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ValuePair 첫 모임!
XP와 Pair programming
발표자
• 최재원
• 아주대학교 컴공, 수학 전공
• (주)펜타큐브 인턴
• 관심 분야:
• System software
• Big data infrastructure
• GPGPU
2016. 6. 7. 2016 C++ study 2
반갑습니다!
• 드디어 첫 모임!
•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명한 사람들이 말하는 XP
• 발표자가 말하는 XP
• 우리가 해볼 XP
• 참고 문헌
XP(eXtreme
Programming) 란?
XP란?
• 철학이란 뭔가요?
• 임마누엘 칸트, “철학은 가르칠 수 없다. 다만
철학함을 가르칠 수 있을 뿐이다.”
• XP란 뭔가요?
• 켄트 백, “XP란 사회적 변화에 관한 것이다.”
• 그래서 XP가 뭔가요…
XP란?
• 오래되고 효과가 없는 사회적 습관들을 버리고
효과 있는 새로운 습관을 채택하는 것.
• 오늘 내가 기울인 모든 노력에 대해 자신을
인정해 주는 것.
• 내일은 좀 더 잘 해보려고 애쓰는 것.
XP란?
• 팀 전체가 공유하는 목표에 내가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잣대로 자신을 평가하는 것.
•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는 중에도 여러분의
인간적 욕구 가운데 일부를 채우겠다고
요구하는 것.
XP의 핵심 아이디어
• **잦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지향하자**
• 내가, 네가, 우리가 사람임을 인정하자
• 아기의 걸음처럼: 작은 보폭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부터
• 깨끗한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여러 노력
• 페어 프로그래밍
• 빠른 릴리즈 주기
• 단위 테스트, 기능 테스트, 그리고 테스트 자동화
XP가 대처할 수 있는 것들
• 비용 문제
• 일정 밀림
• 시스템 이상
• 결함 비율
• 이름뿐인 풍부한 기능
XP가 대처할 수 있는 것들
• 커뮤니케이션 문제
• 비지니스에 대한 오해
• 비지니스의 변화
• 직원 교체
내가 경험한 XP
방법론으로써의 XP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건초염이 옴.
• 어쩔 수 없이 키보드를 못치는 상태.
• 회사 이사님께서 하신 제안,
• “이렇게 된거, 짝 프로그래밍으로 간다!”
• 이렇게 된거, 회복하는 한달 동안 매일 짝 코딩을
하게 되는데…
• 켄트 백은 ”출시를 위한 코드는 페어
프로그래밍을 꼭 하라” 라고 주장.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우리가 세운 원칙 : “네비게이터” 와 “드라이버”
를 결정
• 네비게이터
• 옆에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 역할
• 현재 작업의 방향성을 결정
• 단, 전체적인 방향성, “이 시간에 무슨 일을 할까?”는 함께
정한다.
• 드라이버의 작업에 세세한 실수를 보정, 같이 토론
• 아이디어나 추상적인 생각에 여유를 가지고 작업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우리가 세운 원칙 : “네비게이터” 와 “드라이버”
를 결정
• 드라이버
• 네비게이터의 노예
• 네비게이터의 방향성 대로 코딩
• 네비게이터의 방향성에 대한 피드백
• 코드에 더 집중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내기 좋음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실제 적용
• 손이 아프던 내가 네비게이터, 이사님이
드라이버를 잡으심(죄송합니다)
• 저 원칙 이외에 특별한 원칙을 갖지 않았지만,
효과는 확실했다.
• 효율이 실제로 뛰어나서 건초염이 낫고도
한동안은 페어 프로그래밍
• 드라이버로 전직하게 된건 안비밀…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실제 적용
• 안좋았던 점
• 처음에 익숙해 지는 시간 필요
• “굉장한” 피로감.
• 한명이 정신이 나가면 도움이 안됨
• 특히 네비게이터가 정신이 나가면 안됨!!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실제 적용
• 좋았던 점
• 서로에게 배운다. 아주 사소한 것부터, 통찰력까지.
•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고통은 나누면 반이 된다
• 내가 힘들 떄 믿고 의지할 사람이 있음
• 개발자끼리 친해짐
• 가장 중요한, “실제 효율이 증가!”
방법론으로써의 XP – CI
• 실제 Jenkins를 이용한 개발은 잘 안해봄
• 하지만, github을 이용한 (부분적인) 지속적인
통합은 효과를 많이 봄!
• 네이버 D2 FEST를 출전하면서 본격적으로 익힘.
• 질문: git은 잘 쓰시나요?
• Keyword: issue, pull request, wiki
방법론으로써의 XP – TDD
• Test Driven Development
• 소프트웨어 장인이라는 책을 읽고 뽐뿌를 받아
시작
• 원칙: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에 맞는
코드를 작성하라!
방법론으로써의 XP – TDD
• 실제 적용:
• 현재 MFER 라는 의학 파형 데이터
인코더/디코더를 TDD를 통해 작성 중
• 단점:
• 수련이 필요함
• 하지만, 켄트 백과 함께라면 우린 최고야!
• 적용이 안되는 분야도 있음
• AI, Interactive한 UX, Multithreading 상황등…
• 장점:
• 나머지 다
• 장난이고…
방법론으로써의 XP – TDD
• 실제 적용:
• 장점:
• Test가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느껴지는 안정감
• 이제 내가 자유롭게 수정해도 상관없겠구나
• **잦은 리팩토링이 일어나므로 코드 질 상승**
• 코드는 계속 고민하고 건드릴수록 발전
• “쓸 함수”를 가정하므로 코드 질 상승
• 쓰지 않을 함수를 만들지 않으므로 생산성 향상
내가 경험한 XP
가치로써의 XP
가치로써의 XP: 인간임을 인정
•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한다.
• 고로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제안한다.
• 상대방을 존중한다.
• 차카게 살자
가치로써의 XP: 인간임을 인정
• 실제 사례:
• 현재 회사에서는 내가 의견을 내면 굉장히
경청해주는 편
• 꼭 내 문제가 아니더라도 의견을 낼 수 있게
해주고, 실제로 방향성을 그에 맞춰서 가는
경우도 많았음.
• 덕분에 이사님들이 나에게 조언을 하시더라도
피드백으로 느껴질 뿐, 꼰대질로 안느껴짐.
가치로써의 XP: 인간임을 인정
• 실제 사례:
• 항상 실패하는 경우는
• 내가 오만에 가득찰 때
•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할 때.
• 실패해도 된다: 회고하고 반성하고 그 실수가
나온 요인을 해결하면 된다.
• 항상 대화하고 문제를 미리 부각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를 풀자!
가치로써의 XP: 가치의 실현
• 가장 첫 질문: “어떤 가치를 실현할까?
• 모든 선택 이전에 고민해 볼 것
• 토론은 일어 날 수 밖에 없다. 이때 결정은
권위나 떼쓰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공통
가치에 부합하는가?”
• 이게 가능하려면 항상 모두가 공통의 가치를
깊게 공감해야 한다.
• 가치와 상관없는 기능은 가감없이 뺴버리자.
•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우리의 XP
어떻게 할 것인가 - 가치
• 같이 재밌게 공부하고 대화하자.
• 내가 생각하는 우리 모임의 제 1 가치:
• “재미있게 발전하자!”
• 재미를 침해하는 것을 배격하고, 어떻게 하면
재밌을 수 있을지
• 발전을 침해하는 것을 배격하고, 어떻게 하면
발전할 수 있을지
어떻게 할 것인가 - 방법
•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하자,
• ”Pair Programming!”
• 기본적인 원칙은 한번 토론해 봅시다.
• 우리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여타 방법론의
도입도 해봅시다.
• 애자일에 대해서 글을 읽어 봅시다.
왜 KeyValuePair인가?
• … 사실 slack url을 뭔가 정해야 해서 개발오덕
스러운 “Pair”가 들어가는 단어를 쓴 것
• ”TDD를 적용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하나요?” 에
대한 소프트웨어 장인의 대답: PP를 하세요.
• 어쩌면 핵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장
도입하기 쉽고 빠르고 중요한 방법론이 Pair
Progrmaming이 아닌가…
• 그래서 “핵심 가치를 창출하는 짝궁” 이라는
의미의 KeyValuePair가 됨.
참고 문헌
• 켄트 백
• Extreme Programming Explained
• Test Driven Development by example
• 그 외
• 소프트웨어 장인
• 클린 코드를 위한 파이썬을 이용한 테스트 주도 개발

More Related Content

PPTX
짝 프로그래밍 소개
PDF
이승재, 일정대로 출시하기 왜 & 어떻게: 개발자를 위한 제작진행개론, NDC2017
PDF
NAVER TECH CONCERT_FE2019_주니어 개발자의 성장에 대한 뻔하지만 뻔하지않은 이야기
PPTX
오피스_수정
PDF
[IGC2018] 파더메이드 이찬수 - 블루홀 10년차 개발자의 1인개발이야기
PDF
Fedevtalk 15 jds
PDF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PPT
[1216 박민근] 게임회사취업및이직에관한조언
짝 프로그래밍 소개
이승재, 일정대로 출시하기 왜 & 어떻게: 개발자를 위한 제작진행개론, NDC2017
NAVER TECH CONCERT_FE2019_주니어 개발자의 성장에 대한 뻔하지만 뻔하지않은 이야기
오피스_수정
[IGC2018] 파더메이드 이찬수 - 블루홀 10년차 개발자의 1인개발이야기
Fedevtalk 15 jds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1216 박민근] 게임회사취업및이직에관한조언

What's hot (20)

PDF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PPTX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PDF
애자일 안한 이야기
PDF
[1B5]github first-principles
PDF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PDF
[49th KUG PP] TEDxMyeongDong
PPTX
학생 개발자, 인턴십으로 성장하기
PPTX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PDF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PDF
Better softwareengineer han
PDF
잘하면고효율, 못하면가문의원수가되는 짝프로그래밍 (Effective Pair Programming with Lessons Learned)
PPTX
[페차쿠차] 신입 게임 개발자 상식사전
PDF
[1B2]자신있는개발자에서훌륭한개발자로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4_야 너두 할 수 있어. 비전공자, COBOL 개발자를 거쳐 네이버에서 FE 개발하게 된...
PPTX
2014년에 만든 나만의 이력서
PDF
정글에서 살아남기 - 아마존 개발자
PPTX
[0319 박민근] 게임 개발자는 왜 공부해야만 하는가
PDF
조금 일찍 시작한 사회 적응기
PDF
132 deview 2013 프로그래머로 산다는 것 유석문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애자일 안한 이야기
[1B5]github first-principles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49th KUG PP] TEDxMyeongDong
학생 개발자, 인턴십으로 성장하기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Better softwareengineer han
잘하면고효율, 못하면가문의원수가되는 짝프로그래밍 (Effective Pair Programming with Lessons Learned)
[페차쿠차] 신입 게임 개발자 상식사전
[1B2]자신있는개발자에서훌륭한개발자로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200820 NAVER TECH CONCERT 14_야 너두 할 수 있어. 비전공자, COBOL 개발자를 거쳐 네이버에서 FE 개발하게 된...
2014년에 만든 나만의 이력서
정글에서 살아남기 - 아마존 개발자
[0319 박민근] 게임 개발자는 왜 공부해야만 하는가
조금 일찍 시작한 사회 적응기
132 deview 2013 프로그래머로 산다는 것 유석문
Ad

Similar to KeyValuePair 첫 모임 - XP와 Pair programming (20)

PDF
꿀밋업시리즈3탄_Spring Boot를 활용한 마이크로서비스 개발과 페어프로그래밍(TDD)
PDF
개발이 테스트를 만났을 때(Shift left testing)
PDF
시니어와 주니어의 협업 다리 온라인 및 오프라인 Pair Coding의 통찰, Pair Programming Be...
PDF
Learning Unit Testing with Pair Programming
PDF
공사꾼 개발부장 김종찬_페어코딩으로 테스팅 배우기_ausg_20170824
PDF
짝 테스트(Pair Testing) 소개와 사례
PPT
애자일 게임 개발: 현실 세계의 혼돈을 다루는 법 (Agile Game Development: Dealing With Chaos In Th...
PPTX
애자일 하라
PPTX
Sk planet 이야기
PDF
애자일 테스트 프랙티스와 사례들 (부제: 협업의 힘)
PDF
엔지니어의 학습, 그리고 테스트 코드
PDF
TDD - 테스트 주도로 개발하기
PDF
"행복한 백발의 개발자"라는 제목으로 2024-03-06 어느 IT 업체에서 직책자로 승진한 분들을 대상으로 한...
PDF
발표자료 1인qa로살아남는6가지방법
PPTX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PPTX
PPTX
[숭실대학교 SODA] Pair Programming(페어 프로그래밍)
PPTX
TDD - Test Driven Development
PDF
테스트 기발 개발, TBD(Test based developement)
PDF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꿀밋업시리즈3탄_Spring Boot를 활용한 마이크로서비스 개발과 페어프로그래밍(TDD)
개발이 테스트를 만났을 때(Shift left testing)
시니어와 주니어의 협업 다리 온라인 및 오프라인 Pair Coding의 통찰, Pair Programming Be...
Learning Unit Testing with Pair Programming
공사꾼 개발부장 김종찬_페어코딩으로 테스팅 배우기_ausg_20170824
짝 테스트(Pair Testing) 소개와 사례
애자일 게임 개발: 현실 세계의 혼돈을 다루는 법 (Agile Game Development: Dealing With Chaos In Th...
애자일 하라
Sk planet 이야기
애자일 테스트 프랙티스와 사례들 (부제: 협업의 힘)
엔지니어의 학습, 그리고 테스트 코드
TDD - 테스트 주도로 개발하기
"행복한 백발의 개발자"라는 제목으로 2024-03-06 어느 IT 업체에서 직책자로 승진한 분들을 대상으로 한...
발표자료 1인qa로살아남는6가지방법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숭실대학교 SODA] Pair Programming(페어 프로그래밍)
TDD - Test Driven Development
테스트 기발 개발, TBD(Test based developement)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Ad

KeyValuePair 첫 모임 - XP와 Pair programming

  • 2. 발표자 • 최재원 • 아주대학교 컴공, 수학 전공 • (주)펜타큐브 인턴 • 관심 분야: • System software • Big data infrastructure • GPGPU 2016. 6. 7. 2016 C++ study 2
  • 3. 반갑습니다! • 드디어 첫 모임! •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명한 사람들이 말하는 XP • 발표자가 말하는 XP • 우리가 해볼 XP • 참고 문헌
  • 5. XP란? • 철학이란 뭔가요? • 임마누엘 칸트, “철학은 가르칠 수 없다. 다만 철학함을 가르칠 수 있을 뿐이다.” • XP란 뭔가요? • 켄트 백, “XP란 사회적 변화에 관한 것이다.” • 그래서 XP가 뭔가요…
  • 6. XP란? • 오래되고 효과가 없는 사회적 습관들을 버리고 효과 있는 새로운 습관을 채택하는 것. • 오늘 내가 기울인 모든 노력에 대해 자신을 인정해 주는 것. • 내일은 좀 더 잘 해보려고 애쓰는 것.
  • 7. XP란? • 팀 전체가 공유하는 목표에 내가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잣대로 자신을 평가하는 것. •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는 중에도 여러분의 인간적 욕구 가운데 일부를 채우겠다고 요구하는 것.
  • 8. XP의 핵심 아이디어 • **잦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지향하자** • 내가, 네가, 우리가 사람임을 인정하자 • 아기의 걸음처럼: 작은 보폭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기능부터 • 깨끗한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여러 노력 • 페어 프로그래밍 • 빠른 릴리즈 주기 • 단위 테스트, 기능 테스트, 그리고 테스트 자동화
  • 9. XP가 대처할 수 있는 것들 • 비용 문제 • 일정 밀림 • 시스템 이상 • 결함 비율 • 이름뿐인 풍부한 기능
  • 10. XP가 대처할 수 있는 것들 • 커뮤니케이션 문제 • 비지니스에 대한 오해 • 비지니스의 변화 • 직원 교체
  • 12.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건초염이 옴. • 어쩔 수 없이 키보드를 못치는 상태. • 회사 이사님께서 하신 제안, • “이렇게 된거, 짝 프로그래밍으로 간다!” • 이렇게 된거, 회복하는 한달 동안 매일 짝 코딩을 하게 되는데… • 켄트 백은 ”출시를 위한 코드는 페어 프로그래밍을 꼭 하라” 라고 주장.
  • 13.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우리가 세운 원칙 : “네비게이터” 와 “드라이버” 를 결정 • 네비게이터 • 옆에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 역할 • 현재 작업의 방향성을 결정 • 단, 전체적인 방향성, “이 시간에 무슨 일을 할까?”는 함께 정한다. • 드라이버의 작업에 세세한 실수를 보정, 같이 토론 • 아이디어나 추상적인 생각에 여유를 가지고 작업
  • 14.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우리가 세운 원칙 : “네비게이터” 와 “드라이버” 를 결정 • 드라이버 • 네비게이터의 노예 • 네비게이터의 방향성 대로 코딩 • 네비게이터의 방향성에 대한 피드백 • 코드에 더 집중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내기 좋음
  • 15.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실제 적용 • 손이 아프던 내가 네비게이터, 이사님이 드라이버를 잡으심(죄송합니다) • 저 원칙 이외에 특별한 원칙을 갖지 않았지만, 효과는 확실했다. • 효율이 실제로 뛰어나서 건초염이 낫고도 한동안은 페어 프로그래밍 • 드라이버로 전직하게 된건 안비밀…
  • 16.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실제 적용 • 안좋았던 점 • 처음에 익숙해 지는 시간 필요 • “굉장한” 피로감. • 한명이 정신이 나가면 도움이 안됨 • 특히 네비게이터가 정신이 나가면 안됨!!
  • 17. 방법론으로써의 XP – 짝 코딩 • 실제 적용 • 좋았던 점 • 서로에게 배운다. 아주 사소한 것부터, 통찰력까지. •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고통은 나누면 반이 된다 • 내가 힘들 떄 믿고 의지할 사람이 있음 • 개발자끼리 친해짐 • 가장 중요한, “실제 효율이 증가!”
  • 18. 방법론으로써의 XP – CI • 실제 Jenkins를 이용한 개발은 잘 안해봄 • 하지만, github을 이용한 (부분적인) 지속적인 통합은 효과를 많이 봄! • 네이버 D2 FEST를 출전하면서 본격적으로 익힘. • 질문: git은 잘 쓰시나요? • Keyword: issue, pull request, wiki
  • 19. 방법론으로써의 XP – TDD • Test Driven Development • 소프트웨어 장인이라는 책을 읽고 뽐뿌를 받아 시작 • 원칙: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에 맞는 코드를 작성하라!
  • 20. 방법론으로써의 XP – TDD • 실제 적용: • 현재 MFER 라는 의학 파형 데이터 인코더/디코더를 TDD를 통해 작성 중 • 단점: • 수련이 필요함 • 하지만, 켄트 백과 함께라면 우린 최고야! • 적용이 안되는 분야도 있음 • AI, Interactive한 UX, Multithreading 상황등… • 장점: • 나머지 다 • 장난이고…
  • 21. 방법론으로써의 XP – TDD • 실제 적용: • 장점: • Test가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느껴지는 안정감 • 이제 내가 자유롭게 수정해도 상관없겠구나 • **잦은 리팩토링이 일어나므로 코드 질 상승** • 코드는 계속 고민하고 건드릴수록 발전 • “쓸 함수”를 가정하므로 코드 질 상승 • 쓰지 않을 함수를 만들지 않으므로 생산성 향상
  • 23. 가치로써의 XP: 인간임을 인정 •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한다. • 고로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제안한다. • 상대방을 존중한다. • 차카게 살자
  • 24. 가치로써의 XP: 인간임을 인정 • 실제 사례: • 현재 회사에서는 내가 의견을 내면 굉장히 경청해주는 편 • 꼭 내 문제가 아니더라도 의견을 낼 수 있게 해주고, 실제로 방향성을 그에 맞춰서 가는 경우도 많았음. • 덕분에 이사님들이 나에게 조언을 하시더라도 피드백으로 느껴질 뿐, 꼰대질로 안느껴짐.
  • 25. 가치로써의 XP: 인간임을 인정 • 실제 사례: • 항상 실패하는 경우는 • 내가 오만에 가득찰 때 •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할 때. • 실패해도 된다: 회고하고 반성하고 그 실수가 나온 요인을 해결하면 된다. • 항상 대화하고 문제를 미리 부각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를 풀자!
  • 26. 가치로써의 XP: 가치의 실현 • 가장 첫 질문: “어떤 가치를 실현할까? • 모든 선택 이전에 고민해 볼 것 • 토론은 일어 날 수 밖에 없다. 이때 결정은 권위나 떼쓰는 것이 아니고, “우리의 공통 가치에 부합하는가?” • 이게 가능하려면 항상 모두가 공통의 가치를 깊게 공감해야 한다. • 가치와 상관없는 기능은 가감없이 뺴버리자. •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 28. 어떻게 할 것인가 - 가치 • 같이 재밌게 공부하고 대화하자. • 내가 생각하는 우리 모임의 제 1 가치: • “재미있게 발전하자!” • 재미를 침해하는 것을 배격하고, 어떻게 하면 재밌을 수 있을지 • 발전을 침해하는 것을 배격하고, 어떻게 하면 발전할 수 있을지
  • 29. 어떻게 할 것인가 - 방법 •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하자, • ”Pair Programming!” • 기본적인 원칙은 한번 토론해 봅시다. • 우리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여타 방법론의 도입도 해봅시다. • 애자일에 대해서 글을 읽어 봅시다.
  • 30. 왜 KeyValuePair인가? • … 사실 slack url을 뭔가 정해야 해서 개발오덕 스러운 “Pair”가 들어가는 단어를 쓴 것 • ”TDD를 적용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하나요?” 에 대한 소프트웨어 장인의 대답: PP를 하세요. • 어쩌면 핵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장 도입하기 쉽고 빠르고 중요한 방법론이 Pair Progrmaming이 아닌가… • 그래서 “핵심 가치를 창출하는 짝궁” 이라는 의미의 KeyValuePair가 됨.
  • 31. 참고 문헌 • 켄트 백 • Extreme Programming Explained • Test Driven Development by example • 그 외 • 소프트웨어 장인 • 클린 코드를 위한 파이썬을 이용한 테스트 주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