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크2008311330 정보람
목차스마트워크란?추진배경선진국 추진 동향국내 추진 동향추진전략기대효과
스마트워크란?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체제
스마트워크센터자택 인근 원격사무실에 출근하여 업무 수행장점 본사와 유사한 수준의 사무환경 제공 가능근태관리 용이보안성 확보 용이직접적인 가사,육아에서 벗어나 업무집중도 향상 가능단점별도의 사무 공간 및 관련 시설 비용부담관련 법 및 제도 정비 필요관리조직 및 시스템 구축 필요
재택근무자택에서 본사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업무 수행장점별도의 사무 공간 불필요출퇴근 시간 및 교통비 부담 감소단점노동자의 고립감 증가와 협동업무의 시너지 효과 감소고립감으로 직무 만족도 저하보안성 미흡으로 일부 업무만 제한적 수행 가능
모바일근무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업무 수행장점대면업무 및 이동이 많은 근무환경에 유리단점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위치추척 등 노동자에 대한 감시통제 강화
추진배경인구구조 등의 변화로 근로형태의 변화 필요급격한 고령화로 생산가능 인구 감소, 노동생산성 저하 등이 우려⇒ 적합한 직무개발, 근무시간 축소, 재택근무 등 다양하고 유연한 근무형태를 통해 인력 활용도 제고 필요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최장 근로시간을 가진 국가이면서도 노동생산성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음⇒ Work Hard에서 Work Smart로 선진화 필요
추진배경스마트폰 등 모바일워크 기반 급성장스마트폰은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어정보이용, 소통방식 등 근본적인 변화를 견인스마트폰과모바일 인터넷은 업무 및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고 고객접점을 확대하여 다원화된 고객니즈를 효과적으로 충족저탄소 녹색성장, 위기관리 대응 등을 위해 스마트워크 중요성 부상출장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 낭비, 교통체증 방지 및 탄소배출량 억제를 통한 사회간접 비용 절감재난·재해 등 위기상황 발생 시 현장에서 신속하게 업무할 수 있는 체계구축 및 전문가 집단과 협업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방식 도입 필요
선진국 추진 동향원격근무 활성화 정책 적극 추진미국은 90년대 초반부터 총무청과 인사관리처를 중심으로 공공부문 원격근무 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일본 총무성은 2005년 ‘원격근무 인구 배증 계획’을 수립하고, 2010년까지 원격근무자 비율을 취업인구 대비 20%로 확대 추진 네덜란드는 전체 사업체의 49%가 원격근무 제도 운영 중
선진국 추진 동향현장 중심의 모바일 근무 확산미국 미시건주는 공사현장 점검을 위해 태블릿PC를 지급하여 문서지참 없이 공사 계획, GIS 데이터 등을 실시간 조회미국 국방부 정보시스템계획국(DISA)는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노트북과 가상사설망을 활용한 모바일 근무환경 구축영국 경찰청은 PDA로 전과조회, 관할구역경찰로 연결하여 수사, 검문, 검거기록을 중앙 서버로 자동 연결, 조회 가능베어링포인트 일본법인은 임원 및 컨설턴트 1천명에게 업무용 스마트폰을 지급하여 업무용 메일 서버 접속 기능 제공
선진국 추진 동향영상회의, 소셜네트워크 등을 통한 원격협업 활발영국 국가의료서비스기관은 국가광대역 보안통신망인 N3를 통해 영국 전역에 영상회의 서비스 도입 예정미국 총무청는 연방 EA 데이터참조모델개발을 위해 위키 기반의 정부간 협업 솔루션 활용IBM은 전 세계 170개국에서 근무하는 38만 직원들과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웹2.0 기반의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협업할 수 있는 ODW(On Demand Workplace) 구축 운영
선진국 추진 동향클라우드 컴퓨팅 등 인프라 투자 확대미국은 총무청, 국방부 정보시스템계회국등을 중심으로 공공업무에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적으로 도입영국은 공공부문 효율성 향상, 보안 강화, 비용 절감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한다는 G-클라우드 구축 추진일본 총무성은 정부 정보시스템의 통합․집약화 및 데이터 연계를 통한 새로운 행정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추진
국내 추진 동향원격근무 도입율 저조2008년 원격근무를 도입한 사업체는 0.6%, 국가․지자체 원격근무 도입율은3.6%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근무 태동KT, SKT 등 통신사업자와 삼성, 포스코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근무 환경 구축 확산기상청, 도시철도공사 등 공공부문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현장업무 지원 환경 구축
국내 추진 동향영상회의 등 원격협업 부분적 활용정부청사, 중앙-시도간에 10~30석 규모로 영상회의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장비 노후, 호환성 부족, 이용 대상 제약 등으로 이용율 저조공군은 Office Communications Sever 2007로 군 정보화에 통합 커뮤니케이션 구축 및 군 정보화 혁신 추진우리은행은 은행내부 통신망을 활용하여 해외점포를 포함한 전 영업점에 실시간 영상회의 시스템 구축클라우드 컴퓨팅 등 인프라 투자 필요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약 4년 정도의 기술 격차 존재삼성 SDS, KT, SKT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범 적용 중
스마트워크
추진전략시간·장소 등의 제약없이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및 세부적인 기준 마련스마트워크센터, 모바일워크, 원격협업 등 IT 기반의 근무환경 조성대면문화 등 일하는 방식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 전환
기대효과출·퇴근 거리 감소, 협업 시스템에 의한 원거리 출장 대체로 인해교통·환경·에너지 등 사회간접 비용절감 효과스마트워크센터 근무시 자택, 출장지 등에서 제한된 행정업무처리한계 극복을 통한 업무생산성 향상 기대모바일 워크를 통해 조직 및 개인 간에 활발한 의사소통 및 빠른 의사결정 수단 제공실감형 영상회의 도입으로 의사소통 75% 개선, 업무생산성 68% 향상, 문제해결 소요시간 58% 단축, IT지원 77% 감소

More Related Content

PDF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몇가지 이야기
PPSX
Smart factory Solution from InTouch Systems Pvt. Ltd.
PDF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PPTX
인턴4주차스'마트 워크의 이론과 실제발표'
PPTX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PDF
스마트워킹의 의미와 효과적 실행 방향
PDF
05 박승권교수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몇가지 이야기
Smart factory Solution from InTouch Systems Pvt. Ltd.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인턴4주차스'마트 워크의 이론과 실제발표'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스마트워킹의 의미와 효과적 실행 방향
05 박승권교수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Similar to 스마트워크 (20)

PDF
12 스마트워크센터 품질등급제 시행방안
PPTX
스마트워크 강의안(2012.01.27)
PDF
1216스마트워크와커뮤니티
PDF
스마트워크 전주영상정보진흥원(Kt김진) 최종
PPTX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PDF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PDF
[월간금융 2011 01월호]스마트워크(4)
PDF
[월간금융 2011 1월호]스마트워크
PPTX
Cloud Computing을 이용한 Smart Work
PPTX
Cloud Computing 을 이용한 Smart Work
PDF
스마트워크 보안 이슈 및 대응
PPT
스마트워크가 무엇을 변화시키나
PPTX
구잘직 아카데미 발표자료 이정훈_20130322
PDF
[스마트워킹 실전] 1.SNS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연동원리
PDF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PDF
스마트워크 스마트라이프
PDF
IT 소비자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직원 경험 최적화 전략 - 가트너
PDF
스마트워크1 오마이스쿨
PDF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PDF
20100616 모바일빅뱅과기업경영의미래
12 스마트워크센터 품질등급제 시행방안
스마트워크 강의안(2012.01.27)
1216스마트워크와커뮤니티
스마트워크 전주영상정보진흥원(Kt김진) 최종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월간금융 2011 01월호]스마트워크(4)
[월간금융 2011 1월호]스마트워크
Cloud Computing을 이용한 Smart Work
Cloud Computing 을 이용한 Smart Work
스마트워크 보안 이슈 및 대응
스마트워크가 무엇을 변화시키나
구잘직 아카데미 발표자료 이정훈_20130322
[스마트워킹 실전] 1.SNS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연동원리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스마트워크 스마트라이프
IT 소비자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직원 경험 최적화 전략 - 가트너
스마트워크1 오마이스쿨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20100616 모바일빅뱅과기업경영의미래
Ad

스마트워크

  • 3. 스마트워크란?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체제
  • 4. 스마트워크센터자택 인근 원격사무실에 출근하여 업무 수행장점 본사와 유사한 수준의 사무환경 제공 가능근태관리 용이보안성 확보 용이직접적인 가사,육아에서 벗어나 업무집중도 향상 가능단점별도의 사무 공간 및 관련 시설 비용부담관련 법 및 제도 정비 필요관리조직 및 시스템 구축 필요
  • 5. 재택근무자택에서 본사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업무 수행장점별도의 사무 공간 불필요출퇴근 시간 및 교통비 부담 감소단점노동자의 고립감 증가와 협동업무의 시너지 효과 감소고립감으로 직무 만족도 저하보안성 미흡으로 일부 업무만 제한적 수행 가능
  • 6. 모바일근무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업무 수행장점대면업무 및 이동이 많은 근무환경에 유리단점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위치추척 등 노동자에 대한 감시통제 강화
  • 7. 추진배경인구구조 등의 변화로 근로형태의 변화 필요급격한 고령화로 생산가능 인구 감소, 노동생산성 저하 등이 우려⇒ 적합한 직무개발, 근무시간 축소, 재택근무 등 다양하고 유연한 근무형태를 통해 인력 활용도 제고 필요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최장 근로시간을 가진 국가이면서도 노동생산성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음⇒ Work Hard에서 Work Smart로 선진화 필요
  • 8. 추진배경스마트폰 등 모바일워크 기반 급성장스마트폰은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어정보이용, 소통방식 등 근본적인 변화를 견인스마트폰과모바일 인터넷은 업무 및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고 고객접점을 확대하여 다원화된 고객니즈를 효과적으로 충족저탄소 녹색성장, 위기관리 대응 등을 위해 스마트워크 중요성 부상출장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간 낭비, 교통체증 방지 및 탄소배출량 억제를 통한 사회간접 비용 절감재난·재해 등 위기상황 발생 시 현장에서 신속하게 업무할 수 있는 체계구축 및 전문가 집단과 협업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방식 도입 필요
  • 9. 선진국 추진 동향원격근무 활성화 정책 적극 추진미국은 90년대 초반부터 총무청과 인사관리처를 중심으로 공공부문 원격근무 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일본 총무성은 2005년 ‘원격근무 인구 배증 계획’을 수립하고, 2010년까지 원격근무자 비율을 취업인구 대비 20%로 확대 추진 네덜란드는 전체 사업체의 49%가 원격근무 제도 운영 중
  • 10. 선진국 추진 동향현장 중심의 모바일 근무 확산미국 미시건주는 공사현장 점검을 위해 태블릿PC를 지급하여 문서지참 없이 공사 계획, GIS 데이터 등을 실시간 조회미국 국방부 정보시스템계획국(DISA)는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노트북과 가상사설망을 활용한 모바일 근무환경 구축영국 경찰청은 PDA로 전과조회, 관할구역경찰로 연결하여 수사, 검문, 검거기록을 중앙 서버로 자동 연결, 조회 가능베어링포인트 일본법인은 임원 및 컨설턴트 1천명에게 업무용 스마트폰을 지급하여 업무용 메일 서버 접속 기능 제공
  • 11. 선진국 추진 동향영상회의, 소셜네트워크 등을 통한 원격협업 활발영국 국가의료서비스기관은 국가광대역 보안통신망인 N3를 통해 영국 전역에 영상회의 서비스 도입 예정미국 총무청는 연방 EA 데이터참조모델개발을 위해 위키 기반의 정부간 협업 솔루션 활용IBM은 전 세계 170개국에서 근무하는 38만 직원들과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웹2.0 기반의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협업할 수 있는 ODW(On Demand Workplace) 구축 운영
  • 12. 선진국 추진 동향클라우드 컴퓨팅 등 인프라 투자 확대미국은 총무청, 국방부 정보시스템계회국등을 중심으로 공공업무에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적으로 도입영국은 공공부문 효율성 향상, 보안 강화, 비용 절감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한다는 G-클라우드 구축 추진일본 총무성은 정부 정보시스템의 통합․집약화 및 데이터 연계를 통한 새로운 행정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추진
  • 13. 국내 추진 동향원격근무 도입율 저조2008년 원격근무를 도입한 사업체는 0.6%, 국가․지자체 원격근무 도입율은3.6%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근무 태동KT, SKT 등 통신사업자와 삼성, 포스코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근무 환경 구축 확산기상청, 도시철도공사 등 공공부문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현장업무 지원 환경 구축
  • 14. 국내 추진 동향영상회의 등 원격협업 부분적 활용정부청사, 중앙-시도간에 10~30석 규모로 영상회의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장비 노후, 호환성 부족, 이용 대상 제약 등으로 이용율 저조공군은 Office Communications Sever 2007로 군 정보화에 통합 커뮤니케이션 구축 및 군 정보화 혁신 추진우리은행은 은행내부 통신망을 활용하여 해외점포를 포함한 전 영업점에 실시간 영상회의 시스템 구축클라우드 컴퓨팅 등 인프라 투자 필요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약 4년 정도의 기술 격차 존재삼성 SDS, KT, SKT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범 적용 중
  • 16. 추진전략시간·장소 등의 제약없이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및 세부적인 기준 마련스마트워크센터, 모바일워크, 원격협업 등 IT 기반의 근무환경 조성대면문화 등 일하는 방식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 전환
  • 17. 기대효과출·퇴근 거리 감소, 협업 시스템에 의한 원거리 출장 대체로 인해교통·환경·에너지 등 사회간접 비용절감 효과스마트워크센터 근무시 자택, 출장지 등에서 제한된 행정업무처리한계 극복을 통한 업무생산성 향상 기대모바일 워크를 통해 조직 및 개인 간에 활발한 의사소통 및 빠른 의사결정 수단 제공실감형 영상회의 도입으로 의사소통 75% 개선, 업무생산성 68% 향상, 문제해결 소요시간 58% 단축, IT지원 77%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