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암호화폐
2018. 6. 25
CISO 강은성
2
목차
Ⅰ. Public vs. Private Blockchain
Ⅱ. 암호화폐 시장
Ⅲ. Initial Coin Offering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Ⅴ. 암호화폐와 보안
Ⅵ. 향후 전망
3
Public Blockchain Private Blockchain
소유권
(주도 세력?)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신
(Decentralized ownership)
특정 조직 또는 그룹
(Monopoly ownership)
멤버십
(합의 알고리즘)
요건을 갖춘 참여자 승인받은 참여자
인센티브 암호화폐 사업
노드 수 > 1,000개 < 100개
커스터마이즈 Hard forking 산업 또는 분야별 특성 반영
1. 블록체인의 분류Ⅰ. Public vs. Private Blockchain
4
(참고) (퍼블릭) 블록체인, 새로운 세계인가?
l 새로운 사이버 공간
ü 글로벌 커뮤니티
ü 온체인 거버넌스
ü 코인경제 생태계
§ 코인의 발행, ICO, 거래소에서의 환전, 실물경제에서의 활용
l 중개자 없는 결정과 집행
ü 중개자: 계주, 청산소, 정부, 법원
l 기존 규제(규칙)와의 차이
ü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 듦
ü 프로그램(코드)으로 강제됨
ü 규칙을 정하는 주체와 속도 – 주도 세력/커뮤니티, 속도가 매우 빠름
l 한번 결정(기록)한 것은 되돌릴 수 없음 (restore가 없음)
ü 변경이 자주 필요한 일에는 적합하지 않음
5
(참고) 블록체인 vs. IT시스템
블록체인 IT시스템
무결성
많은 (여러) 노드에 기록되어 있어
서 위변조하기 어려움
권한을 악용, 도용한 위변조 발생
투명성
누구든지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트
랜잭션을 열람, 추적할 수 있음
허용된 대상과 권한 내에서만 열
람 가능
가용성
블록체인 네트워크 어디에서 연결
하여서도 정보 취득 가능 (P2P
가용성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 구
축 필요 (한계가 있음)
비밀성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으므로 매우
좋지 않음
비밀성을 구현하기에 좋음
성능
많은 (여러) 노드에 동시에 기록해
야 하므로 성능이 떨어짐
성능을 올리기에 좋음
대용량 데
이터 처리
블록의 크기, 노드의 저장공간의 제
약이 있어서 적합하지 않음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이 어렵지
않음
6
(참고) 블록체인 vs. IT시스템
블록체인 IT시스템
무결성
많은 (여러) 노드에 기록되어 있어
서 위변조하기 어려움
권한을 악용, 도용한 위변조 발생
투명성
누구든지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트
랜잭션을 열람, 추적할 수 있음
허용된 대상과 권한 내에서만 열
람 가능
가용성
블록체인 네트워크 어디에서 연결
하여서도 정보 취득 가능 (P2P)
가용성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 구
축 필요 (한계가 있음)
비밀성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으므로 매우
좋지 않음
비밀성을 구현하기에 좋음
성능
많은 (여러) 노드에 동시에 기록해
야 하므로 성능이 떨어짐
성능을 올리기에 좋음
대용량 데
이터 처리
블록의 크기, 노드의 저장공간의 제
약이 있어서 적합하지 않음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이 어렵지
않음
7
(참고) Public Blockchain vs. Cryptocurrency
l 퍼블릭 블록체인은 반드시 암호화폐가 필요한가?
ü 아직은…
ü 정부 예산 블록체인?
l 모든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나?
ü ripple by Ripple Labs
ü lumen by 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
8
(참고) 퍼블릭 블록체인 – Bitcoin network
9
분야 과제
합의 프로토콜
• 친환경 (Proof of Work의 문제점)
• 성능, robustness, scalability
• 탈중앙화, 멤버십의 개방성
프라이버시
• 개인정보, 중요 정보의 비밀성 유지
• KYC-AML(Know Your Customer Anti-Money Laundering)
보안성
• SW보안: 오픈소스 à 보안취약점의 오픈
• 합의 알고리즘의 취약점
•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플랫폼
•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성능, 안정성
• 네트워크 사용료
• 개발 편의성
애플리케이션
(DApp)
• 애플리케이션 오류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영향
인센티브 • 암호화폐 / 기타
2. 퍼블릭 블록체인의 과제
블록체인 기술은 아직 성숙되지 않아서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있음.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Ⅰ. Public vs. Private Blockchain
10
Ⅱ. 암호화폐 시장 글로벌 현황
출처: coinmarketcap.com, 2018.06.07
11
(참고) 변화
2018년 2월 2018년 6월 증가율
암호화폐 수 1,508 1,645 9.1%
거래소 수 8,417 11,238 33.5%
마켓 캡(USD) 519,036,437,625 345,752,587,871 -33.4%
(참고) NEM 9,796,984,939 2,336,742,000 -76.1%
BTC 비율 33.20% 38.00% 4.8%
상위 10개 코인 비중 79.09% 80.17% 1.1%
10위 내 변경 수 제외: NEM, NEO 신규: IOTA, TRON
12
l ICO의 특징
ü 목적: 개발자금 모집 vs. 사업자금 모집
ü 성격: 글로벌 크라우드 펀딩 – 해외에서 다수 참여
ü 판단 근거: 백서, 개발팀, 소스 코드, 커뮤니티 등에서의 평가/논쟁
ü fund raising 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l ICO 효과
ü 고용 창출
§ 절대 다수가 국내 인력
§ 2-30대 청년들이 60% 이상
§ 양질의 일자리
ü 암호 화폐 개발의 특성
§ 오픈 소스
§ 글로벌 비즈니스
§ 도전적인 과제
§ 자발적, 적극적인 참여
1. 특징과 효과Ⅲ. Initial Coin Offering
13
(참고) ICO stats 2017~2018
출처: https://www.icodata.io/stats/2017
14
(참고) ICOs by Category 2017
출처: https://www.coinschedule.com/stats.html?year=2017
15
Ⅲ. Initial Coin Offering
l ICO는 허용
l 불법 행위에 대한 처벌
ü 유사수신 행위
l ICO 대한 규제
ü 일정 금액 이상 ICO한 기업은 외부 감사 적용
ü ICO 기간의 제한
§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마침
l 사기 암호화폐(Scam)에 대한 대응
ü 보고서 제공 - 협회, 전문가그룹
2. 규제에 대한 의견
16
(참고) 규제 방향의 선택
출처: 전성인, 암호화폐의 경제적 의미와 정책대응, 이학영 의원 주최 정책토론회, 2018.2.5
17
(참고) 향후 정책적 보완
출처: 전성인, 암호화폐의 경제적 의미와 정책대응, 이학영 의원 주최 정책토론회, 2018.2.5
18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세대 구분
ü 1세대: 비트코인
ü 2세대: 플랫폼
ü 3세대(?)
§ Privacy
§ 더 좋은 합의 알고리즘 – 친환경, 속도, 개방성, 탈집중화
§ 더 좋은 플랫폼 – 실제로 쓸 만한 (처리 속도, 편의성, 비용, 안정성 등)
§ 거버넌스 – 커뮤니티 전체가 공정하게 참여할 수 있는
l 스위스 FINMA의 분류 (출처: ICO guidelines by Financial Market Supervisory Authority)
ü Payment tokens
§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위한 지불 수단 또는 가치 이전 수단으로 의도된 토큰
ü Utility tokens
§ 블록 체인 기반 인프라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 디지털 방식으로 액
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토큰
ü Asset tokens
§ 발행자의 부채 또는 지분과 같은 자산을 나타냄
§ 예를 들어 미래의 회사 수입이나 미래의 자본 흐름에 대한 분배를 약속한다면, 경
제적 기능면에서 이러한 토큰은 주식, 채권 또는 파생 상품과 유사함
1. 분류
19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코인 vs. 토큰
ü 다른 플랫폼을 사용하는 코인 - 약 750개 (coinmarketcap.com)
ü 80% 이상이 이더리움을 사용 – ERC20
§ BitShares, Waves, Qtum,
ü 토큰 발행의 의미
§ 긍정적: 시장에 빨리 진입하고, 기술 개발, 애플리케이션에 집중
§ 부정적: 투기성, 사기(scam)일 가능성
l 발행기관
ü 기업: ripple
ü 재단: ethereum, lumen, BOScoin
ü 국가: Petro(베네수엘라), Turkcoin(터키), Entapay(캄보디아), Soveriegn(마셜제도
공화국)
ü 지역: 노원(NW, 서울 노원구) – 자원봉사, 기부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
1. 분류
20
(참고) 타 토큰을 이용한 코인 발행
출처: coinmarketcap.com, 2018.06.07
21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2. 주요 모듈
컨텐츠 DApps Governance
VM & Contract Platform
컨센서스 프로토콜
블록체인 네트워크
22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Consensus
ü Proof of Work (PoW) – bitcoin, ethereum, litecoin, zcash, etc. (가장 많이 사용)
ü Proof of Stake (PoS) – Qtum, Cardano
ü Delegated Proof of Stake (DPoS) – EOS, Steem, BitShares, TRON
ü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FBA) – lumen
ü Modified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mFBA) – BOScoin
l Platform – Virtual machine & Smart Contract
ü 속도, 안정성, 비용
ü ethereum, Litecoin, Stellar, Cardano, BOScoin
l Governance
ü On-chain vs. off-chain
§ Hard-forking을 줄일 수 있음
ü Dash, Qtum
ü Cardano, BOScoin
3. 주요 기술
23
(참고) Consensus Protocol
기준 설명
Safety A set of nodes enjoy safety if no two of them ever
externalize different values for the same slot.
Liveness A node enjoys liveness if it can externalize new values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any faulty nodes. Eventually
non-faulty nodes output a value.
Performance 합의의 속도 (TPS)
Scalability 참여 노드가 증가함에 따른 합의 알고리즘의 안정성, 성능의 유지
Openness 참여와 탈퇴의 자유로움
24
DApps on Ethereum(참고) 플랫폼
이더리움에서 작동하는 앱(DApp)이 1,300여 개 소개되어 있음
출처: State of the Apps
25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프라이버시
코인 익명화 기술 익명화 대상
Bytecoin Stealth Address 수신자
Coinjoin Bitcoin Mixing 송금자
Dash Masternode Mixing 송금자
komodo zk-SNARKs 송신자, 송금액
Monero
Ring signatures, Stealth addresses,
Ring Confidential Transaction
송금자, 수신자, 송금액
zcash zk-SNARKs, Stealth addresses 송신자, 수신자, 송금액
3. 주요 기술
출처: Keepit 블록체인 칼럼: 익명화폐의 역사, Steemit, 2017
26
(참고) Mt. GOX 사고의 범인 체포?
Mt. Gox
(63만 BTC)
BTC-e
(30만 BTC)
• 2014년 2월, 해킹으로 85만개 비트코인을 분실했다며 파산 신청
• 2017년 7월, Alexander Vinnik, BTC-e 러시아 거래소 직원(주인으로 의심됨)이
범인으로 그리스에서 체포됨
27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Bitcoin: 최초의 암호화폐. 암호화폐의 기축통화 역할
l Ethereum: 최초의 프로그램 실행(Smart Contract)이 가능한 암호화폐(2세
대). ICO에 많이 사용
l EOS: 네트워크를 무료로 사용. 21명의 Block Producer. 이더리움 대체를 목
표
l ripple: The world’s only enterprise blockchain solution for global
payments
l Lumen(Stellar): “THE FUTURE OF BANKING IS HERE”
l IOTA: 사물인터넷에서 이뤄지는 사물 사이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비용 지불
의 백본이 되려고 함
l Steem: Steem is a blockchain-based rewards platform for publishers to
monetize content and grow community
l Zcash, Monero: 익명성을 강화
l AGI: SingularityNET lets anyone create, share, and monetize AI services
at scale
4. 사용성
28
Ⅴ. 암호화폐와 보안
l 보안 공격
ü Sybil Attack
ü DDoS Attack
ü Consensus에 대한 공격 – liveness, safety
ü Smart Contract
ü Virtual Machine
ü Governance – 인해전술?
l 공개소스의 보안성
ü 공개소스가 더 보안에 안전하다?
ü 개발자 vs. 기여자 vs. 공격자
§ 기여자의 비율
l 제품보안
ü 개발단계별 보안 활동: 요구사항 정의 – 설계 – 구현 – 검증 단계
ü 출시 후 보안 활동: 보안취약점 신고 및 대응 체계
주요 이슈
29
(참고) Bitcoin Gold hacked!
2018.5.23
2018.5.23
2018.5.10
30
(참고) ‘The DAO’ Project
l “DAO는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준말로, 탈중앙화자율조직을 뜻
한다. 즉 특정한 중앙집권주체
의 개입없이 개인들이 모여 자
율적으로 제안과 투표 등의 의
사표시를 통해 다수결로 의결
을 하고 이를 통해 운용되는 조
직이다.”
l “‘The DAO’는 그러한 이더리움
DAO의 개념을 실체화시킨 프
로젝트로써, 이더리움 Dev팀
메인 개발자 중 한명이었던
Stephan Tual을 주축으로 팀이
이루어져 있다. THE dao는 이
더리움 블록체인 상에 컨트랙
트 코드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
더(Ether)’와 자체 발행 코인인
‘Dao Token’을 화폐로 사용한
다.”출처: 한승환, The DAO란 무엇인가?, 2016.07.03
31
Ⅵ. 향후 전망
l 규제의 발전 방향
ü KYC-AML
ü 세금 부과, 투자자의 보호
ü ICO를 생태계로 한 국가의 확산 – 스위스, 싱가폴, etc.
§ 벤처캐피탈과의 경쟁
l 프라이버스 강화
ü Privacy enhanced Blockchain
ü Privacy enhanced Smart Contract
l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
ü 속도, 안정성, 보안, 확장성
l 대세론과 롱테일
ü 플랫폼 사업 – 10~20위권의 경쟁
ü 롱테일
l 사용성의 확대
ü 빗썸: 여기어때, PG사와의 협업, 결제
ü 금융생태계
l 코인(토큰) 경제의 발달
1. 전망
32
(참고) Coin Economy
코인발행자
/블록체인
Fundraiser/
코인 보유자
코인
거래소
실물경제
(사용처)
DApp
/개발사
BTC
/ETH
코인
코인 제품/
서비스
코인
법정화폐
코인
법정
화폐
상장
마케팅수수료
Blockchain
Network
수수료
서비스
코인
자산/제품
서비스
33
(참고) 블록체인 기술개발 로드맵(안),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2018.06
34
분야 도전 과제 대안
합의 알고리즘
• 친환경 알고리즘
• 성능, robustness
• 탈중앙화, 멤버십의 개방성
mFBA
프라이버시
• 개인정보, 중요 정보의 비밀성 유지
• KYC AML문제 대응
한국스마트인증과 협업
보안성
• SW보안: 오픈소스
• 합의 알고리즘의 취약점
•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KAIST 김용대 교수팀과 협
업
플랫폼
• P2P 네트워크의 성능, 안정성
• 성능
BOS Platform
(5,000 트랜잭션/초)
애플리케이션
(DApp)
• 참여자의 개발 용이성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계약서
• 애플리케이션 품질
• 네트워크 이용 비용의 최소화
Trust Contract
(OWL, Timed Automata)
인센티브 • 암호화폐 / 그 밖의 인센티브
• BOScoin
• Public Financing
2. BOScoin의 도전Ⅵ. 향후 전망
• mFBA: modified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 P2P: Peer-to-Peer,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 OWL: Web Ontology Language
고맙습니다!
eunseong.kang@boscoin.io

More Related Content

PPTX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경제
PDF
비트코인과 디지털통화 - 이주영
PDF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PPTX
카르다노&에이다
PDF
가상화폐 비트코인, 아직은 성공적, 미래는 불투명 | 2013.08.13
PDF
짱 쉬운 블록체인
PDF
Blockchain trends and research
PDF
블록체인 기술 적용 사례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경제
비트코인과 디지털통화 - 이주영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카르다노&에이다
가상화폐 비트코인, 아직은 성공적, 미래는 불투명 | 2013.08.13
짱 쉬운 블록체인
Blockchain trends and research
블록체인 기술 적용 사례

What's hot (20)

PDF
블록체인 개요
PPTX
PDF
비트코인 비지니스 개요
PDF
비트코인, 화폐 논쟁을 넘어 플랫폼으로서의 잠재력 부상 중
PDF
블록체인 기술과 토큰 이코노미, 비즈니스의 판을 바꾼다
PDF
비트코인 네트워크 기술 소개 - 임석의, 윤석주
PDF
Scale chain 제품소개
PPTX
[핀테크 포럼] 비트코인 소모임_coin bee network intro
PDF
K모바일 신용카드 보다 나은 비트코인 발표용_131217
PDF
비트코인 개인간 전자화폐시스템 요약 설명
PDF
[ETHCon Korea 2019] Hong taeoh 홍태오
PDF
NFTs and DAO in the Digital Economy
PDF
블록체인 업계 현황
PDF
화폐의 이해 - 조복현
PDF
한국형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
PPTX
3.고객을 연결하는 블록체인 (4차산업혁명: 고객과의 소통 신기술의 진화)
PDF
Bitcoin 기술분석 - 조남수
PDF
[1차]전자화폐와 비트코인(151003)
PDF
ConVerse - ContentVerse
PDF
비트코인 채굴과정
블록체인 개요
비트코인 비지니스 개요
비트코인, 화폐 논쟁을 넘어 플랫폼으로서의 잠재력 부상 중
블록체인 기술과 토큰 이코노미, 비즈니스의 판을 바꾼다
비트코인 네트워크 기술 소개 - 임석의, 윤석주
Scale chain 제품소개
[핀테크 포럼] 비트코인 소모임_coin bee network intro
K모바일 신용카드 보다 나은 비트코인 발표용_131217
비트코인 개인간 전자화폐시스템 요약 설명
[ETHCon Korea 2019] Hong taeoh 홍태오
NFTs and DAO in the Digital Economy
블록체인 업계 현황
화폐의 이해 - 조복현
한국형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
3.고객을 연결하는 블록체인 (4차산업혁명: 고객과의 소통 신기술의 진화)
Bitcoin 기술분석 - 조남수
[1차]전자화폐와 비트코인(151003)
ConVerse - ContentVerse
비트코인 채굴과정
Ad

Similar to [Krnet2018]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v1.01 (20)

PDF
Understanding BlockChain
PDF
이석우_암호화폐 거래소의 역할과 규제의 필요성
PDF
190320 [ict convergence 2019] blockchain financing
PDF
[블록체인 기업으로 가는 길] 1일차 블록체인 일반
PPTX
[WeFocus] 블록체인 특허 확보 전략_20180916
PDF
블록체인의 본질과 동작 원리
PDF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악성코드
PD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02. Blockchain Overview and Introduction - Te...
PDF
2018/08 GDG 판교 발표 자료
PDF
Introblockchaininfra 180806105137
PDF
20180828 block chainmarketing
PPTX
이더리움과 DApp
PPTX
비트코인에 관한 교육자료 입니다.
PDF
[블록체인 기업으로 가는 길] 3일차 블록체인 사업
PDF
20181219 digital token regualtion re exchange & ico ted koo
PPTX
[WeFocus] 블록체인 특허 확보 전략_20180916_ver2.0
PPTX
PTF는 P;파트너와+ T;팀+ F;패밀리가 합쳐진 합성어로서 폼성과인성이 올바른 보통사람들이 모여서 투자클럽을 형성하고 자율적인 의사...
PDF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PDF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PDF
[통미경 중간] 5조_암호화폐_fn
Understanding BlockChain
이석우_암호화폐 거래소의 역할과 규제의 필요성
190320 [ict convergence 2019] blockchain financing
[블록체인 기업으로 가는 길] 1일차 블록체인 일반
[WeFocus] 블록체인 특허 확보 전략_20180916
블록체인의 본질과 동작 원리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악성코드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02. Blockchain Overview and Introduction - Te...
2018/08 GDG 판교 발표 자료
Introblockchaininfra 180806105137
20180828 block chainmarketing
이더리움과 DApp
비트코인에 관한 교육자료 입니다.
[블록체인 기업으로 가는 길] 3일차 블록체인 사업
20181219 digital token regualtion re exchange & ico ted koo
[WeFocus] 블록체인 특허 확보 전략_20180916_ver2.0
PTF는 P;파트너와+ T;팀+ F;패밀리가 합쳐진 합성어로서 폼성과인성이 올바른 보통사람들이 모여서 투자클럽을 형성하고 자율적인 의사...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Blockchain and future -- SNU Hospital Invitation
[통미경 중간] 5조_암호화폐_fn
Ad

[Krnet2018]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v1.01

  • 2. 2 목차 Ⅰ. Public vs. Private Blockchain Ⅱ. 암호화폐 시장 Ⅲ. Initial Coin Offering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Ⅴ. 암호화폐와 보안 Ⅵ. 향후 전망
  • 3. 3 Public Blockchain Private Blockchain 소유권 (주도 세력?)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신 (Decentralized ownership) 특정 조직 또는 그룹 (Monopoly ownership) 멤버십 (합의 알고리즘) 요건을 갖춘 참여자 승인받은 참여자 인센티브 암호화폐 사업 노드 수 > 1,000개 < 100개 커스터마이즈 Hard forking 산업 또는 분야별 특성 반영 1. 블록체인의 분류Ⅰ. Public vs. Private Blockchain
  • 4. 4 (참고) (퍼블릭) 블록체인, 새로운 세계인가? l 새로운 사이버 공간 ü 글로벌 커뮤니티 ü 온체인 거버넌스 ü 코인경제 생태계 § 코인의 발행, ICO, 거래소에서의 환전, 실물경제에서의 활용 l 중개자 없는 결정과 집행 ü 중개자: 계주, 청산소, 정부, 법원 l 기존 규제(규칙)와의 차이 ü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 듦 ü 프로그램(코드)으로 강제됨 ü 규칙을 정하는 주체와 속도 – 주도 세력/커뮤니티, 속도가 매우 빠름 l 한번 결정(기록)한 것은 되돌릴 수 없음 (restore가 없음) ü 변경이 자주 필요한 일에는 적합하지 않음
  • 5. 5 (참고) 블록체인 vs. IT시스템 블록체인 IT시스템 무결성 많은 (여러) 노드에 기록되어 있어 서 위변조하기 어려움 권한을 악용, 도용한 위변조 발생 투명성 누구든지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트 랜잭션을 열람, 추적할 수 있음 허용된 대상과 권한 내에서만 열 람 가능 가용성 블록체인 네트워크 어디에서 연결 하여서도 정보 취득 가능 (P2P 가용성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 구 축 필요 (한계가 있음) 비밀성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으므로 매우 좋지 않음 비밀성을 구현하기에 좋음 성능 많은 (여러) 노드에 동시에 기록해 야 하므로 성능이 떨어짐 성능을 올리기에 좋음 대용량 데 이터 처리 블록의 크기, 노드의 저장공간의 제 약이 있어서 적합하지 않음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이 어렵지 않음
  • 6. 6 (참고) 블록체인 vs. IT시스템 블록체인 IT시스템 무결성 많은 (여러) 노드에 기록되어 있어 서 위변조하기 어려움 권한을 악용, 도용한 위변조 발생 투명성 누구든지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트 랜잭션을 열람, 추적할 수 있음 허용된 대상과 권한 내에서만 열 람 가능 가용성 블록체인 네트워크 어디에서 연결 하여서도 정보 취득 가능 (P2P) 가용성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 구 축 필요 (한계가 있음) 비밀성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으므로 매우 좋지 않음 비밀성을 구현하기에 좋음 성능 많은 (여러) 노드에 동시에 기록해 야 하므로 성능이 떨어짐 성능을 올리기에 좋음 대용량 데 이터 처리 블록의 크기, 노드의 저장공간의 제 약이 있어서 적합하지 않음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이 어렵지 않음
  • 7. 7 (참고) Public Blockchain vs. Cryptocurrency l 퍼블릭 블록체인은 반드시 암호화폐가 필요한가? ü 아직은… ü 정부 예산 블록체인? l 모든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나? ü ripple by Ripple Labs ü lumen by 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
  • 8. 8 (참고) 퍼블릭 블록체인 – Bitcoin network
  • 9. 9 분야 과제 합의 프로토콜 • 친환경 (Proof of Work의 문제점) • 성능, robustness, scalability • 탈중앙화, 멤버십의 개방성 프라이버시 • 개인정보, 중요 정보의 비밀성 유지 • KYC-AML(Know Your Customer Anti-Money Laundering) 보안성 • SW보안: 오픈소스 à 보안취약점의 오픈 • 합의 알고리즘의 취약점 •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플랫폼 •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성능, 안정성 • 네트워크 사용료 • 개발 편의성 애플리케이션 (DApp) • 애플리케이션 오류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영향 인센티브 • 암호화폐 / 기타 2. 퍼블릭 블록체인의 과제 블록체인 기술은 아직 성숙되지 않아서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있음.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Ⅰ. Public vs. Private Blockchain
  • 10. 10 Ⅱ. 암호화폐 시장 글로벌 현황 출처: coinmarketcap.com, 2018.06.07
  • 11. 11 (참고) 변화 2018년 2월 2018년 6월 증가율 암호화폐 수 1,508 1,645 9.1% 거래소 수 8,417 11,238 33.5% 마켓 캡(USD) 519,036,437,625 345,752,587,871 -33.4% (참고) NEM 9,796,984,939 2,336,742,000 -76.1% BTC 비율 33.20% 38.00% 4.8% 상위 10개 코인 비중 79.09% 80.17% 1.1% 10위 내 변경 수 제외: NEM, NEO 신규: IOTA, TRON
  • 12. 12 l ICO의 특징 ü 목적: 개발자금 모집 vs. 사업자금 모집 ü 성격: 글로벌 크라우드 펀딩 – 해외에서 다수 참여 ü 판단 근거: 백서, 개발팀, 소스 코드, 커뮤니티 등에서의 평가/논쟁 ü fund raising 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l ICO 효과 ü 고용 창출 § 절대 다수가 국내 인력 § 2-30대 청년들이 60% 이상 § 양질의 일자리 ü 암호 화폐 개발의 특성 § 오픈 소스 § 글로벌 비즈니스 § 도전적인 과제 § 자발적, 적극적인 참여 1. 특징과 효과Ⅲ. Initial Coin Offering
  • 13. 13 (참고) ICO stats 2017~2018 출처: https://www.icodata.io/stats/2017
  • 14. 14 (참고) ICOs by Category 2017 출처: https://www.coinschedule.com/stats.html?year=2017
  • 15. 15 Ⅲ. Initial Coin Offering l ICO는 허용 l 불법 행위에 대한 처벌 ü 유사수신 행위 l ICO 대한 규제 ü 일정 금액 이상 ICO한 기업은 외부 감사 적용 ü ICO 기간의 제한 §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마침 l 사기 암호화폐(Scam)에 대한 대응 ü 보고서 제공 - 협회, 전문가그룹 2. 규제에 대한 의견
  • 16. 16 (참고) 규제 방향의 선택 출처: 전성인, 암호화폐의 경제적 의미와 정책대응, 이학영 의원 주최 정책토론회, 2018.2.5
  • 17. 17 (참고) 향후 정책적 보완 출처: 전성인, 암호화폐의 경제적 의미와 정책대응, 이학영 의원 주최 정책토론회, 2018.2.5
  • 18. 18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세대 구분 ü 1세대: 비트코인 ü 2세대: 플랫폼 ü 3세대(?) § Privacy § 더 좋은 합의 알고리즘 – 친환경, 속도, 개방성, 탈집중화 § 더 좋은 플랫폼 – 실제로 쓸 만한 (처리 속도, 편의성, 비용, 안정성 등) § 거버넌스 – 커뮤니티 전체가 공정하게 참여할 수 있는 l 스위스 FINMA의 분류 (출처: ICO guidelines by Financial Market Supervisory Authority) ü Payment tokens §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위한 지불 수단 또는 가치 이전 수단으로 의도된 토큰 ü Utility tokens § 블록 체인 기반 인프라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 디지털 방식으로 액 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토큰 ü Asset tokens § 발행자의 부채 또는 지분과 같은 자산을 나타냄 § 예를 들어 미래의 회사 수입이나 미래의 자본 흐름에 대한 분배를 약속한다면, 경 제적 기능면에서 이러한 토큰은 주식, 채권 또는 파생 상품과 유사함 1. 분류
  • 19. 19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코인 vs. 토큰 ü 다른 플랫폼을 사용하는 코인 - 약 750개 (coinmarketcap.com) ü 80% 이상이 이더리움을 사용 – ERC20 § BitShares, Waves, Qtum, ü 토큰 발행의 의미 § 긍정적: 시장에 빨리 진입하고, 기술 개발, 애플리케이션에 집중 § 부정적: 투기성, 사기(scam)일 가능성 l 발행기관 ü 기업: ripple ü 재단: ethereum, lumen, BOScoin ü 국가: Petro(베네수엘라), Turkcoin(터키), Entapay(캄보디아), Soveriegn(마셜제도 공화국) ü 지역: 노원(NW, 서울 노원구) – 자원봉사, 기부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 1. 분류
  • 20. 20 (참고) 타 토큰을 이용한 코인 발행 출처: coinmarketcap.com, 2018.06.07
  • 21. 21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2. 주요 모듈 컨텐츠 DApps Governance VM & Contract Platform 컨센서스 프로토콜 블록체인 네트워크
  • 22. 22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Consensus ü Proof of Work (PoW) – bitcoin, ethereum, litecoin, zcash, etc. (가장 많이 사용) ü Proof of Stake (PoS) – Qtum, Cardano ü Delegated Proof of Stake (DPoS) – EOS, Steem, BitShares, TRON ü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FBA) – lumen ü Modified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mFBA) – BOScoin l Platform – Virtual machine & Smart Contract ü 속도, 안정성, 비용 ü ethereum, Litecoin, Stellar, Cardano, BOScoin l Governance ü On-chain vs. off-chain § Hard-forking을 줄일 수 있음 ü Dash, Qtum ü Cardano, BOScoin 3. 주요 기술
  • 23. 23 (참고) Consensus Protocol 기준 설명 Safety A set of nodes enjoy safety if no two of them ever externalize different values for the same slot. Liveness A node enjoys liveness if it can externalize new values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any faulty nodes. Eventually non-faulty nodes output a value. Performance 합의의 속도 (TPS) Scalability 참여 노드가 증가함에 따른 합의 알고리즘의 안정성, 성능의 유지 Openness 참여와 탈퇴의 자유로움
  • 24. 24 DApps on Ethereum(참고) 플랫폼 이더리움에서 작동하는 앱(DApp)이 1,300여 개 소개되어 있음 출처: State of the Apps
  • 25. 25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프라이버시 코인 익명화 기술 익명화 대상 Bytecoin Stealth Address 수신자 Coinjoin Bitcoin Mixing 송금자 Dash Masternode Mixing 송금자 komodo zk-SNARKs 송신자, 송금액 Monero Ring signatures, Stealth addresses, Ring Confidential Transaction 송금자, 수신자, 송금액 zcash zk-SNARKs, Stealth addresses 송신자, 수신자, 송금액 3. 주요 기술 출처: Keepit 블록체인 칼럼: 익명화폐의 역사, Steemit, 2017
  • 26. 26 (참고) Mt. GOX 사고의 범인 체포? Mt. Gox (63만 BTC) BTC-e (30만 BTC) • 2014년 2월, 해킹으로 85만개 비트코인을 분실했다며 파산 신청 • 2017년 7월, Alexander Vinnik, BTC-e 러시아 거래소 직원(주인으로 의심됨)이 범인으로 그리스에서 체포됨
  • 27. 27 Ⅳ. 암호화폐의 주요 특징 l Bitcoin: 최초의 암호화폐. 암호화폐의 기축통화 역할 l Ethereum: 최초의 프로그램 실행(Smart Contract)이 가능한 암호화폐(2세 대). ICO에 많이 사용 l EOS: 네트워크를 무료로 사용. 21명의 Block Producer. 이더리움 대체를 목 표 l ripple: The world’s only enterprise blockchain solution for global payments l Lumen(Stellar): “THE FUTURE OF BANKING IS HERE” l IOTA: 사물인터넷에서 이뤄지는 사물 사이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비용 지불 의 백본이 되려고 함 l Steem: Steem is a blockchain-based rewards platform for publishers to monetize content and grow community l Zcash, Monero: 익명성을 강화 l AGI: SingularityNET lets anyone create, share, and monetize AI services at scale 4. 사용성
  • 28. 28 Ⅴ. 암호화폐와 보안 l 보안 공격 ü Sybil Attack ü DDoS Attack ü Consensus에 대한 공격 – liveness, safety ü Smart Contract ü Virtual Machine ü Governance – 인해전술? l 공개소스의 보안성 ü 공개소스가 더 보안에 안전하다? ü 개발자 vs. 기여자 vs. 공격자 § 기여자의 비율 l 제품보안 ü 개발단계별 보안 활동: 요구사항 정의 – 설계 – 구현 – 검증 단계 ü 출시 후 보안 활동: 보안취약점 신고 및 대응 체계 주요 이슈
  • 29. 29 (참고) Bitcoin Gold hacked! 2018.5.23 2018.5.23 2018.5.10
  • 30. 30 (참고) ‘The DAO’ Project l “DAO는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준말로, 탈중앙화자율조직을 뜻 한다. 즉 특정한 중앙집권주체 의 개입없이 개인들이 모여 자 율적으로 제안과 투표 등의 의 사표시를 통해 다수결로 의결 을 하고 이를 통해 운용되는 조 직이다.” l “‘The DAO’는 그러한 이더리움 DAO의 개념을 실체화시킨 프 로젝트로써, 이더리움 Dev팀 메인 개발자 중 한명이었던 Stephan Tual을 주축으로 팀이 이루어져 있다. THE dao는 이 더리움 블록체인 상에 컨트랙 트 코드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 더(Ether)’와 자체 발행 코인인 ‘Dao Token’을 화폐로 사용한 다.”출처: 한승환, The DAO란 무엇인가?, 2016.07.03
  • 31. 31 Ⅵ. 향후 전망 l 규제의 발전 방향 ü KYC-AML ü 세금 부과, 투자자의 보호 ü ICO를 생태계로 한 국가의 확산 – 스위스, 싱가폴, etc. § 벤처캐피탈과의 경쟁 l 프라이버스 강화 ü Privacy enhanced Blockchain ü Privacy enhanced Smart Contract l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 ü 속도, 안정성, 보안, 확장성 l 대세론과 롱테일 ü 플랫폼 사업 – 10~20위권의 경쟁 ü 롱테일 l 사용성의 확대 ü 빗썸: 여기어때, PG사와의 협업, 결제 ü 금융생태계 l 코인(토큰) 경제의 발달 1. 전망
  • 32. 32 (참고) Coin Economy 코인발행자 /블록체인 Fundraiser/ 코인 보유자 코인 거래소 실물경제 (사용처) DApp /개발사 BTC /ETH 코인 코인 제품/ 서비스 코인 법정화폐 코인 법정 화폐 상장 마케팅수수료 Blockchain Network 수수료 서비스 코인 자산/제품 서비스
  • 33. 33 (참고) 블록체인 기술개발 로드맵(안),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2018.06
  • 34. 34 분야 도전 과제 대안 합의 알고리즘 • 친환경 알고리즘 • 성능, robustness • 탈중앙화, 멤버십의 개방성 mFBA 프라이버시 • 개인정보, 중요 정보의 비밀성 유지 • KYC AML문제 대응 한국스마트인증과 협업 보안성 • SW보안: 오픈소스 • 합의 알고리즘의 취약점 •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KAIST 김용대 교수팀과 협 업 플랫폼 • P2P 네트워크의 성능, 안정성 • 성능 BOS Platform (5,000 트랜잭션/초) 애플리케이션 (DApp) • 참여자의 개발 용이성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계약서 • 애플리케이션 품질 • 네트워크 이용 비용의 최소화 Trust Contract (OWL, Timed Automata) 인센티브 • 암호화폐 / 그 밖의 인센티브 • BOScoin • Public Financing 2. BOScoin의 도전Ⅵ. 향후 전망 • mFBA: modified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 P2P: Peer-to-Peer,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 OWL: Web Ontology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