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부제: 출퇴근과 무관합니다만,)
임정택 / 코딩이랑 무관합니다만,
WHO AM I?
▸ Hortonworks Staff Software Engineer (Remote)
▸ Committer of Jedis
▸ Committer, and PMC member of Apache Storm
▸ Contribution to various OSPs
▸ Apache Spark, Apache Calcite, Apache Ambari, Apache Zeppelin,
Redis, and so on
▸ https://github.com/heartsavior
▸ https://linkedin.com/heartsavior
무슨 이야기를 할까?
▸ 리모트 근무에 대한 경험 및 장단점 공유
▸ 주의: 개인적인 경험에 따른 내용으로 많은 이견이 있을 수 있음
▸ Thanks to: “State of remote worker 2018” 에서 많은 통계 자료를 참조
▸ 슬라이드 내 참조된 자료 외에도 더 많은 통계 자료들이 있음
▸ https://www.slideshare.net/Bufferapp/state-of-remote-
work-2018-data-analysis
▸ 번역: https://hivearena.com/blog/2018/03/state-of-remote-
work-2018-report-what-its-like-to-be-a-remote-worker-
in-2018-with-korean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이력, 그리고 출퇴근 시간의 변화
근무일수 출퇴근 시간
M모 시스템즈
(병역특례)
3년 40분
L모 전자 2개월 (연수 제외) 1시간
다음 / 카카오

(제주)
5년 6개월
차량 보유 전: 30분
차량 보유 후: 15분
Hortonworks

(Remote)
2년 3개월
(…ing)
???
리모트 근무
오픈 소스 활동
▸ 프로젝트 진행 중 오픈 소스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
▸ 수정하고 패치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매력
을 느끼고 본격적으로 참여
▸ 개인 시간의 상당한 부분을 투자하여 오픈
소스 활동
▸ 제주 근무로 절약한 출퇴근 시간을 모두
투자
▸ 현재의 회사로 이직하는 데 결정적 기회 제
공
▸ 자세한 내용은 마소 390 화 참조
리모트 근무에 대한 환상
▸ 주변의 반응
▸ 집에서 일해도 된다니 완전 부럽다…
▸ 디지털 노마드
▸ 여행 다니면서 일하기!
▸ 월급은 한국/미국 기준으로 받고 저렴한 물가의 나라에서 풍요롭
게 살아볼까?
▸ 왠지 워라밸이 좋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근무의 주요 이슈
▸ 업무 공간
▸ 지역적으로 분산된 팀
▸ 업무 방식
▸ 기타 이슈
업무 공간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근무 초기의 나의 패턴
▸ 집에서 오전 업무 시작
▸ 점심 식사 후 인근 카페에 출몰
▸ 저녁 식사 후 집에서 잔여 업무
집에서 일하기
집에서 일하기
▸ 안락해도 너무 안락한 환경
▸ 수많은 유혹 요소
▸ 집에도 인터럽트가 있다!
출처: [Fun Fun 웹툰 #온국민연금] 이불 밖은 위험해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ro_nps&logNo=220937531895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출처: 가우스전자 159화 재택근무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335885&no=160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카페에서 일하기
카페에서 일하기 - 카공족?
카페에서 일하기 - 복불복 네트워크와의 싸움
▸ 커피는 이미 주문해서 자리를 잡았는데…
▸ VPN 이 연결이 되지 않아요!
▸ SSH 가 막혔어요!
▸ 파일 전송하는데 속도가 10KB 에요!
카페에서 일하기 - 아무도 몰라준다는 “자신과의 싸움”
카페에서 일하기 - 백팩 무게와의 싸움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CO-WORKING SPACE!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CO-WORKING SPACE
▸ 기본적인 업무 환경 조성
▸ 사무공간, 회의실, O/A, 카페 라운지, 사물함
▸ 업무하시는 분들과 공간을 같이 사용: 적당한 소음 제어
▸ 여러 형태의 사무공간 제공
▸ 공유석, 고정석, 독립 공간 (방)
▸ 공유석은 출퇴근 시 의식 필요: 업무환경 세팅, 수거
▸ 귀찮긴 하지만 이게 어디야…
CO-WORKING SPACE - 단점
▸ 위치 및 브랜드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
▸ 개인이 부담하기에 고민될 수 있다
▸ 회사들이 모여있는 지역에 위치
▸ 출퇴근…?
▸ 출퇴근과 무관하다며!?
▸ 출퇴근 여부는 오로지 본인 선택: 귀찮은 날은 패스
▸ 여전히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 러시 아워를 피해서 출퇴근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분산된 팀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타임존 문제
▸ 현재 일광 절약 시간 시행 중
▸ 미국 동부 (EDT) 와 한국 (KST) 은 정규
업무 시간이 겹치지 않음
▸ 미국 서부 (PDT) 와 한국 (KST) 은 정규
업무 시간이 1~2시간 정도 겹침
▸ 일광 절약 시간이 끝나면… 근데 한국은
하지도 않는 걸 왜 내가 고민을…ㅠㅠ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타임존 문제가 한국 리모트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
▸ 미국 직원들과의 협업
▸ 눈 뜨면 바로 메일과 채팅 확인하고 바로 업무 시작
▸ 미국 직원들이 보낸 메일과 채팅들을 따라잡아야 한다
▸ 동기화가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은 오전 중에 모두 수행
▸ 업무를 일찍 시작해야 하는 이유
▸ 인도 직원들과의 협업
▸ 퇴근해도 채팅 등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는 열려 있어야 함
▸ 근무 시간의 (암묵적) 연장!?
풀리지 않는 난제, “모두가 만족하는 회의 시간을 구하시오”
▸ 여러 방안으로 시도
▸ 회의를 지역으로 분리
▸ 팀웍은 어떻게…?
▸ 상대적 소수의 희생
▸ 지속 가능한 방법일까?
풀리지 않는 난제, “모두가 만족하는 회의 시간을 구하시오”
▸ 타협
▸ 미국 - 인도는 daily standup 진행, 한국은 메일로 대체
▸ weekly meeting 을 해당 시간대에 진행, 모두 참석
▸ 제안된 아이디어 (실제로 많은 회사에서 시행 중)
▸ Daily standup 은 slack bot 으로 취합해서 공유
▸ Weekly meeting 을 화상 회의로 진행
화상 회의의 효율성?
▸ 슬프게도, 2018년에도 lag 이 존재
▸ 팀원이 많아지고 여러 지역에 나뉘어 있다 보니 audio call 에 의존
▸ Audio call 마저도 또렷하지 않다
▸ 누구는 출근길 차 안, 누구는 퇴근길, 누구는 집에서 식사 준비중…
▸ 주변 소음과 네트워크 상태가 회의에 반영
▸ Funny Audio call: https://www.youtube.com/watch?
v=kNz82r5nyUw
▸ Funny Video call: https://www.youtube.com/watch?
v=JMOOG7rWTPg
커뮤니케이션 도구 문제
▸ 물리적으로 함께 있어야 하는 모든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을 사용할 수 없다!
▸ 빈 회의실에서 칠판 활용, 카페에서 노트북 같
이 보기, etc…
▸ 대안: 토론 전 문서를 미리 만들고 공유
▸ 보통 Google docs 에 공유하고 댓글 로 피드
백하는 방안으로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수행
▸ 문서를 공유하고 별도 meeting 을 통해 토론
하기도 한다
▸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 정제화된 문서를 강제하기 때문에 오는 장점
도 많다
분산 팀에서의 팀웍 이슈
▸ 모두 리모트인 경우가 오히려 가장 좋은 케이스
▸ 모두가 해답을 찾는데 집중하게 되어, 리모트 업무에 맞춘 문화가
갖추어지게 된다
▸ 예: Automattic, Github
▸ 사무실 내 팀웍 > 전체 팀웍, 게다가 출장 기회도 많지 않다
▸ 일부만 리모트라면?
▸ 알아서 잘 해야 한다… 신경써줄 거라는 기대를 거두고 시작하자
업무 방식
리모트 업무 방식
▸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선호
▸ 내게 주어지는 “task” 들을 “알아서” 잘 처리하면 된다
▸ 찰떡같이 말하고 찰떡같이 알아들어야 한다! 뭘로? 텍스트로
▸ 가끔은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을 필요가 있다
▸ 개발 업무 외 다른 업무들이 들어오지 않는다 (한국 한정 Nice!?)
리모트 업무 방식
▸ 근태를 체크할 사람도 없고, 크게 관심도 갖지 않는다
▸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 성과만이 내 가치를 증명할 방법이다
▸ 인터럽트가 거의 없다!
▸ 채팅이 가장 높은 수준의 인터럽트
▸ 아주 가끔 spot 성 회의로 연결되는 경우들도 있다
▸ 중간에 잠깐 쉬는 것도 모두 본인이 컨트롤 가능
▸ 조금 외롭다… 혼밥의 생활화
JASON FRIED - WHY WORK DOESN’T HAPPEN AT WORK (OCT. 2010)
▸ https://www.ted.com/talks/
jason_fried_why_work_doesn_t_happen_at_work
▸ 사무실에 존재하는 일을 방해하는 요소: M&M
▸ Manager
▸ Meeting
▸ 발표에서는 극단적으로 이야기하고 있긴 하지만, 한번쯤 생각해 볼
만한 주제
▸ 리모트 업무를 하면서 역설적으로 생산성이 증가
기타 이슈
▸ 회사 내 소문을 접할 기회가 턱없이 부족
▸ 그냥 내 일이나 잘하자…
▸ 생산성 극대화!?
▸ 개인의 게으름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동기 부여 및 유지가 상당히 어려움
▸ 주요 고민: 나는 회사에 밥 값을 하고 있는걸까?
▸ 매니저들은 피드백을 줄 때 안좋은 소리는 하지 않는 느낌
▸ 미국 회사 한정: at-will employment
▸ 고용인 / 피고용인 모두 즉시 고용 계약 해지 가능
▸ “밥 값” 에 대한 고민을 더욱 깊게 만드는 요인
팩트 폭격 할 만큼 했다!
이제 희망을 보여줘…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RECAP
▸ 리모트, 특히 분산 팀 리모트는 정말 어렵다
▸ 실제로 리모트 업무 중인 분들 중에서도 리모트 비선호하시는 분들도 있다
▸ 그와 대비되는 장점들이 충분히 있다
▸ 근무 시간과 공간의 자유도는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매력
▸ 업무 성과만 잘 보여주면 수많은 머리 아픈 일들을 잊을 수 있다
▸ 비동기 커뮤니케이션도 좋은 점들이 많이 있다
▸ 조직/팀 문화가 엄청나게 중요하다
▸ 리모트 직원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는 문화/업무 방식 확립 필요
▸ 문화의 성숙도에 따라 생산성 및 만족도가 크게 좌우될 수 있을 듯
ANY QUESTIONS?
THANKS!

More Related Content

PDF
리모트워커즈 발표
PDF
개발자 1.5배 즐기기
PDF
행복한 원격근무의 조건
PDF
율무에 관한 5가지 썰
PPTX
학생 개발자, 인턴십으로 성장하기
PDF
[제6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PDF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PDF
[제3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리모트워커즈 발표
개발자 1.5배 즐기기
행복한 원격근무의 조건
율무에 관한 5가지 썰
학생 개발자, 인턴십으로 성장하기
[제6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제3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What's hot (13)

PDF
[2014-07-04] 세계 정복의 첫걸음
PDF
[제5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PDF
Taste Picker 개발경험기
PPTX
개발자와 커뮤니티 - 기묘한 이야기
PPTX
풀타임 개발 도전기
PDF
조금 일찍 시작한 사회 적응기
PPTX
짝 프로그래밍 소개
PDF
[9x년생 개발자 모임 송년회] Red Black Tree
PDF
[제2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PDF
낮은 가지의 열매: 진도가 안 나가는 모든 개발자에게 [170408 Women Techmakers]
PDF
mcloudoc telework leaflet_kor
PDF
[제4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PDF
더 나은 번역기는 나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2014-07-04] 세계 정복의 첫걸음
[제5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Taste Picker 개발경험기
개발자와 커뮤니티 - 기묘한 이야기
풀타임 개발 도전기
조금 일찍 시작한 사회 적응기
짝 프로그래밍 소개
[9x년생 개발자 모임 송년회] Red Black Tree
[제2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낮은 가지의 열매: 진도가 안 나가는 모든 개발자에게 [170408 Women Techmakers]
mcloudoc telework leaflet_kor
[제4회] 9x년생 개발자 모임
더 나은 번역기는 나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Ad

Similar to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20)

PPTX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PDF
mcloudoc based telework_kor20190731
PDF
DevOps는 원격근무를 추구하면 안되는 걸까?
PDF
리모트 상황에서 효과적인 협업하기 - 비동기식 협업
PDF
[2014 체인지온] 초연결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 임정욱
PPTX
스마트워크
PPTX
인턴4주차스'마트 워크의 이론과 실제발표'
PDF
스마트워킹의 의미와 효과적 실행 방향
PDF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PDF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PDF
1216스마트워크와커뮤니티
PDF
The gig economy and the contingent workforce
PDF
Book 'Ghost Work' summary
PDF
lightning-03.pdf
PDF
[AIS 2018][Team Practice] 당신의 팀은 노동환경 변화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까 - 오픈소스컨설팅
PDF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보고서
PDF
[2020 스타트업 생태계 컨퍼런스] 2-1. 소상공인과의 협업 노하우(더존비즈온 지용구 ...
PDF
NRISE에서 3개월
PDF
20190223 KCD 널채움 발표
PDF
Critical_Chain.pdf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mcloudoc based telework_kor20190731
DevOps는 원격근무를 추구하면 안되는 걸까?
리모트 상황에서 효과적인 협업하기 - 비동기식 협업
[2014 체인지온] 초연결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 임정욱
스마트워크
인턴4주차스'마트 워크의 이론과 실제발표'
스마트워킹의 의미와 효과적 실행 방향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직장인 서바이벌 - 성공으로 이끄는 태도
1216스마트워크와커뮤니티
The gig economy and the contingent workforce
Book 'Ghost Work' summary
lightning-03.pdf
[AIS 2018][Team Practice] 당신의 팀은 노동환경 변화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까 - 오픈소스컨설팅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보고서
[2020 스타트업 생태계 컨퍼런스] 2-1. 소상공인과의 협업 노하우(더존비즈온 지용구 ...
NRISE에서 3개월
20190223 KCD 널채움 발표
Critical_Chain.pdf
Ad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 1. 리모트,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부제: 출퇴근과 무관합니다만,) 임정택 / 코딩이랑 무관합니다만,
  • 2. WHO AM I? ▸ Hortonworks Staff Software Engineer (Remote) ▸ Committer of Jedis ▸ Committer, and PMC member of Apache Storm ▸ Contribution to various OSPs ▸ Apache Spark, Apache Calcite, Apache Ambari, Apache Zeppelin, Redis, and so on ▸ https://github.com/heartsavior ▸ https://linkedin.com/heartsavior
  • 3. 무슨 이야기를 할까? ▸ 리모트 근무에 대한 경험 및 장단점 공유 ▸ 주의: 개인적인 경험에 따른 내용으로 많은 이견이 있을 수 있음 ▸ Thanks to: “State of remote worker 2018” 에서 많은 통계 자료를 참조 ▸ 슬라이드 내 참조된 자료 외에도 더 많은 통계 자료들이 있음 ▸ https://www.slideshare.net/Bufferapp/state-of-remote- work-2018-data-analysis ▸ 번역: https://hivearena.com/blog/2018/03/state-of-remote- work-2018-report-what-its-like-to-be-a-remote-worker- in-2018-with-korean
  • 5. 이력, 그리고 출퇴근 시간의 변화 근무일수 출퇴근 시간 M모 시스템즈 (병역특례) 3년 40분 L모 전자 2개월 (연수 제외) 1시간 다음 / 카카오
 (제주) 5년 6개월 차량 보유 전: 30분 차량 보유 후: 15분 Hortonworks
 (Remote) 2년 3개월 (…ing) ???
  • 7. 오픈 소스 활동 ▸ 프로젝트 진행 중 오픈 소스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 ▸ 수정하고 패치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매력 을 느끼고 본격적으로 참여 ▸ 개인 시간의 상당한 부분을 투자하여 오픈 소스 활동 ▸ 제주 근무로 절약한 출퇴근 시간을 모두 투자 ▸ 현재의 회사로 이직하는 데 결정적 기회 제 공 ▸ 자세한 내용은 마소 390 화 참조
  • 8. 리모트 근무에 대한 환상 ▸ 주변의 반응 ▸ 집에서 일해도 된다니 완전 부럽다… ▸ 디지털 노마드 ▸ 여행 다니면서 일하기! ▸ 월급은 한국/미국 기준으로 받고 저렴한 물가의 나라에서 풍요롭 게 살아볼까? ▸ 왠지 워라밸이 좋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 15. 리모트 근무의 주요 이슈 ▸ 업무 공간 ▸ 지역적으로 분산된 팀 ▸ 업무 방식 ▸ 기타 이슈
  • 18. 리모트 근무 초기의 나의 패턴 ▸ 집에서 오전 업무 시작 ▸ 점심 식사 후 인근 카페에 출몰 ▸ 저녁 식사 후 집에서 잔여 업무
  • 20. 집에서 일하기 ▸ 안락해도 너무 안락한 환경 ▸ 수많은 유혹 요소 ▸ 집에도 인터럽트가 있다!
  • 21. 출처: [Fun Fun 웹툰 #온국민연금] 이불 밖은 위험해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ro_nps&logNo=220937531895
  • 24. 출처: 가우스전자 159화 재택근무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335885&no=160
  • 29. 카페에서 일하기 - 복불복 네트워크와의 싸움 ▸ 커피는 이미 주문해서 자리를 잡았는데… ▸ VPN 이 연결이 되지 않아요! ▸ SSH 가 막혔어요! ▸ 파일 전송하는데 속도가 10KB 에요!
  • 30. 카페에서 일하기 - 아무도 몰라준다는 “자신과의 싸움”
  • 31. 카페에서 일하기 - 백팩 무게와의 싸움
  • 35. CO-WORKING SPACE ▸ 기본적인 업무 환경 조성 ▸ 사무공간, 회의실, O/A, 카페 라운지, 사물함 ▸ 업무하시는 분들과 공간을 같이 사용: 적당한 소음 제어 ▸ 여러 형태의 사무공간 제공 ▸ 공유석, 고정석, 독립 공간 (방) ▸ 공유석은 출퇴근 시 의식 필요: 업무환경 세팅, 수거 ▸ 귀찮긴 하지만 이게 어디야…
  • 36. CO-WORKING SPACE - 단점 ▸ 위치 및 브랜드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 ▸ 개인이 부담하기에 고민될 수 있다 ▸ 회사들이 모여있는 지역에 위치 ▸ 출퇴근…? ▸ 출퇴근과 무관하다며!? ▸ 출퇴근 여부는 오로지 본인 선택: 귀찮은 날은 패스 ▸ 여전히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 러시 아워를 피해서 출퇴근할 수 있다!
  • 39. 타임존 문제 ▸ 현재 일광 절약 시간 시행 중 ▸ 미국 동부 (EDT) 와 한국 (KST) 은 정규 업무 시간이 겹치지 않음 ▸ 미국 서부 (PDT) 와 한국 (KST) 은 정규 업무 시간이 1~2시간 정도 겹침 ▸ 일광 절약 시간이 끝나면… 근데 한국은 하지도 않는 걸 왜 내가 고민을…ㅠㅠ
  • 41. 타임존 문제가 한국 리모트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 ▸ 미국 직원들과의 협업 ▸ 눈 뜨면 바로 메일과 채팅 확인하고 바로 업무 시작 ▸ 미국 직원들이 보낸 메일과 채팅들을 따라잡아야 한다 ▸ 동기화가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은 오전 중에 모두 수행 ▸ 업무를 일찍 시작해야 하는 이유 ▸ 인도 직원들과의 협업 ▸ 퇴근해도 채팅 등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는 열려 있어야 함 ▸ 근무 시간의 (암묵적) 연장!?
  • 42. 풀리지 않는 난제, “모두가 만족하는 회의 시간을 구하시오” ▸ 여러 방안으로 시도 ▸ 회의를 지역으로 분리 ▸ 팀웍은 어떻게…? ▸ 상대적 소수의 희생 ▸ 지속 가능한 방법일까?
  • 43. 풀리지 않는 난제, “모두가 만족하는 회의 시간을 구하시오” ▸ 타협 ▸ 미국 - 인도는 daily standup 진행, 한국은 메일로 대체 ▸ weekly meeting 을 해당 시간대에 진행, 모두 참석 ▸ 제안된 아이디어 (실제로 많은 회사에서 시행 중) ▸ Daily standup 은 slack bot 으로 취합해서 공유 ▸ Weekly meeting 을 화상 회의로 진행
  • 44. 화상 회의의 효율성? ▸ 슬프게도, 2018년에도 lag 이 존재 ▸ 팀원이 많아지고 여러 지역에 나뉘어 있다 보니 audio call 에 의존 ▸ Audio call 마저도 또렷하지 않다 ▸ 누구는 출근길 차 안, 누구는 퇴근길, 누구는 집에서 식사 준비중… ▸ 주변 소음과 네트워크 상태가 회의에 반영 ▸ Funny Audio call: https://www.youtube.com/watch? v=kNz82r5nyUw ▸ Funny Video call: https://www.youtube.com/watch? v=JMOOG7rWTPg
  • 45. 커뮤니케이션 도구 문제 ▸ 물리적으로 함께 있어야 하는 모든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을 사용할 수 없다! ▸ 빈 회의실에서 칠판 활용, 카페에서 노트북 같 이 보기, etc… ▸ 대안: 토론 전 문서를 미리 만들고 공유 ▸ 보통 Google docs 에 공유하고 댓글 로 피드 백하는 방안으로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수행 ▸ 문서를 공유하고 별도 meeting 을 통해 토론 하기도 한다 ▸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 정제화된 문서를 강제하기 때문에 오는 장점 도 많다
  • 46. 분산 팀에서의 팀웍 이슈 ▸ 모두 리모트인 경우가 오히려 가장 좋은 케이스 ▸ 모두가 해답을 찾는데 집중하게 되어, 리모트 업무에 맞춘 문화가 갖추어지게 된다 ▸ 예: Automattic, Github ▸ 사무실 내 팀웍 > 전체 팀웍, 게다가 출장 기회도 많지 않다 ▸ 일부만 리모트라면? ▸ 알아서 잘 해야 한다… 신경써줄 거라는 기대를 거두고 시작하자
  • 48. 리모트 업무 방식 ▸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선호 ▸ 내게 주어지는 “task” 들을 “알아서” 잘 처리하면 된다 ▸ 찰떡같이 말하고 찰떡같이 알아들어야 한다! 뭘로? 텍스트로 ▸ 가끔은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을 필요가 있다 ▸ 개발 업무 외 다른 업무들이 들어오지 않는다 (한국 한정 Nice!?)
  • 49. 리모트 업무 방식 ▸ 근태를 체크할 사람도 없고, 크게 관심도 갖지 않는다 ▸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 성과만이 내 가치를 증명할 방법이다 ▸ 인터럽트가 거의 없다! ▸ 채팅이 가장 높은 수준의 인터럽트 ▸ 아주 가끔 spot 성 회의로 연결되는 경우들도 있다 ▸ 중간에 잠깐 쉬는 것도 모두 본인이 컨트롤 가능 ▸ 조금 외롭다… 혼밥의 생활화
  • 50. JASON FRIED - WHY WORK DOESN’T HAPPEN AT WORK (OCT. 2010) ▸ https://www.ted.com/talks/ jason_fried_why_work_doesn_t_happen_at_work ▸ 사무실에 존재하는 일을 방해하는 요소: M&M ▸ Manager ▸ Meeting ▸ 발표에서는 극단적으로 이야기하고 있긴 하지만, 한번쯤 생각해 볼 만한 주제 ▸ 리모트 업무를 하면서 역설적으로 생산성이 증가
  • 51. 기타 이슈 ▸ 회사 내 소문을 접할 기회가 턱없이 부족 ▸ 그냥 내 일이나 잘하자… ▸ 생산성 극대화!? ▸ 개인의 게으름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동기 부여 및 유지가 상당히 어려움 ▸ 주요 고민: 나는 회사에 밥 값을 하고 있는걸까? ▸ 매니저들은 피드백을 줄 때 안좋은 소리는 하지 않는 느낌 ▸ 미국 회사 한정: at-will employment ▸ 고용인 / 피고용인 모두 즉시 고용 계약 해지 가능 ▸ “밥 값” 에 대한 고민을 더욱 깊게 만드는 요인
  • 52. 팩트 폭격 할 만큼 했다! 이제 희망을 보여줘…
  • 56. RECAP ▸ 리모트, 특히 분산 팀 리모트는 정말 어렵다 ▸ 실제로 리모트 업무 중인 분들 중에서도 리모트 비선호하시는 분들도 있다 ▸ 그와 대비되는 장점들이 충분히 있다 ▸ 근무 시간과 공간의 자유도는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매력 ▸ 업무 성과만 잘 보여주면 수많은 머리 아픈 일들을 잊을 수 있다 ▸ 비동기 커뮤니케이션도 좋은 점들이 많이 있다 ▸ 조직/팀 문화가 엄청나게 중요하다 ▸ 리모트 직원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는 문화/업무 방식 확립 필요 ▸ 문화의 성숙도에 따라 생산성 및 만족도가 크게 좌우될 수 있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