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북카페
추진단 구성
      - 2012년 3월. 마을만들기에 관심있는 주민, 지역활동가로 구성
      - 2012년 3~4월. 마을만들기 씨앗뿌리기 교육 수료

      추진단 회의
      - 추진단 구성 후 “마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의견교환
      -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여성·아동분야의 마을카페와 마을밥상,
        청소년분야의 청소년休카페 사업을 추진하기로 의견교환

      협력기관
      - 산돌여성모임, 한살림북부지부, 아름다운가게(방학점)
        도봉여성센터, 동북여성민우회
1/6
                                       방학1동
활동지역 현황
      - 서울시에서 주택가격이 낮은 지역 중 한 곳으로 독거노인, 일용직
        근로자,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등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 정주성 낮고, 주인 의식 또한 낮아 각종 생활문제 다수 발생
      - 주민간 서로 단절되어 인심이 각박해지고 있음

      활동목표
      -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주민들이 함께 찾아 조금씩 해결
        해 가면서 좀 더 좋은 삶터로 조성
      - 사람이 모이는 쏠쏠한 재미가 있고, 함께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마음이 풍요로운 마을공동체 만들기

2/6
마을카페 조성
      -위   치 : 비영리시설 「사랑과 기쁨의 공간 산돌(구 도봉여성의집)」
      - 소유주 : 서울시 비영리단체 제380호 “산돌여성모임”
      - 사용시설 : 산돌 지층 전체, 2층 일부 공간
      - 사용방법 : 5년간 무상대여
      - 리모델링 기간 : 2012. 8월말 ~ 9월
      - 공사예산 : 서울시 예산 지원 및 추진단원 후원
        ※ 서울시 마을만들기 지원 사업 “북카페 조성·운영”분야 선정
      - 리모델링 방향 : 책이 있는 아늑하고 편안한 공간


3/6
마만(방1)
마만(방1)
마만(방1)
마을카페 개관행사
      -일   시 : 2012.10.5.(화) 16:00
      -장   소 : 우리마을 북카페 “빛” 앞마당
      - 참 여 자 : 주민, 지역활동가 등 200명
      - 행사내용 : 개회식, 축하공연(시낭송 외), 돼지저금통 고사
      - 기대효과 : 지역주민들에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는 마을카페
               가 마련됨을 알리고, 주민들이 애정을 가지고 스스로
               가꾸고 운영해야 할 공간임을 느끼게 함



4/6
마만(방1)
마만(방1)
마만(방1)
마만(방1)
마을카페 운영
      - 운영시간 : 매주 월~토요일 10:00~19:00
               ※ 매주 화요일은 21시까지 연장 운영
      -메   뉴 : 공정무역 유기농 커피, 한살림 유자차, 유기농 쿠키 등
      - 이용대상 : 방학1동 및 인근 지역주민 누구나
      -내   용
       책과 문화, 건강한 먹거리가 있는 마을카페
       주민 누구나 들고나는 동네 사랑방으로 운영
       주민 역량 강화 및 자생적 소모임 조직을 위한 프로그램 진행



5/6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방학기간 중 어린이 돌봄 프로그램 운영
아름다운 가게, 초록나라도서관, 개인 등
             도서 2,300권 기부
기능보강비 마련을 위한 재활용품 판매 활동
 - 수익금 213만원으로 카페 중문설치
서울시 복지재단 국제학술포럼 회외 초청연사 방문
마만(방1)
향후 마을카페 운영 방향
      - 마을카페를 운영하는 “사람”들 모으기
       ※ 책방사람, 음악사람, 컴퓨터사람, 되살림사람 등 운영상 필요한 분야별로 구분
        하여 이용자가 주인이 되어 애착을 갖고 함께 만드는 공동공간 구현
      - 주민 역걍강화 프로그램 운영으로 마주침 속에 관계가 형성되고
      자생적 소모임이 만들어져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 주민들이 소장하고 있는 잠들어 있는 책 깨우기
       ※ “그 여자, 그 남자의 서재”(공유서가) 만들기
      - 반가운 이웃들과 이마를 맞대고 ‘내가 살고 싶은 마을’을 함께 꿈
      꾸고 실천해 가는 거점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기


6/6
마만(방1)

More Related Content

PDF
고양 고양동 주민자치위원회 활동
PDF
20150128 처음생각발표회
PDF
방학2동 발표자료
PDF
수원 세류 3동
PPTX
2013 도시락특공대 이렇게 활동했다
PDF
우리나라 워킹홀리데이, 스프링 소개서
고양 고양동 주민자치위원회 활동
20150128 처음생각발표회
방학2동 발표자료
수원 세류 3동
2013 도시락특공대 이렇게 활동했다
우리나라 워킹홀리데이, 스프링 소개서

What's hot (17)

PDF
세바시15분 권해효 배우 - 나는 재미난 마을에 산다
PPTX
지리산문화공간
PPT
농어촌세미나 하사미교회
PPTX
[2013 changeon@between] 동네빵집 기살리는 커뮤니티매핑
PPT
농어촌세미나 홍천성내감리교회
PPTX
Bahameal
PPTX
귤현사람책도서관
PPT
인도 빈곤 여성을 돕기 위한 가축(염소) 지원 활동_한국여노와 희망재단이 함께 합니다.
PDF
2015 마포 로컬리스트 컨퍼런스, 이제 준비 시작해요!
PDF
서희청소년문화센터 레츠 발표자료
PPTX
이층카페 반바지음악회 참여요청서
PDF
[대규모 원탁회의] KOOFa Big Tent 소개서 -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대규모 원탁회의
PPTX
소셜픽션 53기김혜선
PDF
강북구 굥육혁신지구 방과후 배움터 설계 프로세스
PDF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PDF
Week8 research
PDF
[2019_체인지온@벌집]안녕축제 운영위원장 우수정님_발표자료
세바시15분 권해효 배우 - 나는 재미난 마을에 산다
지리산문화공간
농어촌세미나 하사미교회
[2013 changeon@between] 동네빵집 기살리는 커뮤니티매핑
농어촌세미나 홍천성내감리교회
Bahameal
귤현사람책도서관
인도 빈곤 여성을 돕기 위한 가축(염소) 지원 활동_한국여노와 희망재단이 함께 합니다.
2015 마포 로컬리스트 컨퍼런스, 이제 준비 시작해요!
서희청소년문화센터 레츠 발표자료
이층카페 반바지음악회 참여요청서
[대규모 원탁회의] KOOFa Big Tent 소개서 -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대규모 원탁회의
소셜픽션 53기김혜선
강북구 굥육혁신지구 방과후 배움터 설계 프로세스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13 마을공동체 심층사례집 우리마을돌아보기
Week8 research
[2019_체인지온@벌집]안녕축제 운영위원장 우수정님_발표자료

Viewers also liked (11)

PDF
창4동성과발표
PPT
백담마을 마가목
PDF
성미산 마을 탐방
PPTX
완주군 사례
PDF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PPTX
1.김율화
PDF
상상talk
PPTX
달콤길
PDF
제1회 Play it 상상 창의 공모전 이벤트부문 장력작
PDF
상상Onair 이벤트프로모션 기획서
PDF
쪼마난 마을 ppt
창4동성과발표
백담마을 마가목
성미산 마을 탐방
완주군 사례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1.김율화
상상talk
달콤길
제1회 Play it 상상 창의 공모전 이벤트부문 장력작
상상Onair 이벤트프로모션 기획서
쪼마난 마을 ppt

Similar to 마만(방1) (20)

PDF
Community kitchen iii
PDF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PPTX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PDF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PDF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PDF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PDF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PDF
이웃(EWUT) - SE경진대회 최종심사 프리젠테이션
PPT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PDF
고와선 마을계획
PDF
고와선 마을계획
PPT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PDF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PDF
20140721 공유허브세미나 1 3 blank
PPTX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PPTX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PDF
Community kitchen iii
종로구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찾아가는 식탁_ 30대+ 마을에서 삶을 꿈꾸다
[최종 보고서]찾아가는 식탁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2008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2010년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사업보고및평가 최종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이웃(EWUT) - SE경진대회 최종심사 프리젠테이션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고와선 마을계획
고와선 마을계획
지역복지 활동과 마을 만들기_최종복(춘의종합사회복관 관장)
[서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마을공동체 복지일꾼 자료집
20140721 공유허브세미나 1 3 blank
부천 마을 만들기 발표 약대동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마만(방1)

  • 2. 추진단 구성 - 2012년 3월. 마을만들기에 관심있는 주민, 지역활동가로 구성 - 2012년 3~4월. 마을만들기 씨앗뿌리기 교육 수료 추진단 회의 - 추진단 구성 후 “마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의견교환 -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여성·아동분야의 마을카페와 마을밥상, 청소년분야의 청소년休카페 사업을 추진하기로 의견교환 협력기관 - 산돌여성모임, 한살림북부지부, 아름다운가게(방학점) 도봉여성센터, 동북여성민우회 1/6 방학1동
  • 3. 활동지역 현황 - 서울시에서 주택가격이 낮은 지역 중 한 곳으로 독거노인, 일용직 근로자,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등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 정주성 낮고, 주인 의식 또한 낮아 각종 생활문제 다수 발생 - 주민간 서로 단절되어 인심이 각박해지고 있음 활동목표 -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주민들이 함께 찾아 조금씩 해결 해 가면서 좀 더 좋은 삶터로 조성 - 사람이 모이는 쏠쏠한 재미가 있고, 함께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마음이 풍요로운 마을공동체 만들기 2/6
  • 4. 마을카페 조성 -위 치 : 비영리시설 「사랑과 기쁨의 공간 산돌(구 도봉여성의집)」 - 소유주 : 서울시 비영리단체 제380호 “산돌여성모임” - 사용시설 : 산돌 지층 전체, 2층 일부 공간 - 사용방법 : 5년간 무상대여 - 리모델링 기간 : 2012. 8월말 ~ 9월 - 공사예산 : 서울시 예산 지원 및 추진단원 후원 ※ 서울시 마을만들기 지원 사업 “북카페 조성·운영”분야 선정 - 리모델링 방향 : 책이 있는 아늑하고 편안한 공간 3/6
  • 8. 마을카페 개관행사 -일 시 : 2012.10.5.(화) 16:00 -장 소 : 우리마을 북카페 “빛” 앞마당 - 참 여 자 : 주민, 지역활동가 등 200명 - 행사내용 : 개회식, 축하공연(시낭송 외), 돼지저금통 고사 - 기대효과 : 지역주민들에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는 마을카페 가 마련됨을 알리고, 주민들이 애정을 가지고 스스로 가꾸고 운영해야 할 공간임을 느끼게 함 4/6
  • 13. 마을카페 운영 - 운영시간 : 매주 월~토요일 10:00~19:00 ※ 매주 화요일은 21시까지 연장 운영 -메 뉴 : 공정무역 유기농 커피, 한살림 유자차, 유기농 쿠키 등 - 이용대상 : 방학1동 및 인근 지역주민 누구나 -내 용 책과 문화, 건강한 먹거리가 있는 마을카페 주민 누구나 들고나는 동네 사랑방으로 운영 주민 역량 강화 및 자생적 소모임 조직을 위한 프로그램 진행 5/6
  • 15. 방학기간 중 어린이 돌봄 프로그램 운영
  • 16. 아름다운 가게, 초록나라도서관, 개인 등 도서 2,300권 기부
  • 17. 기능보강비 마련을 위한 재활용품 판매 활동 - 수익금 213만원으로 카페 중문설치
  • 18. 서울시 복지재단 국제학술포럼 회외 초청연사 방문
  • 20. 향후 마을카페 운영 방향 - 마을카페를 운영하는 “사람”들 모으기 ※ 책방사람, 음악사람, 컴퓨터사람, 되살림사람 등 운영상 필요한 분야별로 구분 하여 이용자가 주인이 되어 애착을 갖고 함께 만드는 공동공간 구현 - 주민 역걍강화 프로그램 운영으로 마주침 속에 관계가 형성되고 자생적 소모임이 만들어져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 주민들이 소장하고 있는 잠들어 있는 책 깨우기 ※ “그 여자, 그 남자의 서재”(공유서가) 만들기 - 반가운 이웃들과 이마를 맞대고 ‘내가 살고 싶은 마을’을 함께 꿈 꾸고 실천해 가는 거점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기 6/6