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침묵으로 가르치기
나 같은 반란군을 키우는 교육자(경력
4년)
교수님이 고구려에 태어났으면 '반란
군'이었을 것 같다. 기존의 틀에 얽매
이지 않고 뭔지 모를 다름이 있는 것
이 딱 반란군이 맞을 것 같다.
2013년 1학기 소프트웨어 공학 수업
에 대한 마지막 회고 자리에서…
좋은 교육이란 다른 사람에게 중요한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즉, 강의를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 침묵으로 가르치기 본문에서
교육자로서 나의 꿈은 말을 최소화하면서도 학생의 배움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여러가지 시도들 – 강의 최소화
• 각 주차별 요구사항을 과제로 제시하고,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짝 프로그래밍
• 온라인/오프라인 코드 리뷰
• 동영상을 통한 개인 학습 후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프로젝트 기반 수업
• 구현 요구사항 제시 후 힌트를 통한 문제 해결 전략
수 많은 좌절과 작은 성공 경험
좌절했을 때 고민을 같이 나눌 동료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아쉬움
학생들은 생각보다 주도적이지 않음.
• 각 주차별 요구사항을 과제로 제시하고,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짝 프로그래밍 – 짝 구성에 따라 만족도가 상이함
• 온라인/오프라인 코드 리뷰 – 적은 양의 코드에 대해 자주해야 효과가 높음
• 동영상을 통한 개인 학습 후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프로젝트 기반 수업 – 프로젝트에 대한 철저한 설계와 피드백이 수반되어야 함.
• 구현 요구사항 제시 후 힌트를 통한 문제 해결 전략 – 만족도가 가장 높음.
실습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단계별 힌트를
통해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한 경우
참고.
https://github.com/slipp/jwp-book
현재 실험은 단계(수준)별 학습과 의식적인 연습을 통한 빠른 성장을 진행
중
잘 설계된 커리큘럼에 따라 의식적인 연습을 하면
누구나, 빠른 시간 내에 전문가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반복주기 1 – 로컬 개발 환경 세팅, , github 공유, 원격 서버 배
포
반복주기 2 – template engine 적용해 동적인 페이지, github
공유, 원격 서버 배포
익숙해지는 시
점까지 반복
익숙해지는 시
점까지 반복
반복주기 3 – DB 연결 후 CRUD 기능, github 공유, 원격 서
버 배포
익숙해지는 시
점까지 반복
모든 반복 주기별 구현 과정은 동영상으로 제공해 스스로 학습 가능하도록
함
각 반복 주기별 연습 방법을 공유
• 연습 1 - 동영상을 보면서 전체 과정을 성공하는 것에 집중한다.
• 연습 2 - 동영상을 보면서 각 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메모한다. 예를 들어
익숙하지 않은 리눅스 명령어와 같은 내용 또는 생소한 용어들
• 연습 3 - 가능한 동영상을 보지 않고, 메모를 참고해 전체 과정을 진행한다.
• 연습 4 - 메모를 참고하면서 좀 더 추가적으로 학습하고 싶은 내용에 대해 한,두
가지씩 추가학습한 후 정리한다.
• 이후는 자신이 만족하는 수준까지 연습 4를 반복한다.
• 최종 단계는 메모를 보지 않고도 전체 과정을 성공하도록 한다.
• 최종 단계 이후에도 연습을 하고 싶다면 시작해서 끝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연습을 한다.
• 이 같은 연습을 익숙해지는 시점까지 매일 일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1시간)을 투자한다. 한번에 많이 하기보다 한번에 한 반복주기로 자주하는
것이 좋다.
교육에 대한 나의 개똥 철학
• 온라인에 대한 환상을 버려라. 온라인 컨텐츠는 더 좋은 오프라인 교육을 하기 위한
보조 도구다.
• 교사의 역할은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More Related Content

PPTX
커뮤니티 활동과 스터디
Javajigi Jaesung
 
PPTX
2014년에 만든 나만의 이력서
Javajigi Jaesung
 
PPTX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Javajigi Jaesung
 
PPTX
어느 40대 아저씨 이야기
Javajigi Jaesung
 
PDF
개발자 이승우 이력서 (2016)
SeungWoo Lee
 
PDF
나는 왜 TDD에 집착하는가?
Javajigi Jaesung
 
PPTX
나, 우리, 스터디
Javajigi Jaesung
 
PDF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DaeMyung Kang
 
커뮤니티 활동과 스터디
Javajigi Jaesung
 
2014년에 만든 나만의 이력서
Javajigi Jaesung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Javajigi Jaesung
 
어느 40대 아저씨 이야기
Javajigi Jaesung
 
개발자 이승우 이력서 (2016)
SeungWoo Lee
 
나는 왜 TDD에 집착하는가?
Javajigi Jaesung
 
나, 우리, 스터디
Javajigi Jaesung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DaeMyung Kang
 

What's hot (20)

PDF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NAVER D2
 
PDF
7월 우아한테크세미나 "주니어개발자로 성장하는 우아한 방법들" 첫번째 세션
Devrelationswoowahan
 
PPTX
어떻게 배움을 만들어 갈 것인가
Javajigi Jaesung
 
PPTX
학생 개발자, 인턴십으로 성장하기
재원 최
 
PDF
[취업특강] IT분야에서 행복하게 일하기 - SW 개발자를 중심으로
Sungwoo Park
 
PDF
Zeropage - wikinote 발표자료
NAVER D2
 
PDF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Yurim Jin
 
PDF
200819 NAVER TECH CONCERT 02_안드로이드의 '안'자도 몰랐던 나는 어떻게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되었을까?
NAVER Engineering
 
PDF
Better softwareengineer han
DaeMyung Kang
 
PDF
개발자 1.5배 즐기기
용근 권
 
PDF
Online course 이야기
Hakhyun Kim
 
PDF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강의 오리엔테이션
Taegon Kim
 
PDF
부스트캠프 2020 설명회 발표자료
CONNECT FOUNDATION
 
PDF
부스트캠프 2019 설명회
CONNECT FOUNDATION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4_야 너두 할 수 있어. 비전공자, COBOL 개발자를 거쳐 네이버에서 FE 개발하게 된...
NAVER Engineering
 
PPTX
How to study
DaeMyung Kang
 
PPTX
GDG-DevFest, 만들면서 자랑하면서 성장하는 개발자
Minsuk Lee
 
PDF
게임 개발자 K씨의 웹 개발 탐험
Hakhyun Kim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NAVER Engineering
 
PDF
(책 소개)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
Jay Park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NAVER D2
 
7월 우아한테크세미나 "주니어개발자로 성장하는 우아한 방법들" 첫번째 세션
Devrelationswoowahan
 
어떻게 배움을 만들어 갈 것인가
Javajigi Jaesung
 
학생 개발자, 인턴십으로 성장하기
재원 최
 
[취업특강] IT분야에서 행복하게 일하기 - SW 개발자를 중심으로
Sungwoo Park
 
Zeropage - wikinote 발표자료
NAVER D2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Yurim Jin
 
200819 NAVER TECH CONCERT 02_안드로이드의 '안'자도 몰랐던 나는 어떻게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되었을까?
NAVER Engineering
 
Better softwareengineer han
DaeMyung Kang
 
개발자 1.5배 즐기기
용근 권
 
Online course 이야기
Hakhyun Kim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강의 오리엔테이션
Taegon Kim
 
부스트캠프 2020 설명회 발표자료
CONNECT FOUNDATION
 
부스트캠프 2019 설명회
CONNECT FOUNDATION
 
200820 NAVER TECH CONCERT 14_야 너두 할 수 있어. 비전공자, COBOL 개발자를 거쳐 네이버에서 FE 개발하게 된...
NAVER Engineering
 
How to study
DaeMyung Kang
 
GDG-DevFest, 만들면서 자랑하면서 성장하는 개발자
Minsuk Lee
 
게임 개발자 K씨의 웹 개발 탐험
Hakhyun Kim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NAVER Engineering
 
(책 소개)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
Jay Park
 
Ad

Viewers also liked (8)

PPTX
SLiPP 서비스를 Java에서 Scala로 전환하면서 경험담
Javajigi Jaesung
 
PPTX
HTTP web server 구현
Javajigi Jaesung
 
PPTX
Scala, Spring-Boot, JPA의 불편하면서도 즐거운 동거
Javajigi Jaesung
 
PDF
블로그 주도 개발
JeongHun Byeon
 
PDF
더 나은 개발자 되기
JeongHun Byeon
 
PDF
Front-end Development Process - 어디까지 개선할 수 있나
JeongHun Byeon
 
PPTX
[114]angularvs react 김훈민손찬욱
NAVER D2
 
PDF
Scope and Closure of JavaScript
Dahye Kim
 
SLiPP 서비스를 Java에서 Scala로 전환하면서 경험담
Javajigi Jaesung
 
HTTP web server 구현
Javajigi Jaesung
 
Scala, Spring-Boot, JPA의 불편하면서도 즐거운 동거
Javajigi Jaesung
 
블로그 주도 개발
JeongHun Byeon
 
더 나은 개발자 되기
JeongHun Byeon
 
Front-end Development Process - 어디까지 개선할 수 있나
JeongHun Byeon
 
[114]angularvs react 김훈민손찬욱
NAVER D2
 
Scope and Closure of JavaScript
Dahye Kim
 
Ad

Similar to 패캠 네트워킹 데이 - 침묵으로 가르치기 (20)

PPSX
기술사수검전략3
skccsocial
 
PDF
[강의소개] 파이썬으로 시작하는 웹 프로그래밍 CAMP 1기
FAST CAMPUS
 
PDF
플립러닝,해봤더니...
hyungjoo park
 
PPT
애자일프랙티스
Samsung Electronics
 
PDF
성장하는 서버 개발자 되기 - Wanted Livetalk
Kyuhyun Byun
 
PPTX
2010 연말행사 온라인스터디
Heo Seungwook
 
PDF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devCAT Studio, NEXON
 
PPT
외국어 교습의 우수성 입증하기
Howard Vickers
 
PDF
ApprenticeshipPatterns/Chapter5
Suan Lee
 
PDF
[OSS개발자포럼, 국민대 여름캠프] 개발자로 멋지게 살아보자 - 구글 서주영 (주석 포함)
Daniel Juyung Seo
 
PDF
Being creative workshop
Seung Joon Choi
 
PDF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이해
hyungjoo park
 
PPTX
개발자들 오리엔테이션
Park JoongSoo
 
PPTX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engedukamall
 
PDF
Trumpia fp study
JaeYeoul Ahn
 
PPTX
Snow ppt 윤민이
SNOW.or.kr
 
PPTX
GETS 성공을 위한 계획 2017
Rotary International
 
PDF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Ji Lee
 
PDF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NAVER D2
 
PDF
Github 으로 학교 팀 프로젝트 하기
nexusz99
 
기술사수검전략3
skccsocial
 
[강의소개] 파이썬으로 시작하는 웹 프로그래밍 CAMP 1기
FAST CAMPUS
 
플립러닝,해봤더니...
hyungjoo park
 
애자일프랙티스
Samsung Electronics
 
성장하는 서버 개발자 되기 - Wanted Livetalk
Kyuhyun Byun
 
2010 연말행사 온라인스터디
Heo Seungwook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devCAT Studio, NEXON
 
외국어 교습의 우수성 입증하기
Howard Vickers
 
ApprenticeshipPatterns/Chapter5
Suan Lee
 
[OSS개발자포럼, 국민대 여름캠프] 개발자로 멋지게 살아보자 - 구글 서주영 (주석 포함)
Daniel Juyung Seo
 
Being creative workshop
Seung Joon Choi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이해
hyungjoo park
 
개발자들 오리엔테이션
Park JoongSoo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engedukamall
 
Trumpia fp study
JaeYeoul Ahn
 
Snow ppt 윤민이
SNOW.or.kr
 
GETS 성공을 위한 계획 2017
Rotary International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Ji Lee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NAVER D2
 
Github 으로 학교 팀 프로젝트 하기
nexusz99
 

패캠 네트워킹 데이 - 침묵으로 가르치기

  • 2. 나 같은 반란군을 키우는 교육자(경력 4년) 교수님이 고구려에 태어났으면 '반란 군'이었을 것 같다. 기존의 틀에 얽매 이지 않고 뭔지 모를 다름이 있는 것 이 딱 반란군이 맞을 것 같다. 2013년 1학기 소프트웨어 공학 수업 에 대한 마지막 회고 자리에서…
  • 3. 좋은 교육이란 다른 사람에게 중요한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즉, 강의를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 침묵으로 가르치기 본문에서
  • 4. 교육자로서 나의 꿈은 말을 최소화하면서도 학생의 배움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 5. 여러가지 시도들 – 강의 최소화 • 각 주차별 요구사항을 과제로 제시하고,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짝 프로그래밍 • 온라인/오프라인 코드 리뷰 • 동영상을 통한 개인 학습 후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프로젝트 기반 수업 • 구현 요구사항 제시 후 힌트를 통한 문제 해결 전략
  • 6. 수 많은 좌절과 작은 성공 경험 좌절했을 때 고민을 같이 나눌 동료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아쉬움
  • 7. 학생들은 생각보다 주도적이지 않음. • 각 주차별 요구사항을 과제로 제시하고,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짝 프로그래밍 – 짝 구성에 따라 만족도가 상이함 • 온라인/오프라인 코드 리뷰 – 적은 양의 코드에 대해 자주해야 효과가 높음 • 동영상을 통한 개인 학습 후 수업 중에는 토론과 라이브 코딩 • 프로젝트 기반 수업 – 프로젝트에 대한 철저한 설계와 피드백이 수반되어야 함. • 구현 요구사항 제시 후 힌트를 통한 문제 해결 전략 – 만족도가 가장 높음.
  • 8. 실습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단계별 힌트를 통해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한 경우 참고. https://github.com/slipp/jwp-book
  • 9. 현재 실험은 단계(수준)별 학습과 의식적인 연습을 통한 빠른 성장을 진행 중
  • 10. 잘 설계된 커리큘럼에 따라 의식적인 연습을 하면 누구나, 빠른 시간 내에 전문가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 11. 반복주기 1 – 로컬 개발 환경 세팅, , github 공유, 원격 서버 배 포 반복주기 2 – template engine 적용해 동적인 페이지, github 공유, 원격 서버 배포 익숙해지는 시 점까지 반복 익숙해지는 시 점까지 반복 반복주기 3 – DB 연결 후 CRUD 기능, github 공유, 원격 서 버 배포 익숙해지는 시 점까지 반복
  • 12. 모든 반복 주기별 구현 과정은 동영상으로 제공해 스스로 학습 가능하도록 함
  • 13. 각 반복 주기별 연습 방법을 공유 • 연습 1 - 동영상을 보면서 전체 과정을 성공하는 것에 집중한다. • 연습 2 - 동영상을 보면서 각 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메모한다. 예를 들어 익숙하지 않은 리눅스 명령어와 같은 내용 또는 생소한 용어들 • 연습 3 - 가능한 동영상을 보지 않고, 메모를 참고해 전체 과정을 진행한다. • 연습 4 - 메모를 참고하면서 좀 더 추가적으로 학습하고 싶은 내용에 대해 한,두 가지씩 추가학습한 후 정리한다. • 이후는 자신이 만족하는 수준까지 연습 4를 반복한다. • 최종 단계는 메모를 보지 않고도 전체 과정을 성공하도록 한다. • 최종 단계 이후에도 연습을 하고 싶다면 시작해서 끝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연습을 한다. • 이 같은 연습을 익숙해지는 시점까지 매일 일정 시간(예를 들어 매일 1시간)을 투자한다. 한번에 많이 하기보다 한번에 한 반복주기로 자주하는 것이 좋다.
  • 14. 교육에 대한 나의 개똥 철학 • 온라인에 대한 환상을 버려라. 온라인 컨텐츠는 더 좋은 오프라인 교육을 하기 위한 보조 도구다. • 교사의 역할은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