 : TPEG을 이용한 교통 정보 35
  • 38. 지능형 자동차의 정보 및 편의성 37
  • 39.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IT 융합 기술 38
  • 42. 재난방송 DMB 서비스 개념도 소방방재청 : 2013년 1월 1일 국내 출시 휴대폰 재난문자방송 수신 기능 의무 탑재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 41
  • 44. 미래-DMB • 매체적 속성 – 개인 시청형(사(私)미디어) – 이동형(시청 공간의 자유로움)  시간의 절약 • 개인화의 피해 – 자기가 보고 싶고 듣고 싶은 것만 찾음 – 누구나 보고 듣고 알아야 하는 정보 채널 필요 예) 재난 정보, 공익 정보 43
  • 45. DMB의 성격 및 파급 효과 DMB 미래 역할  자아의 “자기 표현적” 욕구까지 충족  인간들의 생각, 감성을 표현 외부 세계와 소통 수단 자아체계와 분리 불가능한 자아의 일부  인간의 가장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고 언제 어디에서나 자 신과 함께 할 자신의 분신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단순한 기술의 ‘도구성’을 넘 어서는 일종의 ‘인격성’을 보유하게 된다. 44
  • 46. 유비쿼터스 미디어 • 7가지 특성 – 편재성(Ubiquity) – 접근성(Reachability) – 보안(Security) – 편의(Convenience) – 위치확인(Localization) – 시연결성(Instant Connectivity) – 개인화(Personalization) • 3가지 환경 – Communication(H2M, M2M) – Computing – Context Aware 45
  • 47. TV 방송의 발전 단계 46
  • 48. 이런 방송과 결합 서비스는?  데스레이스(유료화)  교도소에서 이루어지는 자동차 경주 장면을 방송으로 전송하 면서 이익을 챙김  아프리카(개인화)  영상과 음성 분리  방송 컨텐츠 결합 판매(지도+드라마)  촬영 장소 여행(http://bit.ly/xDkg7M)  맛집 소개 47
  • 49. 삽화 48
  • 50. 삽화 49
  • 51. 삽화 50
  • 52. 삽화 51
  • 53. 52
  • 57. LG U+ Zone 의 사례 U+ Zone 광고 (http://youtu.be/_O5kixJxPUY) 56
  • 58. DGPS 서비스 방향?  자신의 위치는 넓게  상대방(원하는 대상) 위치는 정확하게  실내 위치에 더 많은 활용을 찾음  ITS(Intelligence Transportation System) 이용  차량항법시스템, 차량관제시스템, 대중교통정보시스템, 물류 관리(화물 및 화물차량관리 등)시스템  위험물차량관리시스템, 종합여행안내, 최적경로안내  교통혼잡 완화로 인한 물류 비용 감소 57
  • 59. 통신사와의 결합서비스  영상콘텐츠 ?  이통사는 좋은 콘텐츠가 없음/협업 반드시 필요  녹화/예약 기능을 통한 클라우드/N-Screen과 결합  DGPS(보정정보 및 고정밀) 등 여러가공/수집데이터를 통신사에 제공하여 동시에 서비스? 이통사도 기지국 정보 활용 실내 위치 측정을 위해서는 전파특성이 좋은 주파 수 활용 58
  • 60. Convergence Media Personalization Registrational Home Me TV Banking Cyber Wallet Home Shopping ID Card Mobility Interactivity New Conversational Mobile Phone Convergence E-mail Hand-held PC Network IM LBS i-Content Context- Awareness Broadband Game Conferencin Quiz g Target Marketing Transmissional VOD Value-added Digital TV Movie EPG Datacasting Music PVR 59
  • 61.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황인지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