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Etri Retrospect
01서론
02공부한 것
03결과물
04결론
CONTENTS
왜 회고하는가?
지원동기
Overview
MPTCP
MMMP GUI
OpenStack
MPTCP
MMMP GUI
OpenStack
느낀 점
내가 얻은 것
01
서론
사람은 언제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기 마련입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이런 실수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늘 상기시키며 고쳐 나가려 합니다.
나쁜 버릇도 고칠 수 있고 고쳐 나갈 것입니다.
이번 ETRI에서는 많은 것을 배웠고 많은 피드백을 받았으며, 실패한 경험을 잊지 않기 위해 회고록을 적었습
니다.
서론01.
왜 회고하는가?
왜 회고 하는 가?
대학원 진학에 관한 조언
-> 대학원 진학과 취업 사이에서 계속해서 긴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주변에 조언을 구할 곳이 많지 않아서 많
은 조언을 바로 옆에서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지원
네트워크 지식 습득
->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 조금 더 많이 배우고 싶어서 초연결통신연구소에 지원
연구소 경험 습득
-> 2년간 학부생 연구원으로서 연구소 경험을 겪었지만 학부생 연구원 말고 실제 연구원의 생활이 어떨지 알
고 싶어서 지원
서론01.
지원동기
02
공부한 것
Overview
공부한것02.
적응 + MPTCP
(임진혁 연구원님)
MMMP GUI
(정부금 책임님)
OpenStack
(안철현 부장님)
4주 3주 2주
네트워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MPTCP
공부한것02.
MPTCP 프로토콜 개념 공부
-> MPTCP라는 프로토콜의 존재조차 몰랐었는데, 잘 정리해 놓은 기술 문서 덕분에 단 기간에 빠르게 MPTCP
프로토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실습할 수 있었습니다.
깡통 PC 부터 MPTCP 커널 올려 보기
-> 깡통PC부터 Ubuntu 운영체제를 올려보고 처음으로 커널 컴파일을 통해 MPTCP 프로토콜이 추가된 커널
을 올려보았습니다.
네트워크 망 분리하여 테스트 환경 구성
-> 개념적으로도 정말 다양한 네트워크 지식을 배웠고, 그동안 항상 이런 환경을 구성할 때 불편하다고 느꼈던
테스트 환경 구성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 배웠습니다.
MMMPGUI
공부한것02.
Multi Path vs Single Path
-> Multi Path의 장점중인 하나인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에 대해 GUI를 구성해보았습니다.
IPSec
-> IPSec을 GUI로 잘 보여주기 위해 파일을 가져오는 패킷을 가져와 한글로 인코딩 한 뒤 화면에 보여주었습
니다. IPSec으로 감싸져 있는 패킷의 경우 암호화 된 데이터를 보여주었습니다.
GRE Tunnel
-> 차등 서비스를 보여주기 위해 메인 인터페이스를 2가지 터널로 나누고, 그중 터널 하나의 대역폭을 조절 함
으로서 스트리밍하였습니다.
낮은 대역폭에서 스트리밍하였을 경우 영상이 끊기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충분한 대역폭에서 스트리밍하였
을 경우 영상이 원활히 재생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OpenStack
공부한것02.
클라우드 컴퓨팅
-> 그동안 꼭 공부하고 싶었던 분야 중 하나인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이번 OpenStack을 설치하기 전에 전
체적인 개념을 익히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였습니다.
IaaS, PaaS, SaaS
->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공부하면서, 여러 클라우드 컴퓨팅의 모델인 IaaS, PaaS, SaaS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하였습니다.
OpenStack
-> 마찬가지로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고, 남은 시간동안 가상 머신 2개에 OpenStack을 올려보는 것이 목표입
니다.
03
결과물
결과물03.
MPTCP
결과물03.
MMMPGUI
129.254.197.48 129.254.197.122
1. file1,2,3,4 (root)
2. mptcp on
3. ipsec start
4. gre setting
(1) gre.sh
(2) normal set
(3) differ set
tomcat ffserver
1. user 로그인
2. gre setting
모든 것 다 의존성 제거
https://github.com/wnsgml972/D
ashboard-Thema/tree/etri
Github에 모든 정보를 기록
아주 쉽게 git clone만 하면 바로 테스트
환경 구성 가능
web Page
129.254.197.48:8080/
dashboard/WebContent/
192.168.10.1
192.168.20.1
192.168.30.1
192.168.40.1
192.168.10.2
192.168.20.2
192.168.30.2
192.168.40.2
사용자
Webm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N 스크린을 지원하며 어떤 브라우저 상에서도 스트리밍 영상을 볼 수 있
습니다. (mp4 태그 사용)
129.254.197.48:12390/test1.webm
외부에서 톰캣에 올린 웹 페이지
에 접속하기만 하면 사용 가능
PC1 PC2
Stream
결과물03.
MMMPGUI
Multi Path vs Single Path (Single Path)
결과물03.
MMMPGUI
Multi Path vs Single Path (Multi Path)
결과물03.
MMMPGUI
IPSec ( TCP vs ESP )
결과물03.
MMMPGUI
Gre Tunnel
결과물03.
OpenStack
개념에 대한 정리
-> 그냥 설치만 하게 되면 추후에 남는 지식이 많이 생기지 않을 것 같아 다양한 블로그와 안철현 부장님의 조
언을 통해 글로 적어보았습니다.
글로 적기만 하고 끝난 것이 아니라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에 올려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
다.
https://wnsgml972.github.io/network/network_cloud-computing.html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은 꼭 OpenStack을 이용해 클라우드 환경을 두개의 가상 머신에 구성하는 것이 목표입
니다.
04
결론
결론04.
느낀점
이번 ETRI 하계 인턴을 지원하여 운이 좋게 여름방학 동안 인턴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턴 기간동안 얻은
중요한 점이 정말 많았고,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많은 경험을 하게 해준 이번 인턴
기간은 정말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MMMP GUI 프로젝트의 시작을 조금 더 빨리 시작했더라면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었을
것 같아 너무 아쉬웠습니다.
전공 지식뿐만 아니라 대전의 많은 맛 집들을 데려가 주시고, 대학원이나 학업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주 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결론04.
내가얻은것
1. 네트워크 전반 적인 지식.
- MPTCP
- Cloud Computing
- 테스트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 구성
2. 기술 문서 작성 법.
3. 재사용 가능한 코드로 만들기.
4. 열심히 하려는 마음가짐.
5. 다양하게 배운 지식에 대한 글
Q & A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PPTX
임베디드 수정 + 설계
홍주 양
 
PPTX
임베디드 수정
홍주 양
 
PDF
Go로 push agent 개선하기
동철 박
 
PDF
임베디드 수정
홍주 양
 
PPTX
Java와 go 간의 병렬 프로그램 성능 비교
Daniel Lim
 
PPT
Multithread & shared_ptr
내훈 정
 
PDF
2015 hi first 스터디 최종보고서
Seongho Park
 
PDF
SNU UX Lab Meeting - Panopticon as an eLearning Support Search Tool (141031)
Hyun-Soo Ji
 
임베디드 수정 + 설계
홍주 양
 
임베디드 수정
홍주 양
 
Go로 push agent 개선하기
동철 박
 
임베디드 수정
홍주 양
 
Java와 go 간의 병렬 프로그램 성능 비교
Daniel Lim
 
Multithread & shared_ptr
내훈 정
 
2015 hi first 스터디 최종보고서
Seongho Park
 
SNU UX Lab Meeting - Panopticon as an eLearning Support Search Tool (141031)
Hyun-Soo Ji
 

Similar to Etri Retrospect (20)

PPTX
Chapter 11 Practical Methodology
KyeongUkJang
 
PPTX
2021 분산컴퓨팅 최종 프로젝트
ssuser4d897d
 
PDF
Kit-Works Team Study_20240517_장현정_Claude에서MCP사용해보기.pdf
Wonjun Hwang
 
PDF
16 학술제 마무리 자료
Junyoung Jung
 
PDF
짝 테스트(Pair Testing) 소개와 사례
SangIn Choung
 
PDF
애자일과 애자일 테스트 소개 (테스트기본교육 3장 2절)
SangIn Choung
 
PPTX
유니티3D 그리고 웹통신
현욱 김
 
PDF
2015.08.01 회사원쪼꼬두유
은아 정
 
PPTX
Battlemesh(part.3)
Kyunghee Univ
 
PDF
Airtest Mobile Game Automation
Jiwon Lee
 
PPTX
Machine translation survey vol2
gohyunwoong
 
PDF
[Td 2015]개발하기 바쁜데 푸시서버와 메시지큐는 있는거 쓸래요(김영재)
Sang Don Kim
 
PPTX
머신러닝 + 주식 삽질기
HoChul Shin
 
PPTX
산학 제출 PPT
21HG020
 
PPTX
김성훈 - 뛰어난 디버거가 되는 방법
성훈 김
 
PDF
[1D5]모바일 p2p 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NAVER D2
 
PDF
[231]나는서버를썰터이니너는개발만하여라 양지욱
NAVER D2
 
PDF
딥러닝 세계에 입문하기 위반 분투
Ubuntu Korea Community
 
PPTX
[테크데이즈2015] 개발하기 바쁜데 푸시와 메시지큐는 있는거 쓸래요
Youngjae Kim
 
PDF
스마트폰 위의 딥러닝
NAVER Engineering
 
Chapter 11 Practical Methodology
KyeongUkJang
 
2021 분산컴퓨팅 최종 프로젝트
ssuser4d897d
 
Kit-Works Team Study_20240517_장현정_Claude에서MCP사용해보기.pdf
Wonjun Hwang
 
16 학술제 마무리 자료
Junyoung Jung
 
짝 테스트(Pair Testing) 소개와 사례
SangIn Choung
 
애자일과 애자일 테스트 소개 (테스트기본교육 3장 2절)
SangIn Choung
 
유니티3D 그리고 웹통신
현욱 김
 
2015.08.01 회사원쪼꼬두유
은아 정
 
Battlemesh(part.3)
Kyunghee Univ
 
Airtest Mobile Game Automation
Jiwon Lee
 
Machine translation survey vol2
gohyunwoong
 
[Td 2015]개발하기 바쁜데 푸시서버와 메시지큐는 있는거 쓸래요(김영재)
Sang Don Kim
 
머신러닝 + 주식 삽질기
HoChul Shin
 
산학 제출 PPT
21HG020
 
김성훈 - 뛰어난 디버거가 되는 방법
성훈 김
 
[1D5]모바일 p2p 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NAVER D2
 
[231]나는서버를썰터이니너는개발만하여라 양지욱
NAVER D2
 
딥러닝 세계에 입문하기 위반 분투
Ubuntu Korea Community
 
[테크데이즈2015] 개발하기 바쁜데 푸시와 메시지큐는 있는거 쓸래요
Youngjae Kim
 
스마트폰 위의 딥러닝
NAVER Engineering
 
Ad

More from JUNHEEKIM27 (7)

PDF
Errc
JUNHEEKIM27
 
PDF
Oasis
JUNHEEKIM27
 
PDF
전략적 사고 : 2W1H
JUNHEEKIM27
 
PDF
ifcpp build guide
JUNHEEKIM27
 
PDF
2018 Namyangju IoT Hackathon
JUNHEEKIM27
 
PDF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JUNHEEKIM27
 
PDF
Linux ut-broker-install
JUNHEEKIM27
 
전략적 사고 : 2W1H
JUNHEEKIM27
 
ifcpp build guide
JUNHEEKIM27
 
2018 Namyangju IoT Hackathon
JUNHEEKIM27
 
2018 tech trends_and_present_report
JUNHEEKIM27
 
Linux ut-broker-install
JUNHEEKIM27
 
Ad

Etri Retrospect

  • 4. 사람은 언제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기 마련입니다. 저 또한 그렇습니다. 이런 실수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늘 상기시키며 고쳐 나가려 합니다. 나쁜 버릇도 고칠 수 있고 고쳐 나갈 것입니다. 이번 ETRI에서는 많은 것을 배웠고 많은 피드백을 받았으며, 실패한 경험을 잊지 않기 위해 회고록을 적었습 니다. 서론01. 왜 회고하는가? 왜 회고 하는 가?
  • 5. 대학원 진학에 관한 조언 -> 대학원 진학과 취업 사이에서 계속해서 긴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주변에 조언을 구할 곳이 많지 않아서 많 은 조언을 바로 옆에서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지원 네트워크 지식 습득 ->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 조금 더 많이 배우고 싶어서 초연결통신연구소에 지원 연구소 경험 습득 -> 2년간 학부생 연구원으로서 연구소 경험을 겪었지만 학부생 연구원 말고 실제 연구원의 생활이 어떨지 알 고 싶어서 지원 서론01. 지원동기
  • 7. Overview 공부한것02. 적응 + MPTCP (임진혁 연구원님) MMMP GUI (정부금 책임님) OpenStack (안철현 부장님) 4주 3주 2주 네트워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
  • 8. MPTCP 공부한것02. MPTCP 프로토콜 개념 공부 -> MPTCP라는 프로토콜의 존재조차 몰랐었는데, 잘 정리해 놓은 기술 문서 덕분에 단 기간에 빠르게 MPTCP 프로토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실습할 수 있었습니다. 깡통 PC 부터 MPTCP 커널 올려 보기 -> 깡통PC부터 Ubuntu 운영체제를 올려보고 처음으로 커널 컴파일을 통해 MPTCP 프로토콜이 추가된 커널 을 올려보았습니다. 네트워크 망 분리하여 테스트 환경 구성 -> 개념적으로도 정말 다양한 네트워크 지식을 배웠고, 그동안 항상 이런 환경을 구성할 때 불편하다고 느꼈던 테스트 환경 구성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 배웠습니다.
  • 9. MMMPGUI 공부한것02. Multi Path vs Single Path -> Multi Path의 장점중인 하나인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에 대해 GUI를 구성해보았습니다. IPSec -> IPSec을 GUI로 잘 보여주기 위해 파일을 가져오는 패킷을 가져와 한글로 인코딩 한 뒤 화면에 보여주었습 니다. IPSec으로 감싸져 있는 패킷의 경우 암호화 된 데이터를 보여주었습니다. GRE Tunnel -> 차등 서비스를 보여주기 위해 메인 인터페이스를 2가지 터널로 나누고, 그중 터널 하나의 대역폭을 조절 함 으로서 스트리밍하였습니다. 낮은 대역폭에서 스트리밍하였을 경우 영상이 끊기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충분한 대역폭에서 스트리밍하였 을 경우 영상이 원활히 재생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10. OpenStack 공부한것02. 클라우드 컴퓨팅 -> 그동안 꼭 공부하고 싶었던 분야 중 하나인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이번 OpenStack을 설치하기 전에 전 체적인 개념을 익히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였습니다. IaaS, PaaS, SaaS ->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공부하면서, 여러 클라우드 컴퓨팅의 모델인 IaaS, PaaS, SaaS에 대해 공부하고 정리하였습니다. OpenStack -> 마찬가지로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고, 남은 시간동안 가상 머신 2개에 OpenStack을 올려보는 것이 목표입 니다.
  • 13. 결과물03. MMMPGUI 129.254.197.48 129.254.197.122 1. file1,2,3,4 (root) 2. mptcp on 3. ipsec start 4. gre setting (1) gre.sh (2) normal set (3) differ set tomcat ffserver 1. user 로그인 2. gre setting 모든 것 다 의존성 제거 https://github.com/wnsgml972/D ashboard-Thema/tree/etri Github에 모든 정보를 기록 아주 쉽게 git clone만 하면 바로 테스트 환경 구성 가능 web Page 129.254.197.48:8080/ dashboard/WebContent/ 192.168.10.1 192.168.20.1 192.168.30.1 192.168.40.1 192.168.10.2 192.168.20.2 192.168.30.2 192.168.40.2 사용자 Webm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N 스크린을 지원하며 어떤 브라우저 상에서도 스트리밍 영상을 볼 수 있 습니다. (mp4 태그 사용) 129.254.197.48:12390/test1.webm 외부에서 톰캣에 올린 웹 페이지 에 접속하기만 하면 사용 가능 PC1 PC2 Stream
  • 14. 결과물03. MMMPGUI Multi Path vs Single Path (Single Path)
  • 15. 결과물03. MMMPGUI Multi Path vs Single Path (Multi Path)
  • 18. 결과물03. OpenStack 개념에 대한 정리 -> 그냥 설치만 하게 되면 추후에 남는 지식이 많이 생기지 않을 것 같아 다양한 블로그와 안철현 부장님의 조 언을 통해 글로 적어보았습니다. 글로 적기만 하고 끝난 것이 아니라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에 올려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 다. https://wnsgml972.github.io/network/network_cloud-computing.html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은 꼭 OpenStack을 이용해 클라우드 환경을 두개의 가상 머신에 구성하는 것이 목표입 니다.
  • 20. 결론04. 느낀점 이번 ETRI 하계 인턴을 지원하여 운이 좋게 여름방학 동안 인턴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턴 기간동안 얻은 중요한 점이 정말 많았고,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많은 경험을 하게 해준 이번 인턴 기간은 정말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MMMP GUI 프로젝트의 시작을 조금 더 빨리 시작했더라면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었을 것 같아 너무 아쉬웠습니다. 전공 지식뿐만 아니라 대전의 많은 맛 집들을 데려가 주시고, 대학원이나 학업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주 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 21. 결론04. 내가얻은것 1. 네트워크 전반 적인 지식. - MPTCP - Cloud Computing - 테스트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 구성 2. 기술 문서 작성 법. 3. 재사용 가능한 코드로 만들기. 4. 열심히 하려는 마음가짐. 5. 다양하게 배운 지식에 대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